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너의 발견적 교수-학습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브루너의 발견적 교수-학습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애 및 업적

2. 발견적 교수 - 학습이론의 개관

3. 발견적 교수- 학습이론의 적용

4. 용어정의 및 연습문제

본문내용

을 증진시키는 것’(Berk & Winsler, 1995).
- 비계설정의 실제 : 다음에서는 일상적 가정생활에서 한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의 부모가 수학적 문제 해결 장면에서 어떻게 비계설정을 하는지 관찰 사례 (한순미, 1997)
< 백 단위 덧셈, 뺄셈 학습에서의 비계설정 >
연령: 5세 9개월
상황: 엄마와 아이가 가게에 갔다가 엄마는 아이가 원하는 600원 짜리 과자와 200원 짜 리 아이스 바를 사주고 난 뒤 묻는다.
성인-아동의 상호작용
분 석
엄마: (아이 손에 쥐어진 과자를 가리키며) 이 과자를 얼마 주고 샀더라?
아이: (과자 봉지에 표시된 가격을 보고 나서) 600원 줬어요.
엄마: 이 아이스 바는 얼마 주었지?
아이: (역시 겉 봉지를 보고 난 뒤) 200원이에요.
엄마: 이 둘을 합치면 얼마일까?
아이: (2-3초 경과한 후) 800원이에요.
엄마: 와, 맞았어. 참 잘 하는구나. 그럼 800원에서 200원을 빼면 얼마니?
아이: (계속 머뭇거린다.)
엄마: 아까 엄마가 과자와 아이스 바를 합쳐서 800원에 샀지?
아이: 예.
엄마: 다시 생각해 보렴. 800원을 가지고 있다가 200원 짜리 아이스 바만 사면 얼마가 남지?
아이: (잠시 계산해 보더니) 600원이 남아요.
엄마: 아주 잘 맞췄어. 그럼 또 생각해 봐. 엄마가 800원을 가지고 있다가 600원 짜리 과자를 샀어. 그럼 얼마가 남니?
아이: (금방) 200원요.
엄마: 참 잘하는구나. 엄마가 다른 문제를 낼 테니 또 맞춰 볼래? 엄마가 너한테 500원 짜리 비스켓과 300원 짜리 사탕을 사준다고 해봐. 둘을 모두 합치면 얼마니?
아이: (한참 머뭇거리다가) 800원이네요.
엄마: 그래, 잘했어. 그런데 엄마가 가게 주인에게 돈을 줄려고 지갑을 열어 보니 1000원 짜리만 있더구나. 그래서 가게 주인에게 1000원을 주었어. 가게 주인은 엄마에게 얼마를 거스름돈으로 돌려주겠니?
아이: (어려운 듯 얼른 답하지 못하고 머뭇거린다.)
엄마: 1000원은 100원 짜리가 몇 개 있는 것이지?
아이: (잠시 생각하다가) 10개.
엄마: 그렇지? 그럼 800원은 100원 짜리가 몇 개 있는 것이지?
아이: 8개요.
엄마: 맞았어. 그럼 다시 생각해 봐. 엄마가 가게 주인한테 800원을 내야 하는데 1000원 짜리 돈을 냈어. 가게 주인은 얼마를 엄마한테 돌려주어야 하지?
아이: (2-3초가 경과한 뒤) 200원이다!
엄마는 ‘낮은 단계의 거리두기’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아동을 문제 상황에 도입시킨다.
덧셈 문제로 유도
언어적 칭찬과 함께 뺄셈 문제 제시
아이의 기억을 환기시킴으로써 문제 상황을 다루기 쉽게 만들어 준다.
칭찬과 함께 유사한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뺄셈 학습을 더욱 곤고히 함.
새로운 덧셈 문제 상황 도입
문제 상황을 뺄셈문제 상황으로 전환함으로써 좀 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
문제를 다루기 용이하도록 잘게 나누어줌.
문제 상황을 아동이 이해하기 쉽게 재진술해준다.
이 장면은 5세 9개월에 이른 아이에게 어머니가 과자를 사주고 나서 매우 자연스럽게 아이를 덧셈, 뺄셈 상황으로 유도하는 장면이다. 조금 전에 샀던 과자의 가격을 재인하게 하는 ‘낮은 단계의 거리 두기’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덧셈 문제, 유사한 덧셈 문제, 그리고 새로운 덧셈 문제 상황으로 이끌면서 아동의 덧셈 문제의 해결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 그러한 한편으로 아동의 문제해결 행동을 칭찬하고 격려하면서 어머니는 아동의 동기유발을 유지시키는 데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아동이 백 단위의 덧셈 문제 해결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어머니는 새로운 뺄셈 문제 상황을 도입한다. 뺄셈 문제의 해결이 아동에게 용이하지 않자, 어머니는 문제 상황을 보다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제시하고 아동으로 하여금 사고의 과정을 좀 더 거치게 함으로써 결국 문제해결에 이르게 한다.
7) 언어습득지원체계(language acquisition support system)
- 유아의 언어 발달에 기여하는 부모의 역할
(2) 연습문제
1) 왜 발견학습을 해야 하는가?
2) 학습 내용에 따라 발견학습 방법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에 그런가?
3) 발견적 학습을 해 본 경험이 있는가? 어떻게 하였는가?
* 참 고 문 헌 *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전성연(편), 도서출판 원미사, 2001
증보 지식의 구조와 교과, 이홍우, 교육과학사, 1996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08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