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장애인 복지시책
(2) 기타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사업
(3)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조례에 의거 시행하는 사업
(4) 민간기관에서 자체운영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사업
2) 강서구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시책
(2) 경제적 지원
(3) 이동편의 제공
(4) 각종 요금할인 및 감면
(5) 자동차 관련 시책
(6) 세금감면시책
3. 강서구 이용 가능한 자원
1)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2) 장애인 생활시설
3) 장애인 직업재활(근로)시설
(1) 기쁜우리복지관 보호작업장
(2) 열림일터
(4) 비인가 장애인 복지시설
(5) 장애인 주간·단기보호시설
6)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7) 교육기관
Ⅲ。결론 (후기)
Ⅱ。본론
1.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장애인 복지시책
(2) 기타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사업
(3)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조례에 의거 시행하는 사업
(4) 민간기관에서 자체운영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사업
2) 강서구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시책
(2) 경제적 지원
(3) 이동편의 제공
(4) 각종 요금할인 및 감면
(5) 자동차 관련 시책
(6) 세금감면시책
3. 강서구 이용 가능한 자원
1)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2) 장애인 생활시설
3) 장애인 직업재활(근로)시설
(1) 기쁜우리복지관 보호작업장
(2) 열림일터
(4) 비인가 장애인 복지시설
(5) 장애인 주간·단기보호시설
6)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7) 교육기관
Ⅲ。결론 (후기)
본문내용
곡분원
화곡본동 46-27
10
박성구
2692-8382
작은자들의 집
공항동 4-91
7
강영화
2664-9290
희망의 집
방화1동 608-49
6
이창문
2666-1774
여호화 닛시의 집
방화2동 614-149
6
정영자
2665-0326
(4) 비인가 장애인 복지시설
(5) 장애인 주간단기보호시설
가. 시설개요
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을 경감시켜 줌으로써 가족구성원이 안심하고 사회경제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운영
시설명
운영체
소재지
전화번호
늘푸른마을 주간보호
사회복지법인 교남재단
화곡동 960-22
교남소망의 집 내
2698-3880
기쁜우리복지관
부설 주간보호
사회복지법인 작은예수회
가양동 1466
기쁜우리복지관 내
3665-3831
파랑새교육원 주간보호
사단법인 여성자원금고
화곡동 958-12
화곡빌딩 2층
2692-1308
평강주간보호센터
한국정신지체애호협회 강서지부
내발산동 663-13
2658-2288
꿈자람터 주간보호
재단법인 천주교성모영보수녀회
등촌동 707
등촌7종합사회복지관 내
2658-6521
우리집 단기보호시설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등촌3동 668
성문교회 내
2658-7503
나. 시설현황
다. 운영현황
○ 운영내용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장애인을 주간 또는 단기 보호
○ 이용대상 : 재가장애인 중 거동불편 중증 장애인
○ 대상자선정
이용자의 신청을 원칙으로 하고, 희망자가 많을 경우에는 가족의 구성, 경제력, 주거실태, 장애정도, 보호시설과의 거리, 통원문제 등에 대한 자체 심의를 거쳐 결정
○ 운영시간 (주간보호)
- 평일 :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
- 토요일 :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1시 30분 (공휴일 미운영)
○ 이용료 : 1일 5000원 (시설별 운영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프로그램
- 식사 및 간식 제공, 재활치료프로그램
- 특별활동 등 프로그램 운영 (견학, 취미활동 및 교육지도 등)
6)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1) 강서구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 소재지 : 서울 강서구 가양동 1472-1
○ 공동대표 : 오동주, 김경상
○ 주요사업
- 장애인 고용증대를 위한 자립작업장 운영
- 생산품 : 전자부품 조립, 목장갑 생산 등
○ 전화 : 3665-1547, 2662-7878
FAX : 3665-1570, 2662-7877
7) 교육기관
(1) 교남학교
○ 소재지 : 서울 강서구 화곡동 960-22
○ 구분 : 정신지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립학교
○ 전화번호 : 2607-2456
Ⅲ。결론 (후기)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는 해마다 발전하고 있다. 작년부터 장애인콜택시 제도가 시행되어 중증 장애인에게 이동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 10종 장애유형에 호흡기, 간, 안면, 간질, 장루 등 5종이 추가되어 장애범주가 확대됨으로써 장애인복지혜택 수혜자가 증가하였다.
그런데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 자립과 참여의 확대 등 개선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사회각계, 각층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책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장애인의 권리행사에 불편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과제를 하면서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이렇게 많은 시책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자원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강서구 내 시책은 정부의 시책과 겹치는 부분이 대부분이었고, 지역 내에서 독특하게 사용되는 시책은 미비하다는 점이 안타까웠다. 또 그마저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특성이 있었다. 내가 살고 있는 강서구에도 장애인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하루에 4번밖에 운행되지 않았고, 장애인 콜택시 역시 5대 밖에 없어서 실질적으로 부족한 수준이었다.
현재 정부가 추정하는 장애인 수에 비해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 수는 2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인데 그 가장 큰 이유는 등록에 따른 실질적 혜택이 미비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지역별로 각종 시책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보를 엮은 장애인복지 시책 안내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소득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각종 시책 즉, 장애인 의무고용제의 강화,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 사업체의 범위확대, 장애인 고용 전문가의 양성과 적절한 배치를 통한 전문인력 역할 체계 수립 등의 개발과 재원의 확보가 필요하며, 재원조달 방식도 중앙정부의 의존에서 탈피하여 지방자치와 각종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개입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장애예방사업의 활성화와 재활에 관련되는 각종 제한요소들이 철폐되어야 할 것이며 재가장애인이나 중증장애인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편리하도록 재활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각종 제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생활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그 활동 범위를 확대시켜 주기 위하여 공공건물의 장애요소를 제거하고 모든 교통시설의 개선과 장애인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생활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수님~ 한 학기동안 정말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__)(^^)
정부의 장애인 복지 시책 분석과 지방자치단체에서의 복지 사업 분석 및 우리의 견해
Ⅰ。서론
Ⅱ。본론
1.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장애인 복지시책
(2) 기타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사업
(3)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조례에 의거 시행하는 사업
(4) 민간기관에서 자체운영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사업
2) 강서구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시책
(2) 경제적 지원
(3) 이동편의 제공
(4) 각종 요금할인 및 감면
(5) 자동차 관련 시책
(6) 세금감면시책
3. 강서구 이용 가능한 자원
1)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2) 장애인 생활시설
3) 장애인 직업재활(근로)시설
(1) 기쁜우리복지관 보호작업장
(2) 열림일터
(4) 비인가 장애인 복지시설
(5) 장애인 주간단기보호시설
6)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7) 교육기관
Ⅲ。결론 (후기)
화곡본동 46-27
10
박성구
2692-8382
작은자들의 집
공항동 4-91
7
강영화
2664-9290
희망의 집
방화1동 608-49
6
이창문
2666-1774
여호화 닛시의 집
방화2동 614-149
6
정영자
2665-0326
(4) 비인가 장애인 복지시설
(5) 장애인 주간단기보호시설
가. 시설개요
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을 경감시켜 줌으로써 가족구성원이 안심하고 사회경제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운영
시설명
운영체
소재지
전화번호
늘푸른마을 주간보호
사회복지법인 교남재단
화곡동 960-22
교남소망의 집 내
2698-3880
기쁜우리복지관
부설 주간보호
사회복지법인 작은예수회
가양동 1466
기쁜우리복지관 내
3665-3831
파랑새교육원 주간보호
사단법인 여성자원금고
화곡동 958-12
화곡빌딩 2층
2692-1308
평강주간보호센터
한국정신지체애호협회 강서지부
내발산동 663-13
2658-2288
꿈자람터 주간보호
재단법인 천주교성모영보수녀회
등촌동 707
등촌7종합사회복지관 내
2658-6521
우리집 단기보호시설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등촌3동 668
성문교회 내
2658-7503
나. 시설현황
다. 운영현황
○ 운영내용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장애인을 주간 또는 단기 보호
○ 이용대상 : 재가장애인 중 거동불편 중증 장애인
○ 대상자선정
이용자의 신청을 원칙으로 하고, 희망자가 많을 경우에는 가족의 구성, 경제력, 주거실태, 장애정도, 보호시설과의 거리, 통원문제 등에 대한 자체 심의를 거쳐 결정
○ 운영시간 (주간보호)
- 평일 :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
- 토요일 :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1시 30분 (공휴일 미운영)
○ 이용료 : 1일 5000원 (시설별 운영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프로그램
- 식사 및 간식 제공, 재활치료프로그램
- 특별활동 등 프로그램 운영 (견학, 취미활동 및 교육지도 등)
6)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1) 강서구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 소재지 : 서울 강서구 가양동 1472-1
○ 공동대표 : 오동주, 김경상
○ 주요사업
- 장애인 고용증대를 위한 자립작업장 운영
- 생산품 : 전자부품 조립, 목장갑 생산 등
○ 전화 : 3665-1547, 2662-7878
FAX : 3665-1570, 2662-7877
7) 교육기관
(1) 교남학교
○ 소재지 : 서울 강서구 화곡동 960-22
○ 구분 : 정신지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립학교
○ 전화번호 : 2607-2456
Ⅲ。결론 (후기)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는 해마다 발전하고 있다. 작년부터 장애인콜택시 제도가 시행되어 중증 장애인에게 이동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 10종 장애유형에 호흡기, 간, 안면, 간질, 장루 등 5종이 추가되어 장애범주가 확대됨으로써 장애인복지혜택 수혜자가 증가하였다.
그런데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 자립과 참여의 확대 등 개선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사회각계, 각층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책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장애인의 권리행사에 불편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과제를 하면서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이렇게 많은 시책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자원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강서구 내 시책은 정부의 시책과 겹치는 부분이 대부분이었고, 지역 내에서 독특하게 사용되는 시책은 미비하다는 점이 안타까웠다. 또 그마저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특성이 있었다. 내가 살고 있는 강서구에도 장애인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하루에 4번밖에 운행되지 않았고, 장애인 콜택시 역시 5대 밖에 없어서 실질적으로 부족한 수준이었다.
현재 정부가 추정하는 장애인 수에 비해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 수는 2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인데 그 가장 큰 이유는 등록에 따른 실질적 혜택이 미비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지역별로 각종 시책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정보를 엮은 장애인복지 시책 안내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소득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각종 시책 즉, 장애인 의무고용제의 강화,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 사업체의 범위확대, 장애인 고용 전문가의 양성과 적절한 배치를 통한 전문인력 역할 체계 수립 등의 개발과 재원의 확보가 필요하며, 재원조달 방식도 중앙정부의 의존에서 탈피하여 지방자치와 각종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개입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장애예방사업의 활성화와 재활에 관련되는 각종 제한요소들이 철폐되어야 할 것이며 재가장애인이나 중증장애인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편리하도록 재활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각종 제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생활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그 활동 범위를 확대시켜 주기 위하여 공공건물의 장애요소를 제거하고 모든 교통시설의 개선과 장애인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생활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수님~ 한 학기동안 정말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__)(^^)
정부의 장애인 복지 시책 분석과 지방자치단체에서의 복지 사업 분석 및 우리의 견해
Ⅰ。서론
Ⅱ。본론
1.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장애인 복지시책
(2) 기타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사업
(3)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조례에 의거 시행하는 사업
(4) 민간기관에서 자체운영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사업
2) 강서구 장애인 복지시책
(1) 정부의 시책
(2) 경제적 지원
(3) 이동편의 제공
(4) 각종 요금할인 및 감면
(5) 자동차 관련 시책
(6) 세금감면시책
3. 강서구 이용 가능한 자원
1)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2) 장애인 생활시설
3) 장애인 직업재활(근로)시설
(1) 기쁜우리복지관 보호작업장
(2) 열림일터
(4) 비인가 장애인 복지시설
(5) 장애인 주간단기보호시설
6) 장애인단체 총연합회
7) 교육기관
Ⅲ。결론 (후기)
추천자료
[아동복지][아동복지사업][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제도][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체계][아동...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사업][아동복지시설][아동문제][아동복지...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사업][아동복지전달체계][프랑스 아동복...
[시설복지사업][시설보호아동][시설아동][아동복지][아동복지시설]시설복지사업의 개념과 시...
[구세군][자선냄비][사회복지][사회복지사업][사회사업][성탄절][크리스마스]구세군의 유래, ...
[간병인, 복지간병사업단, 간병인력, 간병인무료소개소, 무료간병인사업, 자활간병사업, 간병...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업 지방이양의 배경과 현황을 설명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사업 지...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 유사개념의 이해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사회복지와 사회보장, 사회...
[사회복지개론] 학교사회사업과 교정복지사업 핵심 요약 (학교사회사업의 개념·구성요소·대상...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지역사회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정책(兒童福祉政策) - 교육복지우선지...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제1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
서울시가 SIB(사회성과연계채권)의 첫 사업으로 아동복지시설 아동교육 사회성과 보장사업을 ...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사업과 관련해 최근 대한민국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조...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등장배경, 사업내용, 재가노인복지서비스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