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조도일의 선 사상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조도일의 선 사상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Ⅰ. 序論
1.연구의 목적
2.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 馬祖 以前의 禪思想
1.초기 禪宗의 禪思想
(1) 達摩의 禪思想과 傳法
(2) 東山法問
(3) 慧能의 禪思想
2. 祖師禪의 成立

Ⅲ. 馬祖道一의 生涯와 禪思想
1.馬祖 道一의 生涯
2.禪問答 속에서 나타난 禪思想
(1). 平常心是道
(2) 卽心是佛
(3) 馬祖의 方便法問

Ⅳ.. 馬祖 以後의 禪思想 전개.
1.馬祖門下의 禪僧.
2.禪宗의 융성과 발전.

본문내용

럼 여겨지는 大悟나 頓悟를 강조하지 않고 불교의 근본문제를 선적으로 파악하여 그 자신의 주체적 세계를 확립하려 하였다.
이하 운문종, 법안종, 위앙종등 기타 유파들은 결정적인 차이가 없이 유파를 형성했으며 송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선은 公案禪, 看話禪, 照禪등으로 발전했다.
이리하여 인도에서의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집중하여 지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행해졌던 선이 중국에 들어와서 여러 가지 사회적 변동에 의하여 부침과 성쇠를 거듭하며 중국민족의 생활과 중국사상의 문물속에 뿌리를 내려 그 어느 지역에서도 볼 수 없었던 “中國禪”이라는 특이한 불교의 한 흐름을 형성했던 것이다. 양재경(禪超), 『中國禪의 歷史』,1996년
Ⅴ. 結 論
지금까지 마조도일의 선사상인 평상심시도와 즉심시불을 중심으로 하여, 마조의 방편법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선문답을 통해서 마조의 선사상을 살펴보았다.
또, 마조선의 성립을 알기 위해서 초기선종사인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에 이르기까지의 선사상을 살펴보았고, 조사선이 성립된 배경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조이후의 마조의 제자들로부터 꽃피워나간 조사선의 발전과정에 대해서 백장과 오가칠종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마조의 선사상의 의미와 사상적으로만 접근을 했던 것과는 달리 마조의 일상생활속에서의 제자들과의 주고받은 선문답을 통해서 그 때의 마조가 무엇을 말하려고 한 것인지, 그 선문답속에 담긴 뜻은 무엇인지, 그 선문답을 통해서 가르친 선사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했다. 그래서 인간적인 면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선승이 아닌 인간적인 큰스님의 모습인 마조의 입장으로 접근을 하려고 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마조의 선은 달마의 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달마의 이입사행과 안심법문의 공관을 계승하되, 더욱더 현실속에서 구체화되고 사실적이고, 우리의 가슴에 직접 와닿을 수 있는 법문을 통해서 자신의 선사상을 가르쳤다.
또 마조는 혜능의 무심, 무념, 자성청정을 계승시켜 평상심시도라는 말을 만들었고, 이론적인 선 수행이 아닌, 인간중심적인 사고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평상심이 도‘ 라고 한 말인 것 같다.
평상심은 인간의 마음이 원래 청정하다는 자성청정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분별심을 떠난 자리이다. 본래청정하기 때문에 다만, 오염시키지 마라고 실천을 강조한다.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은 일체의 차별, 분별과 편견과 고정관념을 완전히 탈피한 근원적인 인간의 본래심을 말하는 것이지, 일체의 경계에 끄달리며 분별과 차별심에 떨어져 시기 질투를 일으키는 범부의 중생심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평상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평상심을 오염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망상과 망념을 없애는 오염시키지 않기 위한 노력인 실천을 해야하는 것이다.
또 마조는 즉심시불을 이야기하면서 마음밖에 따로 어떤 부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속에 부처가 구족되어있으니 자기속에서 찾으라고 강조한다. 이 것은 겉 모양에 집착하지 말고 자기 속에 일어나는 망념 하나하나를 자각하고 중생심에 끄달려서 본심을 잃어버리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이런 선사상을 마조는 자신의 일상속에서 제자들에게 즉각, 즉각, 그 상황에 맞게끔 법문을 하여 깨달음을 얻게한다. 이것은 마조의 독특한 기질이면서, 마조의 특별한 선풍이라고 생각한다. 이 이후에 선문답을 통해서 보면 선사들이 일상생활속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주변에 모든 사물과 대상이 나를 깨달음으로 이끄는 대상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조가 중국의 선종사에 끼친 영향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제자인 백장에게 선법이 전해지면서 백장은 청규를 제정하고 선종의 교단을 정립하고, 마조의 선법을 이어서 황벽에서 임제라는 큰 선승까지 배출해낸다. 또 마조의 제자인 남전 및으로 조주종심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선종사에 큰 획을 그은 인물들이 다양하게 배출되었다. 스님에서부터 방거사와 같은 재가불자까지 깨달음음 얻게하고 당대에 유명한 시인들 학자들도 마조에게 귀의한다.회창패불이라는 큰 시련을 겪으면서도 마조의 문하들은 더욱더 발전해서 오가칠종에 이르기까지 마조의 선이 흐르고, 오늘날 까지 마조의 선풍은 중국과 한국에 이르기까지 맥맥히 흐르고 있다. 이것이 다 마조의 독특한 가르침과 제자들과 중생들을 사랑하는 자비심이 빚은 결과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비춰볼 때, 마조는 정말 인간적이고 또 인간들을 사랑했고 그들에게 자기의 가르침을 더 쉽고, 생활속에서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법문하나하나에도 그 사람의 업과 상황에 맞게 설법을 해주는 정말 자비심이 넘치는 선승이었다. 그는 부처님이 강조하신 자비와 지혜를 실질적으로 직접 보여주신 선승이셨다.
그는 정말 부처님의 말씀과 부처님의 행동을 직접 실천하며 살다가신 진정한 살아있는 부처가 아니었나 생각해보면서 본 논문을 마친다.
◐참 고 문 헌◑
1.원 문
『능가사자기』<도신장> , (대정장 85)
『菩提達摩略辨大乘入道四行論』, (大正藏,)
『四家語錄』卷1 「馬祖道一禪師語錄」
『경덕전등록 』권6 (대정장 51)
2. 단행본
정성본 著, 『선의 역사와 사상 (불교시대사, 2000)』
김태완 지음, 『 조사선의 실천과 사상』(장경각, 2004)
이은윤 지음 『중국 선불교 답사기 1권(밥 그릇이나 씻어라)』(자작나무,1997)
김태환 역주 및 도움말, 『마조어록』(침묵의 향기, 2005)
오경웅 지음, 류시화 옮김 『禪의 황금시대』경서원 1998
오쇼 라즈니쉬 지음, 손민규 옮김 『마조-오쇼라즈니쉬의 마조어록강의』(태일, 1994)
1998년六朝慧能, 정성본 譯註 『敦煌本 六朝檀經』한국선문화연구원, 2003
동화사, 『참선수행 어떻게 할 것인가?-담선대법회 中 조사선의 성립과 수행체계-성본스님』(동화사, 2004)
이리야 요시타카, 박용길 옮김 『마 조 어 록』(고려원, 1988)
關口眞大, 이영자 옮김 『선종사상사』(문학생활사,1987)
정성본 著 『中國禪宗의 成立史 硏究』(민족사, 2000)
김진무, 노선환 공저 『祖師禪』(운주사, 2000)
3. 논 문
신명희 <마조의 선사상 연구> 1998년
양재경(禪超), <中國禪의 歷史>,1996년

키워드

마조도일,   선사상,   불교,   선종사,   역사,   생애,   중국,   선사
  • 가격3,5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7.08.30
  • 저작시기200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