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설정; 권력의지와 주권 구성체 그리고 그것의 구성
2. 한비와 마키아벨리가 상정한 가장 좋은 주권 구성체의 형태
2.1. 마키아벨리: 가장 자율적일 수 있는 팽창주의적인 공화정
2.2. 한비: 법·술·세와 탈영토화된 군주로 이뤄진 복합체인 제정
3. 결론 ; 주권 구성체라는 지도
3.1. 두 장 지도상의 차이들
3.1.1 권력의지의 유형
3.1.2 권력의지들 사이의 관계의 유형
3.2. ‘관입’ 또는 ‘사회적 공명’이란 문제는 어디서 제기될 수 있는가
3.2.1 관입의 장면들
3.2.2 사회적 공명; 패배들
2. 한비와 마키아벨리가 상정한 가장 좋은 주권 구성체의 형태
2.1. 마키아벨리: 가장 자율적일 수 있는 팽창주의적인 공화정
2.2. 한비: 법·술·세와 탈영토화된 군주로 이뤄진 복합체인 제정
3. 결론 ; 주권 구성체라는 지도
3.1. 두 장 지도상의 차이들
3.1.1 권력의지의 유형
3.1.2 권력의지들 사이의 관계의 유형
3.2. ‘관입’ 또는 ‘사회적 공명’이란 문제는 어디서 제기될 수 있는가
3.2.1 관입의 장면들
3.2.2 사회적 공명; 패배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