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허선생의 생애 1
2. 상허의 사상 1
(1)성·신·의 정신 2
① 성(誠) 2
② 신(信) 2
③ 의(義) 2
(2) 3대 사상 3
①구료제민 사상 3
②교육입국 사상 3
ⓐ 성·신·의의 교육이념 4
ⓑ 입지의 교육이념 4
ⓒ 언행일치의 교육이념 4
ⓓ 과학입국의 교육이념 4
ⓔ 공공서의 교육이념 5
ⓕ 미래지향적인 교육이념 5
③ 농촌개발 사상 5
3.맺음말 7
2. 상허의 사상 1
(1)성·신·의 정신 2
① 성(誠) 2
② 신(信) 2
③ 의(義) 2
(2) 3대 사상 3
①구료제민 사상 3
②교육입국 사상 3
ⓐ 성·신·의의 교육이념 4
ⓑ 입지의 교육이념 4
ⓒ 언행일치의 교육이념 4
ⓓ 과학입국의 교육이념 4
ⓔ 공공서의 교육이념 5
ⓕ 미래지향적인 교육이념 5
③ 농촌개발 사상 5
3.맺음말 7
본문내용
한 농업경영을 단른 전업과 겸업하는 플러스 베타 농업이다.
넷째, 자본집약적, 노동집약적, 영농경제농작물의 단일화 내지 전문화에 의한 상품위주의 경제농법을 통한 전문적 영농형태 이다.
지금 농촌의 현실에 가장 요구되어지는 부분이다. 경제농법을 통한 전문적 경영인의 양성을 통해 상품의 질과 부가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생활혁명
농촌에서의 생활혁명은 그 당시 열악한 농업환경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복지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이다. 이것은 창업의 원리 중 “소에서 대로의 비약”을 실현하는 것이며, 사회발전의 원리인 동시에 창조를 위한 원리이다. 또한 이것은 축적의 원리이며, 확대의 원리이며 발전의 원리이다.
생활혁명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농가는 빈곤에서 해방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 저축을 생활화하는 것으로, 저축 생활화는 농업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저축 생활화를 한 후에 자본형성화를 이루어 부를 창조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농민의 자발적 자각과 참여 아래서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로 농민은 자본가로 우뚝 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허는 농촌개발을 강조하면서 낙후된 농업을 살리는 것은 축산부흥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세계 최초로 축산대학을 설립하였고, 이외에도 후에 농림대학, 지역사회초급대학, 농업협동조합 초급대학을 설립 또는 발족시켰다.
3.맺음말
상허의 민족주의가 다른 일반적인 민족주의에 비해 확대된 개념은 바로 민중의 삶 그 자체에 초점을 둔 것이다. 그 당시 비록 복지의 개념이 우리나라 전반에 널리 알려진 것은 아니었지만 상허는 이미 그 시대에 국민 복지와 복지사회 건설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민족의 독립에 앞서 민중의 삶의 질에 향상, 즉 최소한의 의료혜택과 교육을 받을 환경 조성 등을 우선 과제로 생각한 것만을 보아도 상허가 민중의 보리 후생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허의 민중을 생각하고 그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며 복리 증진에 앞장서는 모습들이 이 시대에 살며 상허의 사상을 계승하기 원하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점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사회에 봉사하고 헌신할 수 있는 지성인을 육성하여 그들로 하여금 올바른 가치관과 사상을 사회에 제시할 수 있게끔 후진 양성에도 힘을 쏟았던 정신 또한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현·복기태, “상허사상 계승을 통한 건국대학교의 대학경쟁력 강화방안”,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권규문, “평생교육 사상에 입각한 상허정신의 발현 방안”,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박지연, “상허의 농업기술혁명과 미행물 농업”,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윤기방, “상허사상에 입각한 건국대학교 충주캠퍼스 개혁방안”,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이성호·김상민, “상허선생의 일생을 통해 나타난 의료사상과 계승”,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넷째, 자본집약적, 노동집약적, 영농경제농작물의 단일화 내지 전문화에 의한 상품위주의 경제농법을 통한 전문적 영농형태 이다.
지금 농촌의 현실에 가장 요구되어지는 부분이다. 경제농법을 통한 전문적 경영인의 양성을 통해 상품의 질과 부가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생활혁명
농촌에서의 생활혁명은 그 당시 열악한 농업환경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복지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이다. 이것은 창업의 원리 중 “소에서 대로의 비약”을 실현하는 것이며, 사회발전의 원리인 동시에 창조를 위한 원리이다. 또한 이것은 축적의 원리이며, 확대의 원리이며 발전의 원리이다.
생활혁명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농가는 빈곤에서 해방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 저축을 생활화하는 것으로, 저축 생활화는 농업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저축 생활화를 한 후에 자본형성화를 이루어 부를 창조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농민의 자발적 자각과 참여 아래서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로 농민은 자본가로 우뚝 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허는 농촌개발을 강조하면서 낙후된 농업을 살리는 것은 축산부흥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세계 최초로 축산대학을 설립하였고, 이외에도 후에 농림대학, 지역사회초급대학, 농업협동조합 초급대학을 설립 또는 발족시켰다.
3.맺음말
상허의 민족주의가 다른 일반적인 민족주의에 비해 확대된 개념은 바로 민중의 삶 그 자체에 초점을 둔 것이다. 그 당시 비록 복지의 개념이 우리나라 전반에 널리 알려진 것은 아니었지만 상허는 이미 그 시대에 국민 복지와 복지사회 건설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민족의 독립에 앞서 민중의 삶의 질에 향상, 즉 최소한의 의료혜택과 교육을 받을 환경 조성 등을 우선 과제로 생각한 것만을 보아도 상허가 민중의 보리 후생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허의 민중을 생각하고 그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며 복리 증진에 앞장서는 모습들이 이 시대에 살며 상허의 사상을 계승하기 원하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점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사회에 봉사하고 헌신할 수 있는 지성인을 육성하여 그들로 하여금 올바른 가치관과 사상을 사회에 제시할 수 있게끔 후진 양성에도 힘을 쏟았던 정신 또한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현·복기태, “상허사상 계승을 통한 건국대학교의 대학경쟁력 강화방안”,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권규문, “평생교육 사상에 입각한 상허정신의 발현 방안”,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박지연, “상허의 농업기술혁명과 미행물 농업”,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윤기방, “상허사상에 입각한 건국대학교 충주캠퍼스 개혁방안”,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이성호·김상민, “상허선생의 일생을 통해 나타난 의료사상과 계승”, 상허사상학생연구논문(상허문화재단), 제10집(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