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구와 사회
2. 인구연구의 자료
2.1 센서스 (전국인구조사)
2.2 생정통계 및 주민등록
2.3 기타 조사들
3. 인구이론
4. 인구구조와 변천과정
4.1 인구구조
4.2 우리나라 인구분포
4.3 한국의 인구성장
4.4 저출산 문제
4.5 사망력과 고령화 사회
5. 전망
※ 참고 문헌
2. 인구연구의 자료
2.1 센서스 (전국인구조사)
2.2 생정통계 및 주민등록
2.3 기타 조사들
3. 인구이론
4. 인구구조와 변천과정
4.1 인구구조
4.2 우리나라 인구분포
4.3 한국의 인구성장
4.4 저출산 문제
4.5 사망력과 고령화 사회
5. 전망
※ 참고 문헌
본문내용
970년 4.5명,1980년 2.8명,1990년 1.6명,1999년 1.4명으로 특히 지난 10년 이상 출산수준이 대체수준을 밑돌고 있으며,이는 선진국 평균수준보다도 낮기에 우리를 놀라고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이제 우리는 저출산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 우리 사회에는 만혼,독신,이혼,별거 등 혼인력을 낮추는 혼인양식이 제도화되고있다. 이에 더하여 다자녀 기피현상과 더불어 소자녀에 대한 가치가 내면화되어 있다.출산율이 증가할수 있는 여건을 위한 제도적 변화는 찾아보기 힘든 불리한 조건에 놓여있다.
출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에 드는 비용이나 노력은 과거 출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들였던 비용이나 노력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4.5 사망력과 고령화 사회
우리 나라 사망률은 1955년 이후 급격히 떨어져,비약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1960년 약 50세였던 출생시 평균수명은 1975년 60세를 넘기고 1980년에는 70세를 넘어섰으며,2000년 약74세(남자 70세,여자77세)로 추정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의료보험의 전국적 확대 시행과 더불어 보건의료의 질적향상을 힘입어 평균수명이 늘어남으로써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UN에서 규정한 바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연령층의 인구비율이 7%를 차지하고 있는 사회를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라 하고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라 한다.
우리 나라는 2000년 노인인구가 327만명으로 증가하여 전체 인구 4613만명 중 7.1%를 차지하게 됨에 따라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우리 나라의 경우 노인인구가 14%가 넘게 되는, 즉 고령사회가 되는 시기는 2022년이 될것으로 추계하고 있다.(통계청.1999).
이처럼 노인인구는 전례 없이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복지제도의 미비와 노령인구 취업기회의 제한 등으로 노인들 삶의 질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5. 전망
정부는 지난 35년간 시행했던 인구증가 억제정책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이제 우리 앞에 놓인 인구문제는 그 동안의 문제보다 더 해결하기 어렵고 복잡하다.
출산율 저하로 인한 고령화의 문제,세대 간의 갈등문제,혼인 및 출산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의 확립,보건복지제도의 선진화를 통한 건강지수의 향상 등이 바로 우리가 개선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또한,우리 나라의 인구증가율이 둔화되고 안정되었다고 해서 세계 전체의 높은 인구증가를 외면 할 수는 없다. 우리는 현재 지구촌 시대에 살고 있으며 따로 떨어져 잘살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우리가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할 과제는 북한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인구동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각국의 인구변화가 우리 나라 경제와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1.김민경. 2000. 『인구센서스의 이해』. 글로벌.
2.박상태.1999. 『인구쟁점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한국인구학>. 제22권 2호
3.권태환.김두섭.1990.『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현재 우리 사회에는 만혼,독신,이혼,별거 등 혼인력을 낮추는 혼인양식이 제도화되고있다. 이에 더하여 다자녀 기피현상과 더불어 소자녀에 대한 가치가 내면화되어 있다.출산율이 증가할수 있는 여건을 위한 제도적 변화는 찾아보기 힘든 불리한 조건에 놓여있다.
출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에 드는 비용이나 노력은 과거 출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들였던 비용이나 노력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4.5 사망력과 고령화 사회
우리 나라 사망률은 1955년 이후 급격히 떨어져,비약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1960년 약 50세였던 출생시 평균수명은 1975년 60세를 넘기고 1980년에는 70세를 넘어섰으며,2000년 약74세(남자 70세,여자77세)로 추정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의료보험의 전국적 확대 시행과 더불어 보건의료의 질적향상을 힘입어 평균수명이 늘어남으로써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UN에서 규정한 바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연령층의 인구비율이 7%를 차지하고 있는 사회를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라 하고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라 한다.
우리 나라는 2000년 노인인구가 327만명으로 증가하여 전체 인구 4613만명 중 7.1%를 차지하게 됨에 따라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우리 나라의 경우 노인인구가 14%가 넘게 되는, 즉 고령사회가 되는 시기는 2022년이 될것으로 추계하고 있다.(통계청.1999).
이처럼 노인인구는 전례 없이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복지제도의 미비와 노령인구 취업기회의 제한 등으로 노인들 삶의 질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5. 전망
정부는 지난 35년간 시행했던 인구증가 억제정책을 공식적으로 폐기했다.이제 우리 앞에 놓인 인구문제는 그 동안의 문제보다 더 해결하기 어렵고 복잡하다.
출산율 저하로 인한 고령화의 문제,세대 간의 갈등문제,혼인 및 출산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의 확립,보건복지제도의 선진화를 통한 건강지수의 향상 등이 바로 우리가 개선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또한,우리 나라의 인구증가율이 둔화되고 안정되었다고 해서 세계 전체의 높은 인구증가를 외면 할 수는 없다. 우리는 현재 지구촌 시대에 살고 있으며 따로 떨어져 잘살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우리가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할 과제는 북한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인구동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각국의 인구변화가 우리 나라 경제와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1.김민경. 2000. 『인구센서스의 이해』. 글로벌.
2.박상태.1999. 『인구쟁점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한국인구학>. 제22권 2호
3.권태환.김두섭.1990.『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1970년대부터 2000년까지 각 시급 도시인구분포 및 변화 파악, 패턴기술
[한국사회문제 E형]인구의 도시집중화로 인한 수질오염의 분석과 해결방안
족보(族譜)를 통해 본 17~19세기 인구사적 변화와 원인 : 豊基 秦씨 監司公派와 漆原 尹씨 郎...
[통계]우리나라(한국) 인구 통계, 우리나라(한국) 노동 통계, 우리나라(한국) 경제 통계, 우...
[통계]한국(우리나라) 인구통계, 한국(우리나라) 주택거주통계, 한국(우리나라) 경제통계, 한...
출산율 저하 발표 최종보고서 (인구의 세계적 추세, OCED 국가와의 비교, 저 출산의 원인 및 ...
장애인복지_장애인복지개념, 외국장애인복지변천, 장애인구현황, 장애의유형, 장애인정책, 지...
[청소년복지] 저출산과 청소년 인구감소가 청소년 삶에 미치는 영향 - 교육 및 학교생활 관련...
노인 우울 정도에 관한 조사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영양학 A형] 최근 우리나라에서 노령인구 증가와 저 출산이 큰 사회문제로 되고 있...
★ 사회복지개론 -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최근의 사회문제는 무엇이며 이에...
[노인복지의 개념] 노인인구의 변화, 노인복지의 정의와 원칙
[세계화와 인문지리 교육] 우리나라의 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