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세포 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과 윤리적 입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세포 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과 윤리적 입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체세포 복제와 배아줄기세포의 정의
①체세포 복제
②배아줄기세포 복제
2)기독교적 입장
3)윤리적 입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람이 다른 사람들의 삶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고 그들의 생물학적 본질을 마음대로 또는 순전히 실리적인 기준에 따라 선별하여 계획대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생각을 조장한다.
또한 인권이라는 측면에서, 인간 복제는 모든 인간 권리의 바탕이 되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고 차별이 없다는 기본원칙에 위배된다. 인간 복제가 거부당하는 이유는 그것이 복제를 당한 사람의 존엄과 인간 생식의 존엄을 부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은 그 무엇보다도 심각하고 예기하지 못한 문화의 부산물을 가져올 것이다. 그것은 남성과 여성의 가치가 그들의 인격적 본질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높은 평가를 받아 선별될 수 있는 생물학적 특질에 달려 있다는 확신이 점점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요나스가 이미 언급했듯이 그러한 모의는 불가능할 뿐더러 비도덕적이다. ‘복제인간’은 복제할 ‘가치가 있는’ 누군가와 닮게 만들어 졌기 때문에 숙명적으로 그는 기대와 주목을 받는 대상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기대와 주목이 그의 인격적 주체성에 진정 타격이 될 것이다. 복제인간(배아복제)의 경우에서 그것이 비도덕적인 까닭은 배아 단계라도 그는 ‘사람’으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3. 결론
사실 체세포 복제와 배아줄기세포복제의 종착지는 ‘인간복제’이다. 또한, 아무리 사람들이 인간복제를 막고자 하고 반대한다고 해도 언젠가(혹은 지금이라도), 어딘가 에선 인간복제를 해 복제인간을 만들어낼 것이다. 지금 사람들의 반대하는 마음과 우려하는 마음역시 인간복제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에 대한 기대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반대하거나 찬성을 하는 토론이 아니라 앞으로 일어날 문제점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법이 겨우 작년에서야 제정이 되었다고 한다. 사람들의 관심 속에 이슈가 되어가고 있는 이러한 사회에서 앞으로에 대한 더 큰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빠른 대책과 법규정, 윤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
4. 참고문헌
인간복제 미래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 악셀칸, 파브리스 빠삐용 지음, 황우석 감수
기독교 생명윤리 개론 - 노영상 지음.
생명윤리의 철학 - 구인회 지음.
알기 쉬운 생명윤리 - Croix, J. M. de la 지음.
생명윤리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 이창영 지음.
생명 윤리학 - 스콧 래, 폴 콕스 지음.
인간복제, 그 빛과 그림자- 안종주 지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07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