목차
없음
본문내용
유효할 듯하다. 우리민족은 유목민족으로, 원삼국시대에는 사냥을 주로 했다. 특히 개는 사냥에 필요한 짐승이어서 일직부터 가축화 되었는데,그 후 농경생활이 정착되면서 가축화된 개는 사냥보다도 식용으로 더욱 유용하게 자리매김 되었을 것이다. 물론, 충분한 육류를 공급받고 있는 오늘날의 개 식용문화를 설명하기에는 이로써 역부족이나 식문화는 각 나라마다 고유하게 형성되어왔다. 한 민족이 즐기는 음식은 다른 민족에게는 혐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문화적 차이로 이해되어야 할 문제이지, 열등과 우월이라는 비교의 잣대로 삼아져서는 안 된다.외국인들의 그릇된 편견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문화적 상대주의에 의한 것이니 그들의 눈이 아닌 그 민족 고유의 시각으로 보아 주었으면 좋겠다.
결론적으로 나는 이런 개고기의 효용과 가치, 문헌들을 보고 외국인들의 잘못된 견해를 반대하는 개고기는 전통식품이라는 편에 서겠다. 왜냐하면 각 나라마다의 문화적 상대주의라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각 나라마다 그 민족의 역사와 전통이 있고 그 전통 속에 살아 왔기 때문에 그 민족은 그 전통에 배어 있다. 아무리 큰 개혁이라도 오랜 역사와 전통은 통째로 바꾸지 못한다. 각 나라마다의 고유성을 인정할 줄 아는 편견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이 존재했으면 한다. 외국인들에게도 그런 우리가 먹지 않는 그 어떤 것을 먹는 문화가 있지 않은가! 편협한 시각이 아닌 개방적인 시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 차원 더 발전하여 난 우리의 전통식품인 개고기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았으면 좋겠다. 단순히 효능만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노소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시대 감각에 부흥하는 미각을 찾는 개발을 이젠 해야 한다. 아직도 각지방의 독특한 조리방법이 남아 있을 것이고 규합총서에는 개짐. 구적. 별미탕 등의 처방이 있으니 고유식단을 재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보신탕의 발전을 바라는 것은 개고기 찬성론자로서의 편파적 의식이 아니라 우리 식생활 문화가 다양하게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에서이다.
☞참고 문헌
동의보감에 따른 스태미나 건강식 윤용빈著 좋은글
한국인의 보양식 강인희著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우리맛탐험
∴인터넷 세상의 먹을거리와 문화 민태범著 강천
식문화의 부리를 찾아서 유애령 著 교보문고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학원세계 대백과사전 학원출판사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 동아일보.브리태니커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마빈해리스著 한길사
결론적으로 나는 이런 개고기의 효용과 가치, 문헌들을 보고 외국인들의 잘못된 견해를 반대하는 개고기는 전통식품이라는 편에 서겠다. 왜냐하면 각 나라마다의 문화적 상대주의라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각 나라마다 그 민족의 역사와 전통이 있고 그 전통 속에 살아 왔기 때문에 그 민족은 그 전통에 배어 있다. 아무리 큰 개혁이라도 오랜 역사와 전통은 통째로 바꾸지 못한다. 각 나라마다의 고유성을 인정할 줄 아는 편견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이 존재했으면 한다. 외국인들에게도 그런 우리가 먹지 않는 그 어떤 것을 먹는 문화가 있지 않은가! 편협한 시각이 아닌 개방적인 시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 차원 더 발전하여 난 우리의 전통식품인 개고기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았으면 좋겠다. 단순히 효능만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노소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시대 감각에 부흥하는 미각을 찾는 개발을 이젠 해야 한다. 아직도 각지방의 독특한 조리방법이 남아 있을 것이고 규합총서에는 개짐. 구적. 별미탕 등의 처방이 있으니 고유식단을 재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보신탕의 발전을 바라는 것은 개고기 찬성론자로서의 편파적 의식이 아니라 우리 식생활 문화가 다양하게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에서이다.
☞참고 문헌
동의보감에 따른 스태미나 건강식 윤용빈著 좋은글
한국인의 보양식 강인희著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우리맛탐험
∴인터넷 세상의 먹을거리와 문화 민태범著 강천
식문화의 부리를 찾아서 유애령 著 교보문고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학원세계 대백과사전 학원출판사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 동아일보.브리태니커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마빈해리스著 한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