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지반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경향은 Su직선( =0.019*깊이 (깊이>20m) )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배수강도가 깊이에 따라 증가하므로 이 흙은 정규압밀점토의 성질을 띠고 있다.
그림 8은 퇴적층의 점성토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접전단시험과 압밀비배수시험(CU Test)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 마찰각은 18도~30도 내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 그림을 완성하고 그 의미를 완성하시오.
그림 9는 실내 압밀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선행압밀하중을 깊이에 따라 도시하였다. 이 때 심도에 따른 유효수직응력은 사질토층의 경우 일반적인 모래의 단위중량과 실내시험에서 얻어진 값을 고려해 γsub=0.8t/㎥을 적용하였으며 점성토층의 경우 실내압밀시험에서 구한 수중단위중량의 평균값 γsub=0.75t/㎥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매립층을 퇴적하기 전 퇴적층의 유효응력은 그림9의 10m부터 그어진 직선과 같고 매립층이 퇴적된 후 지하수위가 매립층 상단 1m 아래에 온 경우 유효응력은 그림의 상부의 직선과 같게 나온다. 이 그림에서 퇴적층의 선행압밀응력이 두 직선의 사이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부재 조성 시 상재하중으로 작용한 준설매립토층에 의한 압밀이 현재까지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림 10은 깊이에 따른 과압밀비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과압밀비는 실험으로 구한 선행압밀응력과 계산으로 정한 유효수직응력의 비로 나타낸다. 이 지반의 준설 매립층의 과압밀비는 1~2.5 정도로 다소 과 압밀상태에 있다. 그렇지만 그림10의 퇴적층에서 과압밀비는 거의 1보다 작게 나오는데 이는 유효수직응력이 압밀이 완료되었다고 가정한데서 나오는 계산상의 오차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 지반의 퇴적층은 준설 매립층에 의한 압밀이 아직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6. 그림을 완성하고 그 의미를 설명하시오.
그림11과 12는 압밀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압축지수, 초기간극비를 깊이에 따라 도시한 결과이다. 이 지반은 다소 분산된 결과를 보이지만 압축지수는 0.4~0.8, 초기간극비는 1.0~1.5 내외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압축지수와 초기간극비는 압밀침하량을 산정하는데 이용하는 중요한 값이다. 압축지수의 범위로 보아 여러 가지 점토의 압축지수와 비교해 볼 때 Vicksburg 점토(CH), San Fransisco Bay Mud(CL) 의 성질을 띠고 있다고 판단된다.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