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의료선교의 나아가야 할 방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 의료선교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2
3. 연구 방법 …………………………………………… 2

Ⅱ. 본 론
1. 선교와 의료선교의 개념 ………………………… 3
(1) 선교란?
(2) 의료선교란?
2. 기독교선교와 의료봉사의 관계
(1) 의료봉사를 전도의 수단으로 이해하는 입장…4
(2) 의료봉사를 전도에 따라 오는 결과로 이해하는 입장……………………………………………………5
(3) 의료봉사를 전도의 표현으로 이해하는 입장…6
(4) 의료봉사를 전도의 동반자로 이해하는 입장…7
3. 기독교 선교역사에 나타나는 의료선교의 중요성
(1) 선교에 나타난 치유사역의 중요성 ……………9
(2) 선교역사에 나타나는 의료선교 사역의 중요성....13
4. 지역사회 의료선교의 실태 및 문제점
(1) 지역사회 의료선교의 문제점 …………………17
(2) 의료 선교사의 문제점 …………………………18
5. 21세기 의료선교의 전망과 방향…………………21

Ⅲ. 결 론
1. 결론 …………………………………………………23
2. 제언 …………………………………………………23

참고문헌 ………………………………………………… 26

본문내용

증원에 대한 과제
현실적으로 의료 선교사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특별히 제3세계의 형편은 의료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며, 여전히 질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의료선교사의 증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중앙아프리카의 경우를 런던의 상황과 비교해 보면 런던이 400명단 한 명의 의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중앙아프리카는 50,000명에 한 명 꼴을 이룬다. 의료선교사의 부족은 기본적으로 기독 의사의 부족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선공에 헌신하는 의사들의 부족 때문이다. 선교에 헌신하는 기독 의사의 부족은 의사로서 현실적인 요구를 거부하기 어렵고 후원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요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의 경우에 한 의사가 선교 사역에 헌신하게 되면 수입이 1년에 5만 달러에서 1만 달러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는 기독의사들의 모임 속에 선교정신 고취와 의학교육 중에 있는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 혹은 단기선교의 기회들을 마련하는 일들이 필요하다. 현실적인 후원 문제를 위해서는 교회와 기독 의료인들의 관심 있는 기도와 지원 정책들이 마련되어가야 할 것이다.
(3) 팀 사역의 활성화로 통한 선교의 바른 균형을 수행하는 과제
복음전도와 의료사역의 균형 잡힌 활등이 곧 기독교 선교에 필요한 요소이다. 양자에 대한 균형 잡힌 사역의 방향이 무엇인가? 한 사람의 선교사가 그의 활동의 50%는 복음전도에 나머지 50%는 의료사역에 투자해야 할 것인가? 한 사람의 의료 선교사에게 있어서 이러한 사역은 불가능하며 반드시 효과적일 수 있는 일도 아니다. 모든 전문인 선교사들은 자신의 전문 영역에 우수하게 그리고 우선적으로 사역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전문직 선교사가 복음전도에 있어서 교회개척 선교사와 동일한 비중의 사역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복음전도와 봉사의 사역이 포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포괄적 사역의 균형이 기독교 선교의 목적인 하나님 나라 확장에 요구되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여기 포괄적 사역의 균형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들 가운데 하나가 교회개척 선교사와 의료 선교사의 팀 사역으로 이해된다. 선교의 현장에서 복음전도와 봉사사역이 그 지역에서 포괄적으로 균현을 이루는 효과적인 방안이 곧 팀 사역이 될 것이다. 그러나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와 봉사사역의 균형이 깨어져 봉사사역 자체만을 선교로 강조하면 “사회봉사 중심주의 선교(mission associal movement)로 기울어지고 마는 것이다. 의료선교가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갈 위험성을 늘 인식하면서 균형 잡힌 사역을 위한 방안으로 팀 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팀 사역의 실행을 위해서는 교회개척 선교사와 의료선교사들이 선교현장에 이르기 전에 함께 사역하는데 필요한 상당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4) 현재 전세계적인 문제로 등장한 에이즈(AIDS)와 마약 환자들에 관한 과제
에이즈와 마약환자들의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에이즈는 이미 1989년의 한 기록에서 160개 이상의 나라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아프리카의 에이즈 문제는 심각한 현실에 놓여있다. 아프리카,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의 34개 국가에서는 성읜 4명중 1ㅕ의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으며, 이들 국가의 인구는 전세계이 10%에 불과 하지만 에이즈 감염자의 수는 전 세계 3천 만명 중 86%인 2천 6백만 명이다. 전 세계 에이즈 관련 사망자의 91%가 이들 나라에서 생겨난다. 아프리카에서 피해가 가장 심각한 보츠와나의 경우에는 평균 수명에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5년 전만해도 평균 수명이 61세 였으나 현재 47세 수준이며 2005년 내에는 41세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남아공화국에는 320만 명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며, 임신 여성 5명 중 1명이 에이즈 바이러스 양성 반응자로 나타난다. 마약환자 역시 세계적인 현상으로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황폐시키고 있으나 그럴듯한 대책이 없는 상태에서 확산되고 있다. 현대 의료선교의 과제 중에 하나는 이러한 환자들을 치료하는 전문적인 연구를 통하여 최대한의 도움을 베풀어야 한다. 동신에 사람들을 복음으로 설득하여 그리스도에게 돌아오게 함으로 이러한 질병을 파급시키는 모든 악행에서 돌아서도록 하는 사역들을 펼쳐나가는 일은 현 시대의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참고문헌
* 남은우 “기독신앙과 윤리”(고신대학교 출판부)
* 이상규 “의료선교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이복수 “의료선교의 중요성과 21세기의 전망”
* 의료와 선교(그리스도와 의료 223호), 의료선교사들의 제자훈련(1), 브라이언 하드 만
* 의료와 선교(그리스도와 의료 219호), 해외선교를 향한 지역의료선교팀의 조직과 운영(1), 한상환
* 의료와 선교(그리스도와 의료 220호), 해외선교를 향한 지역의료선교팀의 조직과 운영(2), 한상환
* 의료와 선교(그리스도와 의료 222호), 인간의 이해와 치유사역, 이우조
* 의료와 선교(그리스도와 의료 222호), 현대의학과 선교명령, 이철원
(Ronald,dietrick) 번역 송희완
* 강용원, “신학적 입장에서 본 질병관, 의료와 선교, ‘92년 여름호, 한국 기독교의료선교협회
* 남은우, 배성권(1994), 아시아지역의 의료선교를 위한 국제보건학적인 연구, 의료와 선교, 한국기독의사회 봄호, pp.19~20
* 박재윤, 의료와 선교, ‘93년 봄호(통권 7호)
자료검색
* 의료선교사의 문제점
http://koreamission.net/
* 지역사회 의료선교의 문제점
http://kcm.co.kr/mir/webzine/200203/nation.htm
* 선교란 무엇인가?
http://bbs.kcm.co.kr/NetBBS/Bbs.dll/missiontime2/qry/zka/B2-pBY-p/
qqo/PRMY/qqatt/%5E
* 2000년 세계 선교대회(평신도전문인)의료선교
http://bbs.kcm.co.kr/NetBBS/Bbs.dll/kcmmission/qry/zka/B2-kCI3p/qqo/
PRMY/qqschfld/007/qqschtxt/WMS2000/qqatt/%5E
  • 가격3,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6.06.2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