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조도일의 선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조도일의 선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조를 선택한 이유

2. 들어가면서

3. 마조도일의 정체성

4. 마조의 선사상과 가르침

5. 靑出於藍靑於藍

6. 나오면서

본문내용

대부분 마조도일의 법계를 잇고 있으며 따라서 마조도일은 우리 나라 선종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조문하의 현도가 천여명이란 실로 대단한 숫자인데, 제자 백장을 거쳐 위산문하의 천오백인, 황벽문하의 일천인이라고 전하고 있듯이 홍주종(洪州宗)은 우선 문도의 교단구성원의 숫자만으로도 막대한 교세를 과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조는 강서 지방을 중심으로 활약했었는데, 홍주종이 천하에 알려지게 된 것은 그의 만년 혹은 죽은 뒤에 제자들의 뛰어난 활약에 의한 것이었다. 특히 유관(惟寬), 대의(大義), 회휘(懷暉)등의 유력한 제자들이 제도(帝都)에 진출하여 입내설법(入內說法)하였으며, 바로 이들의 활약에 의해 혜능, 회양, 마조가 황제로부터 명예스러운 시호를 헌종의 원화년중에 하사 받았다.
또한 종래의 선종전등설을 통합하여 조사선의 계보로서 『보림전』(801)을 편집하였으며, 이러한 법계는 유관을 위해 지은 백낙천의 『전법당비』에도 밝혀져 있다. 또 백낙천이 스스로 숭산여만(崇山如滿)은 공문(空門)의 벗이라고 밝히고 있듯이 낙양의 불광사를 중심으로 활약한 여만선사 역시 마조문하의 걸승이었다.
그의 제자들 가운데 무업(無業)과 같은 전통적인 강사들도 많았고, 방온(龐蘊)과 같은 거사도 있었으며, 석공혜장(石鞏慧藏)과 같은 사냥꾼 출신도 있었다.
이처럼 유능한 인재가 많이 모이게 된 것은 훌륭한 고승들의 교화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 방거사와 단하천연이 처음 과거시험을 치르러 가다가 마조문하의 선불장으로 들어가 출가하게 된 이야기나 시성(詩聖) 두보(杜甫)가 과거에 응시하였을 때 응시자 전원이 과거에 낙방했다는 이야기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당시의 인재등용제도인 과거제도 문란과 사회적인 병폐 등도 그 원인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며, 그의 문하에서 그렇게 다채롭고 개성적인 제자들이 유달리 많이 배출되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각자의 근기에 적절히 대응하는 풍부한 善巧方便으로 제자들을 접화해 나아간 마조의 탁월한 기량에 있다 하겠다.
당시 마조문하를 대표한 제자는 서당지장(西堂智藏783-817)이었는데, 후에 백장회해나 남전보원이 그 문하의 번창과 어록에 의해서 마조문하를 대표하는 정통 법계로 강조되면서부터 서당의 평가는 점점 변화하게 된 것이다. 그의 「비문」「송고승전」에 전하는 것처럼, 그는 위인의 호상을 갖춘 인물로 8세에 마조를 따라 입도 하였고 훗날 마조의 뒤를 이어 공공산( 公山)에서 교화를 펼쳤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서당은 당초부터 마조의 후계자로 보여지며, 다른 제자들이 각지에 法幢을 내걸고 行化를 전개하였을 때에도 서당은 마조의 옛 도량을 지키면서 상수제자로서 자부하고, 또 그 사실을 자타가 공인한 인물이었다.
백장회해(百丈懷海749-814)가 마조문하를 대표하는 제자로 부상하게 된 중요한 그의 업적은 山과 黃蘗의 출연에 의한 것이며 또한 최초로 선종의 『청규(淸規)』를 제정하여 선종교단을 독립시킨 공훈이 있었기 때문이라 하겠다.
일찍이 도신과 홍인의 동산법문에서 500여명, 마조문하에 800여명의 수행자가 운집하였다고 전하는데, 이러한 교단이 형성되면서 그 집단생활에 필요한 새로운 생활규정이 요구되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다. 그러한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하여 선종의 청규를 제정하여 중국불교의 일대혁신을 일으킨 사람이 바로 백장인 것이다.
하지만『조당집 권 14 마조장(馬祖章)』에서 한결같이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그는 자비심이 깊고 용모도 뛰어나 위인의 상호를 갖춘 인격자이었기에, 문하에는 다양하고 개성이 풍부한 선승들이 많이 모여 특징 있는 조사선의 불교를 대성시킬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한다.
6. 나오면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조선이 흥성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그 이유를 들어보자면
우선, 이전과는 다른 신불교 운동으로 일상성과 실용성을 가진 생활적이면서 실천적인 불교를 주창하였다.
둘째, 현실중심의 중국적 사고의 형성으로 인도적 요소를 제거하여 완전한 형태의 禪세계를 확립하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현실의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갈파하고 사람들에게 의지할 수 있는 정신이념을 제공한 명확한 현실관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제자들의 수적팽창과 그들의 다양한 특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보림전의 출현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 그의 사상적 특징은 실천성에 있으면서 일부러 애쓰지 않는 마음, 분별과 위작이 없는, 평상심에 있었다.
봄은 나를 자극하고 있다. 나의 분별심을 건드리고 있었다.
그러한 나에게 마조는 우는 아이를 달래는 일시적인 방편처럼, 그가 나에게 제시한 "즉심즉불"은 '밖을 향해 구하려는 병을 멈추라' 는 것이었다.
봄은 먼 산에 있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 캠퍼스 안에도 내 마음 안에도 봄은 존재해 있다고 했다.
또한, 그는 순간순간 깨어서 참 나를 발견하라고 지시했다.
우리의 대화속에는 논리적 추리로서 밝혀낼 성질의 것이 아닌 직관과 느낌에 의해서만 간파될 수 있는 어떤 의미가 숨어 있었다.
그래서 나는 백장도 되어 보았고, 석공 혜장도 되었고 사당지장도 되어보았다.
그의 천진한 제자가 되어 일상의 근저에서 생생하게 움직이고 살아있는 평상심의 그를 만났다.
그는 개개의 사람마다의 근기에 맞게 이끌어 주시는 창조적인 참교육 스승이 아닐 수 없었다.
끝으로 마조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반응하지 말라. 그저 묵묵히 비추라.
구름이 오고 가지만 하늘은 영원히 비어있다.』
※ 참고문헌
한글대장경 『組堂集, 傳燈錄』, 서울:동국역경원, 1987.
이리야요시타카, 박용길 옮김, 『마조어록』, 서울:고려원, 1988.
정성본, 『禪의 歷史와 禪思想』, 서울:삼원사, 1994.
정성본, 『中國禪宗의 成立史硏究』, 서울:민족사, 1991.
柳田聖山著 안영길,추만호 譯, 『선의 사상과 역사』, 서울:민족사, 1989.
아베쵸이치 外, 최현각 옮김, 『인도의 선, 중국의 선』 서울:민족사, 1990.
吳經態지음, 류시화 옮김, 『禪의 황금시대』, 서울:경서원, 1986.
일지 著 『禪이야기』, 운주사, 1996.
오쇼라즈니쉬, 손민규 옮김, 『마조』, 서울:태일출판사, 1994.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6.22
  • 저작시기200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