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위스는?
2. 스위스의 지형
3. 스위스의 기후
4. 스위스 음식의 특징
(1) 다양한 나라의 음식 발달
(2) 소박함
(3) 유제품(치즈)의 발달
5. 스위스의 대표적인 음식
6. 여러 가지 향토요리
7. 스위스의 식사예절
2. 스위스의 지형
3. 스위스의 기후
4. 스위스 음식의 특징
(1) 다양한 나라의 음식 발달
(2) 소박함
(3) 유제품(치즈)의 발달
5. 스위스의 대표적인 음식
6. 여러 가지 향토요리
7. 스위스의 식사예절
본문내용
어니언을 곁들여 먹으면 더욱 맛있으며 치즈는 계속 리필할 수 있다. 치즈는 불로 녹이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현재는 전기 오븐으로 녹인다. 요즘은 다른 나라에서도 라클레트 전용기를 이용하며 예전보다는 많이 만들어 먹지만, 전용그릴이나 라클레트용 치즈를 구하기 힘들다고 한다.
알펜 마카로니 (Alplen Macaroni) : 산악지방에서 많이 먹으며, 감자와 마카로니를 치즈로 버무린것으로, 바싹 튀긴 양파가 곁들여 나온다.
브라트부어스트 (Bratwurst) : 독어권에서 많이 먹으며, 구운 흰 소시지에 소스를 뿌려 먹는다.
뢰스티 (Rosti) : 독어권, 특히 상트갈렌주에서 많이 먹으며, 갈색 프랑스 푸르크 같은 소시지이다.
뵌트너플라이쉬/비안드세쉬(Bndner Fleisch /
Viande Sche) : 주로 발레 주, 그라우뷴덴 주. 조 미료를 묻힌 쇠고기를 공기 건조시킨 후 얇게 잘라 먹는다. 와인의 안주로 그만이다.
플렌다 (Polenta) : 이탈리아권에서 많이 먹으며, 옥수 수분으로 만드는 곡물 죽이다. 기호에 따라 치즈를 뿌려 먹는다.
피렛 드 페스쉐 (Filet de Perche) : 프랑스어 권, 호수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호수에서 잡은 작 은 흰 살생선 퍼스쉐를 프라이해서 먹는다.
엥가디너 누스토르테 (Engadiner Nusstorte) : 그라우뷴덴 주 엥가딘 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호두와 캐러멜이 가득 들어 있는 전통 타르트로, 며칠이 지나도 맛이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1~3개월 정도 보존할 수 있다.
헤젤누스 렙쿠헨 (Hselnusslebkuhen) : 베른 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헤젤넛이 들어 있 는 진저브래드이다.
글루바인 : 일반적으로 화이트와인은 섭씨 9~10도 사이에서 그리고 레드와인은 15~18도 사이에서 마시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글루바인은 ‘따끈하게 데워 마시는 와인’이다. 독일어로 글루(Gluh)는‘따뜻한’이란 뜻이고, 바인(Wein)은 와인을 뜻하는데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에서는 추운 날씨 속에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와인에 여러 가지 몸에 좋은 재료를 섞은 다음 끓여 마신다.
7. 스위스의 식사예절
(1) 식사 초대를 받았을 때
- 방문할 집의 여주인에게 포장하지 않은 꽃을 선물하는 것이 관습이다. 국화나 흰색 애스터는 장례식에 사용되는 꽃이므로 피하도록 하고, 붉은 장미 역시 적합하지 않 다.
- 너무 일찍 가거나 너무 늦게 가지 않는다.
- 스위스에서는 작별인사가 여러 단계에 걸쳐서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2) 공공장소에서의 복장은 대체로 간편한 옷이면 무난하지만, 일류 레스토랑이나 호텔 레 스토랑, 중요한 사교모임 등에서는 정장이 필요하며, 검은 넥타이를 착용해야 할 경우 도 있다.
(3) 팁에 대해서는 모든 호텔과 레스토랑, 카페, 술집, 택시, 미용실의 서비스에 15%의 서 비료가 포함되도록 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래서 따로 팁을 주지 않아도 된다.
(4) 물은 수돗물도 마실 수 있으나, 유럽지역 물에 석회질이 많은 관계로 될 수 있으면 미 네랄 워터를 마시는 것이 좋다.
(5) 스위스의 레스토랑들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품질은 어디를 가도 우수하다고 평가받기 때문에 매우 우수하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곳도 많고 지역 내에서 명 성이 자자한 곳도 많다. 레스토랑의 영업시간은 대개 11:00~14:00, 19:00~22:00이며, 역 주변의 뷔페, 셀프서비스 레스토랑은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 까지 영업한다.
- 레스토랑에서 주의할 점.
▷자리 : 레스토랑은 보통 좌석을 안내해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역이나 백화점은 레스토 랑, 또는 옥외의 테라스에 마련된 좌석 등에는 자기의 뜻대로 자리를 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때에는 눈이 마주친 웨이터한테 묻는데 좌석을 가리키며 앉을 뜻을 표시 하면 된다.
▷메뉴 : 자리에 앉으면 직원이 메뉴를 가지고 온다. 메뉴가 없어 직원을 부를 때는 메뉴를 주세요! 라고 말할 경우 프랑스어권에서는 정식을 주문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계산 : 한국처럼 계산대에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자리에 앉아 계산하는 것이 통상적이 다.
*목 차
1. 스위스는?
2. 스위스의 지형
3. 스위스의 기후
4. 스위스 음식의 특징
(1) 다양한 나라의 음식 발달
(2) 소박함
(3) 유제품(치즈)의 발달
5. 스위스의 대표적인 음식
6. 여러 가지 향토요리
7. 스위스의 식사예절
알펜 마카로니 (Alplen Macaroni) : 산악지방에서 많이 먹으며, 감자와 마카로니를 치즈로 버무린것으로, 바싹 튀긴 양파가 곁들여 나온다.
브라트부어스트 (Bratwurst) : 독어권에서 많이 먹으며, 구운 흰 소시지에 소스를 뿌려 먹는다.
뢰스티 (Rosti) : 독어권, 특히 상트갈렌주에서 많이 먹으며, 갈색 프랑스 푸르크 같은 소시지이다.
뵌트너플라이쉬/비안드세쉬(Bndner Fleisch /
Viande Sche) : 주로 발레 주, 그라우뷴덴 주. 조 미료를 묻힌 쇠고기를 공기 건조시킨 후 얇게 잘라 먹는다. 와인의 안주로 그만이다.
플렌다 (Polenta) : 이탈리아권에서 많이 먹으며, 옥수 수분으로 만드는 곡물 죽이다. 기호에 따라 치즈를 뿌려 먹는다.
피렛 드 페스쉐 (Filet de Perche) : 프랑스어 권, 호수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호수에서 잡은 작 은 흰 살생선 퍼스쉐를 프라이해서 먹는다.
엥가디너 누스토르테 (Engadiner Nusstorte) : 그라우뷴덴 주 엥가딘 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호두와 캐러멜이 가득 들어 있는 전통 타르트로, 며칠이 지나도 맛이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1~3개월 정도 보존할 수 있다.
헤젤누스 렙쿠헨 (Hselnusslebkuhen) : 베른 지방에서 많이 먹는다. 헤젤넛이 들어 있 는 진저브래드이다.
글루바인 : 일반적으로 화이트와인은 섭씨 9~10도 사이에서 그리고 레드와인은 15~18도 사이에서 마시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글루바인은 ‘따끈하게 데워 마시는 와인’이다. 독일어로 글루(Gluh)는‘따뜻한’이란 뜻이고, 바인(Wein)은 와인을 뜻하는데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에서는 추운 날씨 속에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와인에 여러 가지 몸에 좋은 재료를 섞은 다음 끓여 마신다.
7. 스위스의 식사예절
(1) 식사 초대를 받았을 때
- 방문할 집의 여주인에게 포장하지 않은 꽃을 선물하는 것이 관습이다. 국화나 흰색 애스터는 장례식에 사용되는 꽃이므로 피하도록 하고, 붉은 장미 역시 적합하지 않 다.
- 너무 일찍 가거나 너무 늦게 가지 않는다.
- 스위스에서는 작별인사가 여러 단계에 걸쳐서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2) 공공장소에서의 복장은 대체로 간편한 옷이면 무난하지만, 일류 레스토랑이나 호텔 레 스토랑, 중요한 사교모임 등에서는 정장이 필요하며, 검은 넥타이를 착용해야 할 경우 도 있다.
(3) 팁에 대해서는 모든 호텔과 레스토랑, 카페, 술집, 택시, 미용실의 서비스에 15%의 서 비료가 포함되도록 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래서 따로 팁을 주지 않아도 된다.
(4) 물은 수돗물도 마실 수 있으나, 유럽지역 물에 석회질이 많은 관계로 될 수 있으면 미 네랄 워터를 마시는 것이 좋다.
(5) 스위스의 레스토랑들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품질은 어디를 가도 우수하다고 평가받기 때문에 매우 우수하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곳도 많고 지역 내에서 명 성이 자자한 곳도 많다. 레스토랑의 영업시간은 대개 11:00~14:00, 19:00~22:00이며, 역 주변의 뷔페, 셀프서비스 레스토랑은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 까지 영업한다.
- 레스토랑에서 주의할 점.
▷자리 : 레스토랑은 보통 좌석을 안내해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역이나 백화점은 레스토 랑, 또는 옥외의 테라스에 마련된 좌석 등에는 자기의 뜻대로 자리를 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때에는 눈이 마주친 웨이터한테 묻는데 좌석을 가리키며 앉을 뜻을 표시 하면 된다.
▷메뉴 : 자리에 앉으면 직원이 메뉴를 가지고 온다. 메뉴가 없어 직원을 부를 때는 메뉴를 주세요! 라고 말할 경우 프랑스어권에서는 정식을 주문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계산 : 한국처럼 계산대에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자리에 앉아 계산하는 것이 통상적이 다.
*목 차
1. 스위스는?
2. 스위스의 지형
3. 스위스의 기후
4. 스위스 음식의 특징
(1) 다양한 나라의 음식 발달
(2) 소박함
(3) 유제품(치즈)의 발달
5. 스위스의 대표적인 음식
6. 여러 가지 향토요리
7. 스위스의 식사예절
추천자료
산을 사랑하는 스위스
스위스의 문화와 관광
스위스의 모든 것
강소국의 개념 및 사례연구(네덜란드, 스위스, 아일랜드, 핀란드)
도시의 매력-스위스에 대해서
한.중.일 식사 예절
선진국의 노인복지 현황 ,뉴질랜드, 호주,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미국
한국의 상차림 예절과 전통음식
한식의 세계화 (한식의 특징, 한식을 세계화할수있는 음식 3가지,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
[영양학 석사학위논문] 남. 여 고등학생의 음식선호도 및 식사 습관에 관한 연구 (충남 지역...
스와치(Swatch) - 스위스시계사업,미국.이론시계사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독일 사람들의 음식문화를 알아보고 독일의 음식 문화와 독일 정신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한국전통음식의 개요 (전통음식 정의. 한국전통음식 특징, 우수성, 종류, 한국전통음식의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