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스트롱 프로그램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을 소개하세요.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의 중요성
-과학철학 +과학사회학 = 과학지식사회학(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스트롱 프로그램이란...
-스트롱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행위자 - 연결망 이론의 등장
-라투르의 파스퇴르 분석
-스트롱 프로그램과 행위자 - 연결망 이론의 대립
-스트롱 프로그램 Vs 행위자 연결망 이론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의 중요성
-과학철학 +과학사회학 = 과학지식사회학(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스트롱 프로그램이란...
-스트롱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행위자 - 연결망 이론의 등장
-라투르의 파스퇴르 분석
-스트롱 프로그램과 행위자 - 연결망 이론의 대립
-스트롱 프로그램 Vs 행위자 연결망 이론
본문내용
한 것 아닌가? 더군다나 과학 기술은 우리 생활 구석구석, 그리고 생명에까지도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 생활과 생명에 관한 이슈는 바로 예술과 직결되어 있고, 따라서 예술가는 이러한 과학 기술의 영향과 본질에 대해 분석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제 과학이 발전하면서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생명의 근원, 사고의 근원, 우주의 근원, 감정의 근원, 이는 바로 예술의 영역인 것이다.
따라서 이제 예술가도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기술 혁신의 가능성과 그 의미를 연구해야 한다. 다만 깊고 좁은 눈을 가진 과학자와는 달리 폭 넓게, 유기적인 상관 관계를 보는 눈으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그 연구의 결과는 텍스트로, 영상으로, 음악으로, 조형물로, 그 이외에 여러 가지 매체와 이들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될 것이다. 첨단 기술을 작품 제작에 이용하거나 새로운 매체로서 활용할 가능성을 실험해 보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라는 사회 현상에 대한 작가의 분석과 이해, 사회에의 영향, 미래에의 예견은 당연히 예술가의 몫이다. 한 발 더 나아가서 예술가도 과학 발전과 기술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p. 10 참조.
<결론>
새로운 시대의 과학과 예술의 관계...나아갈 방향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예술가가 과학 발전과 혁신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내 생각에는 과학자와 예술가가 서로의 영역을 나누지 말고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공동으로 작업을 해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을 해본다. 한 프로젝트를 위해 서로 연구하고, 공동목표를 가지고 작업을 하되, 과학자와 예술가는 각자 본래 주어진 작업을 하는 것이다.
조직적인 공동 작업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1960년대부터 EAT(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라는 그룹이 형성되어 조직적인 공동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이 경우는 과학 기술자의 기술 보조원의 역할 이상은 하지 못했다. 1970년대 미국 벨 연구소는 전화, 음성 통신 연구에 예술가들을 참여시켜 큰 효과를 보기도 했다. 이 경우는 예술가가 기술 개발의 보조원 역할을 한 경우이다. Xerox PAPC 연구소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전설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명성을 쌓은 이유는 기술의 점진적인 발전보다는 혁신적인 방향 전환을 모색했다는 데 있었고, 여기에 아티스트 상주 프로그램이 큰 몫을 했다. MIT Media Lab에서 수행하는 몇 개의 프로젝트는 아예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술이 과학 기술 발전에 필요한 모티브와 원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p. 11 참조.
물론 과학자와 예술가의 공동 작업이 항상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결과를 못 내거나 심지어 악영향을 보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 점점 더 의외성이 높아 가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모험을 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어차피 과학과 예술은 성공할 확률 보다는 실패율이 더 높은 모험이고, 과학자와 예술가는 모험가라고 생각한다.
■ 참고 문헌
※단행본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아서 밀러, 김희봉 옮김, 『천재성의 비밀 :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서울 : 사이언스북스, 2001.
엘리안 스트로스베르, 김승윤 옮김, 예술과 과학, 서울 : 을유문화사, 2002.
따라서 이제 예술가도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기술 혁신의 가능성과 그 의미를 연구해야 한다. 다만 깊고 좁은 눈을 가진 과학자와는 달리 폭 넓게, 유기적인 상관 관계를 보는 눈으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그 연구의 결과는 텍스트로, 영상으로, 음악으로, 조형물로, 그 이외에 여러 가지 매체와 이들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될 것이다. 첨단 기술을 작품 제작에 이용하거나 새로운 매체로서 활용할 가능성을 실험해 보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라는 사회 현상에 대한 작가의 분석과 이해, 사회에의 영향, 미래에의 예견은 당연히 예술가의 몫이다. 한 발 더 나아가서 예술가도 과학 발전과 기술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p. 10 참조.
<결론>
새로운 시대의 과학과 예술의 관계...나아갈 방향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예술가가 과학 발전과 혁신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내 생각에는 과학자와 예술가가 서로의 영역을 나누지 말고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공동으로 작업을 해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을 해본다. 한 프로젝트를 위해 서로 연구하고, 공동목표를 가지고 작업을 하되, 과학자와 예술가는 각자 본래 주어진 작업을 하는 것이다.
조직적인 공동 작업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1960년대부터 EAT(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라는 그룹이 형성되어 조직적인 공동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이 경우는 과학 기술자의 기술 보조원의 역할 이상은 하지 못했다. 1970년대 미국 벨 연구소는 전화, 음성 통신 연구에 예술가들을 참여시켜 큰 효과를 보기도 했다. 이 경우는 예술가가 기술 개발의 보조원 역할을 한 경우이다. Xerox PAPC 연구소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전설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명성을 쌓은 이유는 기술의 점진적인 발전보다는 혁신적인 방향 전환을 모색했다는 데 있었고, 여기에 아티스트 상주 프로그램이 큰 몫을 했다. MIT Media Lab에서 수행하는 몇 개의 프로젝트는 아예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술이 과학 기술 발전에 필요한 모티브와 원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p. 11 참조.
물론 과학자와 예술가의 공동 작업이 항상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결과를 못 내거나 심지어 악영향을 보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 점점 더 의외성이 높아 가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모험을 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어차피 과학과 예술은 성공할 확률 보다는 실패율이 더 높은 모험이고, 과학자와 예술가는 모험가라고 생각한다.
■ 참고 문헌
※단행본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아서 밀러, 김희봉 옮김, 『천재성의 비밀 :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서울 : 사이언스북스, 2001.
엘리안 스트로스베르, 김승윤 옮김, 예술과 과학, 서울 : 을유문화사, 2002.
추천자료
원격교육으로 이루어지는 평생교육프로그램.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유아교육에의 적용
교수 학습이론의 유형(스키너,브루너,오스벨,피아제,비고츠키)
에릭번의 교류분석이론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계획안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계발
유아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한국적 공정성 이론화를 위한 서설적 작업: 탄핵 관련 한국언론학회 보고서 비판을 중심으로
<우수자료>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미술치료기법
H.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이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
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의 우리나라의 교육적 적용에 대한 연구
유아발달 이론과 교수·학습방법
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