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
2. 지역주의의 확산요인
3. 세계화와 지역주의
4. ASEAN과 APEC의 결성과 하는 일은 무엇인가?
2장
1. 국제 정치와 핵문제
2. 왜 핵은 확산되는가?
3. 핵 비확산 노력에 관해서
3장
1. 탈냉전 이후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2. 동북아시아 특성 (나라별 특성과 대략적 특성)
4장
1. 냉전 이후 UN의 활발한 활동 요인과 유엔의 문제점과 개혁
5장
1. 테러집단의 이념과 다양화 경향성의 원인
2. 다국적 기업의 등장 원인과 영향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
2. 지역주의의 확산요인
3. 세계화와 지역주의
4. ASEAN과 APEC의 결성과 하는 일은 무엇인가?
2장
1. 국제 정치와 핵문제
2. 왜 핵은 확산되는가?
3. 핵 비확산 노력에 관해서
3장
1. 탈냉전 이후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
2. 동북아시아 특성 (나라별 특성과 대략적 특성)
4장
1. 냉전 이후 UN의 활발한 활동 요인과 유엔의 문제점과 개혁
5장
1. 테러집단의 이념과 다양화 경향성의 원인
2. 다국적 기업의 등장 원인과 영향
본문내용
아 순방 길에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다. 베트남전쟁으로 인해 만신창이가 된 미국은 ‘아시아인의 안보는 아시아인의 손으로’라는 구호를 앞세우며 미국은 이 지역의 안보를 위해 핵우산을 제공하고 경제적 원조, 군사고문단 등의 원조는 제공하지만 지상군은 제공하지 않을 것이며 아시아인들은 자조의 원칙에 따라 이 지역에서 미군의 철수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의 안보 역할을 우방국이 나누어져야 한다는 요구가 시작되었다.
ABM 조약
1972년 미국과 소련이 체결한 탄도요격미사일 설치에 관한 조약이다. 이 조약의 기본 아이디어는 어느 한쪽이 선제 핵 공격을 가해 오더라도 공격을 받은 쪽이 파괴되지 않은 핵무기로 상대방을 초토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되어 어느 한쪽도 선제공격을 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호확증파괴를 통한 핵 억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대방의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요격하고, 핵 억지력을 파괴하는 탄도요격미사일의 수와 배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핵전쟁의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내용은 탄도요격미사일의 배치를 양국 수도 및 ICBM 발사대 반경 150Km 이내에 각 100기 이내로 제한하는 것과 전 국토에 대한 방위를 금하고 한 지역에 대한 방위만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항은 1974년에 두 곳 가운데 한 곳에만 배치하는 것으로 강화되었다. NMD 계획은 알래스카에 있는 요격미사일을 125기로 늘리고 노스다코다주의 그랜드 폭스 ICBM 기지에도 새로 125기의 요격미사일을 배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NMD 과정에서 미사일 추적 레이더 등 관련 체계를 우방국에 배치할 수 밖에 없다.
ABM 조약
1972년 미국과 소련이 체결한 탄도요격미사일 설치에 관한 조약이다. 이 조약의 기본 아이디어는 어느 한쪽이 선제 핵 공격을 가해 오더라도 공격을 받은 쪽이 파괴되지 않은 핵무기로 상대방을 초토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되어 어느 한쪽도 선제공격을 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호확증파괴를 통한 핵 억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대방의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요격하고, 핵 억지력을 파괴하는 탄도요격미사일의 수와 배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핵전쟁의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내용은 탄도요격미사일의 배치를 양국 수도 및 ICBM 발사대 반경 150Km 이내에 각 100기 이내로 제한하는 것과 전 국토에 대한 방위를 금하고 한 지역에 대한 방위만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항은 1974년에 두 곳 가운데 한 곳에만 배치하는 것으로 강화되었다. NMD 계획은 알래스카에 있는 요격미사일을 125기로 늘리고 노스다코다주의 그랜드 폭스 ICBM 기지에도 새로 125기의 요격미사일을 배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NMD 과정에서 미사일 추적 레이더 등 관련 체계를 우방국에 배치할 수 밖에 없다.
추천자료
미 테러사태와 이슬람의 입장
이라크전쟁 1년 분석과 대 테러작전의 향방
세계질서의 재편 가능성 - 전쟁과 테러, 미국의 패권주의를 중심으로
러시아와 체첸 분쟁과 테러
911 테러이후 이라크 전쟁까지...
논술지도4 판사보복테러가 주는 사회학적의미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논술하시오.
[국제정치학]9.11 테러이후 미일동맹의 변천과정과 향후전망
정치학의 관점에서 9•11테러 이후의 테러리즘 분석과 전망 및 우리가 나아가야할 길
[국제관계의 이해] 테러와 테러리즘
노르웨이 테러보고서
9 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과 주한미군
아시아 국가의 강압적 테러대응정책과 시민사회의 역할 (테러리즘)
[테러terro] 생존전략으로서의 국제 테러리즘
핵 테러(Nuclear terror)의 발생 가능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