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세에 있어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는 어떠했는가?
2. 중세적 세계관에 있어서 ‘지식’의 의미는 어떠했는가? 호르헤 신부가 파악한 지식의 의미에 대해 쓰시오
3. 중세에 있어서 성직자와 일반 국민들 간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4. 중세에 있어서 교육, 특히 스승과 제자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작품속에 나타난 윌리엄 수사와 그의 제자 앳소의 관계를 예로 하여 논하시오.
5. 위에 제시한 감상 포인트들 외에 인상깊었던 점은?
2. 중세적 세계관에 있어서 ‘지식’의 의미는 어떠했는가? 호르헤 신부가 파악한 지식의 의미에 대해 쓰시오
3. 중세에 있어서 성직자와 일반 국민들 간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4. 중세에 있어서 교육, 특히 스승과 제자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작품속에 나타난 윌리엄 수사와 그의 제자 앳소의 관계를 예로 하여 논하시오.
5. 위에 제시한 감상 포인트들 외에 인상깊었던 점은?
본문내용
에 대한 가치 판단은 너무나도 상대적이다. 그리고 우리 또한 그의 모습과 다를바가 없다. 중세때 세계관이 그러했기 때문이라고 쉽게 치부해버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마녀와 미녀는 어느 한순간에 일치될 수 있다. 지금의 가치관과 세계관은 또한 다르게 바뀔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성서가 누군가에 의해서 지어진다면 말이다.
그리고 그 새로운 성서를 제외한 모든 문서를 금서라고 설명되어진다면 오히려 더욱 쉬울 것이다. 영화가 오히려 너무나도 생각해볼만한 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질문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영화를 비판하거나 파악하려는 입장이 아니라면 이러한 질문을 가질 필요도 없을텐데 말이다.
영화가 해피엔딩인지도 아닌지도 이제는 모르겠다. 작가의 주관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또한 아쉬워 지는 것은 과자를 먹으며 음료수를 마시며 떠들어대며 보지 않아서일 것이다.
사필귀정...... 모든 것이 바른대로 돌아갔는지 모르겠다. 작가는 중세를 비판하려고 했을까? 과연 비판할 수 있을까? 누가 누구에게 돌을 던져야 할 것일까? 철학과를 다니면서 목사를 꿈꾸는 동기를 봤다. 그 친구에게서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단점은 받아드릴 수 없는 그의 신앙때문이였다. 신앙으로서 믿음은 아직까지도 인간이 이성으로서 접근해서는 안될 숭고한 것임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것은 영화에서 보여주는 다양하지 못한 판단 때문이다. 마치 철저하게 계산되어진 설문조사를 통해 예상되어질 결론을 도출할는 것과 같이 영화는 만들어져버린 것이 아닐까?
윌리엄 신부가 아닌 살바토레는 오히려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또 다른 성서가 누군가에 의해서 지어진다면 말이다.
그리고 그 새로운 성서를 제외한 모든 문서를 금서라고 설명되어진다면 오히려 더욱 쉬울 것이다. 영화가 오히려 너무나도 생각해볼만한 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질문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영화를 비판하거나 파악하려는 입장이 아니라면 이러한 질문을 가질 필요도 없을텐데 말이다.
영화가 해피엔딩인지도 아닌지도 이제는 모르겠다. 작가의 주관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또한 아쉬워 지는 것은 과자를 먹으며 음료수를 마시며 떠들어대며 보지 않아서일 것이다.
사필귀정...... 모든 것이 바른대로 돌아갔는지 모르겠다. 작가는 중세를 비판하려고 했을까? 과연 비판할 수 있을까? 누가 누구에게 돌을 던져야 할 것일까? 철학과를 다니면서 목사를 꿈꾸는 동기를 봤다. 그 친구에게서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단점은 받아드릴 수 없는 그의 신앙때문이였다. 신앙으로서 믿음은 아직까지도 인간이 이성으로서 접근해서는 안될 숭고한 것임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것은 영화에서 보여주는 다양하지 못한 판단 때문이다. 마치 철저하게 계산되어진 설문조사를 통해 예상되어질 결론을 도출할는 것과 같이 영화는 만들어져버린 것이 아닐까?
윌리엄 신부가 아닌 살바토레는 오히려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