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했는데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요한시집>에서는 우화의 도입이라든가 시간의 혼재, 내적독백의 주류와 같은 형식과 기교는 종래의 전통적 소설과 비교했을 때 급진적이면서 획기적이라는 모더니즘의 특징과 부합된다. 내용이나 주제 면에서는 <요한시집>에서 관념의 서술이 잦거나 서술에 있어서 그것이 장황하고 매우 까다로우며 심각해 보여서 마치 무든 대담한 변혁을 시도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식적이거나 통속적일 뿐이다. <요한시집>의 형식적인 면에서는 매우 새롭고 획기적이라는 느낌이 들지만 작품의 주된 중심 소재는 ‘자유’에의 문제이며 억압되고 제한적인 공간에서의 자유에의 깨달음, 실존적 자각이라는 주제의식은 평이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장용학의 작품 <요한시집>의 문학적 특징은 모더니즘적 성격을 잘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하였듯이 모더니즘적 성격의 일부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성격과 부합되는 면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본 <요한시집>을 통해 장용학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장용학이 모더니스트적 자질을 갖추고 있다는 대부분의 평론가들의 평이 틀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식적이거나 통속적일 뿐이다. <요한시집>의 형식적인 면에서는 매우 새롭고 획기적이라는 느낌이 들지만 작품의 주된 중심 소재는 ‘자유’에의 문제이며 억압되고 제한적인 공간에서의 자유에의 깨달음, 실존적 자각이라는 주제의식은 평이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장용학의 작품 <요한시집>의 문학적 특징은 모더니즘적 성격을 잘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하였듯이 모더니즘적 성격의 일부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성격과 부합되는 면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본 <요한시집>을 통해 장용학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장용학이 모더니스트적 자질을 갖추고 있다는 대부분의 평론가들의 평이 틀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