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공동 노동조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
Ⅱ. 15․6세기의 농업과 향도 공동체
Ⅲ. 17․8세기의 이앙법(移秧法 )보급과 두레 발생
맺음말
Ⅰ. 공동 노동조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
Ⅱ. 15․6세기의 농업과 향도 공동체
Ⅲ. 17․8세기의 이앙법(移秧法 )보급과 두레 발생
맺음말
본문내용
의 구성관계도 달라짐.
-공동 노동조직의 변천과정(정리)
▷고려 전기(휴한농법의 제약): 향도의 규모가 군현 단위로 구성될 정도로 큼
▷고려 말(휴한농법의 제약 극복): 향도의 규모가 자연촌락 단위로 소규모화 됨
▷조선 전기: 향도의 규모가 자연촌락(里)단위의 지역 공동체 조직으로 사회적인 기능과 경제적인 기능이 분화되지 않음, 소겨리들계황두 등이 존재
▷17세기 이후(이앙법의 보급): 벼농사의 황두군 조직이 두레로 변화, 이앙법이 김매기의 부담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이를 계기로 일반 농민층의 경제적시간적인 여유의 발생으로 자율성이 높은 두레를 구성, 두레가 강한 자율성조직성으로 촌락사회의 공동체적 질서를 대표하고 향도는 상두군으로만 역할
-종래의 두레의 고대 기원설을 완전히 부정함.
-공동 노동조직의 변천과정(정리)
▷고려 전기(휴한농법의 제약): 향도의 규모가 군현 단위로 구성될 정도로 큼
▷고려 말(휴한농법의 제약 극복): 향도의 규모가 자연촌락 단위로 소규모화 됨
▷조선 전기: 향도의 규모가 자연촌락(里)단위의 지역 공동체 조직으로 사회적인 기능과 경제적인 기능이 분화되지 않음, 소겨리들계황두 등이 존재
▷17세기 이후(이앙법의 보급): 벼농사의 황두군 조직이 두레로 변화, 이앙법이 김매기의 부담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이를 계기로 일반 농민층의 경제적시간적인 여유의 발생으로 자율성이 높은 두레를 구성, 두레가 강한 자율성조직성으로 촌락사회의 공동체적 질서를 대표하고 향도는 상두군으로만 역할
-종래의 두레의 고대 기원설을 완전히 부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