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설
II. 대리권남용의 법률구성
1. 문제점
2. 학설
(1)제107조 제1항 단서 유추적용설(비진의표시설)
(2)권리남용설(신의칙설)
(3)무권대리설(대표권부인설)
3. 판례
4. 검토
III. 대리권남용시 구체적 법률관계
1. 대리행위의 효력
2. 표현대리의 성립여부
3. 대리인의 책임
IV. 적용범위
1. 법정대리
2. 표현대리
3. 대표권의 남용
[참고문헌]
II. 대리권남용의 법률구성
1. 문제점
2. 학설
(1)제107조 제1항 단서 유추적용설(비진의표시설)
(2)권리남용설(신의칙설)
(3)무권대리설(대표권부인설)
3. 판례
4. 검토
III. 대리권남용시 구체적 법률관계
1. 대리행위의 효력
2. 표현대리의 성립여부
3. 대리인의 책임
IV. 적용범위
1. 법정대리
2. 표현대리
3. 대표권의 남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대리권남용이론이 적용될 수 있다. 양자는 신뢰의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표현대리가 성립하는 경우에도 대리권남용이 있을 수 있다(다수설, 대판 86다카1004).
3. 대표권의 남용
법인의 대표에 관하여는 대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므로(제59조 제2항), 대표권남용의 경우에도 대리권남용의 법리가 적용된다(통설과 판례).
[참고문헌]
김형배, 민법학강의 민법총칙편 (신조사 2006)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04)
김종원, 핵심정리민법 (고시연구사 2004)
권순한, 요해민법 I (도서출판 학우 2004)
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임영호, 민법의 정리 (유스티니아누스 2003)
저명교수엄선 700제 민법, (법률저널 2005)
송영곤, 민법의 쟁점1, (유스티니아누스 2004)
3. 대표권의 남용
법인의 대표에 관하여는 대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므로(제59조 제2항), 대표권남용의 경우에도 대리권남용의 법리가 적용된다(통설과 판례).
[참고문헌]
김형배, 민법학강의 민법총칙편 (신조사 2006)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04)
김종원, 핵심정리민법 (고시연구사 2004)
권순한, 요해민법 I (도서출판 학우 2004)
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임영호, 민법의 정리 (유스티니아누스 2003)
저명교수엄선 700제 민법, (법률저널 2005)
송영곤, 민법의 쟁점1, (유스티니아누스 2004)
추천자료
독일민법과 우리나라민법상 불법행위
민법상의 기간
민법상의 사무관리
민법상 법인의 본질과 불법행위 책임
민법상 권리능력 없는 사단에 대한 법적 검토
민법상 법인의 소멸 연구
민법상 법인의 이사에 대한 법적 검토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산정에 대한 법적 검토
민법상 의사, 변호사, 성직자의 업무로 인한 정당행위 성립 여부
2008년 1학기 민법총칙 중간시험과제물 D형(권한을 넘은 표현대리)
2007년 1학기 민법총칙 중간시험과제물 D형(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에 관하여)
민법상 전형계약 14가지의 유형
[민법] 민법상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의 종중의 법적 지휘에 대해서
민법상 노무공급 방식으로 고용, 도급, 위임의 구분 (민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