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경복궁의 역사

경복궁의 배치적 특징

경복궁의 주요 건물

경복궁 복원사업

현재 경복궁의 실태 및 반성

본문내용

은 1995년 철거되었다.
근정전 뒤쪽의 왕과 왕비 생활공간인 '침전권역'의 강녕전 등 12개동 794평은 1995년에, 근정전 동쪽의 왕세자와 세자비 생활공간인 '동궁권역'의 자선당 등 18개동 352평은 1999년에 각각 복원이 완료되어 현재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조선총독부가 자리잡았던 흥례문,유화문 행각,기별청,영제교 등 6동의 '흥례문권역'은 2001년 10월 완료되었다. 군부대가 주둔했던 경복궁 서북쪽 '태원전 권역'의 25개동 469평은 2004년에 복원 완료되고 광화문 이전 복원 및 서십자가 복원 등을 골자로 한 '광화문 권역' 복원은 2009년에 완료된다.
이와 함께 경복궁 정전(正殿)으로 우리나라 최대의 2층짜리 목조건축물인 근정전(勤政殿·국보 223호)은 2000년부터 대대적인 보수공사에 들어가 2003년에 마무리되었다.
2009년 경복궁 복원사업이 완료되면 건물 수는 129동으로, 고종 당시 330여동의 40% 선을 복원하는데 그친다. 문화재청은 따라서 2009년 이후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추후 복원 문제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재 경복궁의 실태 및 반성]
한 TV 방송에서 나왔던 경복궁의 실태입니다. 보시다시피 현재도 관리가 허술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복궁 복원사업을 하고 있다고 하고 있는 중이다만, 일제시대때 많이 훼손된 것도 있다만 우리 국민들도 경복궁에 대한 훼손을 일으키고 있는 실태이니 이것은 반성해야 할 점 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우리 문화재들에 대하여 소수의 몇 명이 관심 가지는 것 보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관심을 갖도록 노력 해야 할 것입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6.0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