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의의 및 구별개념
1. 의의
2. 기본권의 제한과의 구별
II. 내재적 한계의 작용
III. 독일에서의 기본권의 내재적 한계의 논증형식(허영)
1. 학설
(1)3한계이론
(2)개념내재적 한계이론
(3)국가공동체유보이론
(4)규범조화를 위한 한계이론
IV. 우리헌법에서의 인정여부
1. 긍정설
2. 부정설(또는 신중설)
3. 헌법재판소의 태도
[참고문헌]
1. 의의
2. 기본권의 제한과의 구별
II. 내재적 한계의 작용
III. 독일에서의 기본권의 내재적 한계의 논증형식(허영)
1. 학설
(1)3한계이론
(2)개념내재적 한계이론
(3)국가공동체유보이론
(4)규범조화를 위한 한계이론
IV. 우리헌법에서의 인정여부
1. 긍정설
2. 부정설(또는 신중설)
3. 헌법재판소의 태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헌법재판소의 태도에 대하여는 헌법 제37조 제2항과의 관계에서 과연 그러한 논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는지 의문이라는 비판이 있다. 왜냐하면 법률에 의한 기본권의 제한은 기본권의 내재적 한계를 그 이념적인 기초로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기본권의 제한이 기본권의 내재적 한계에 의해서 정당화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허영).
[참고문헌]
1)김현석, 증보판 헌법(헤르메스 2005), 2)홍성방, 헌법I (현암사 2001 제3쇄)
3)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4)황남기, 전정판 헌법 (도서출판 찬글 2004)
5)저명교수엄선 700제 헌법, (법률저널 2005) ,6)이경찬, 헌법보충자료 (한국서원 2004), 7)정회철, 헌법 2005 , 8)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2004
[참고문헌]
1)김현석, 증보판 헌법(헤르메스 2005), 2)홍성방, 헌법I (현암사 2001 제3쇄)
3)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4)황남기, 전정판 헌법 (도서출판 찬글 2004)
5)저명교수엄선 700제 헌법, (법률저널 2005) ,6)이경찬, 헌법보충자료 (한국서원 2004), 7)정회철, 헌법 2005 , 8)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