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카레향신료의 항 돌연변이 효과
2.1 재료
2.2 방법
2.3 결과
3. 카레향신료의 항균성
3.1 방법
3.2 결과
4. 향신료의 항산화효과 및 용매에 따른 항산화작용 증진효과
4.1 방법
4.2 결과
5. 결론
◎ 참고 논문
2. 카레향신료의 항 돌연변이 효과
2.1 재료
2.2 방법
2.3 결과
3. 카레향신료의 항균성
3.1 방법
3.2 결과
4. 향신료의 항산화효과 및 용매에 따른 항산화작용 증진효과
4.1 방법
4.2 결과
5. 결론
◎ 참고 논문
본문내용
, 모든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메탄올 추출물 중 항산화 효과가 가장 강한 향신료는 rosemary로 대조구에 비해 유도기간이 10.9시간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효과를 보인 sage, ginger, turmeric, nutmeg, oregano, thyme의 유도기간은 대조구에 비해 2.7-6.5시간 증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도 rosemary를 첨가한 미강유의 유도기간이 43.9시간으로 대조구에 비해 21.3시간 증가하여 가장강한 항산화효과는 보였으며, sage, oregano, thyme, ginger는 대조구에 비해 유도기간이 4.5-8.3시간 증가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헥산 추출물의 경우도 rosemary가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보여 대조구에 비하여 24.8시간 증가하였으며 sage, oregano, ginger, thyme의 추출물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유도기간이 2.5-8.8시간 증가하는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보인 것은 rosemary였으며 sage, ginger, oregano, thyme은 3가지 용매 추출물 모두에서 좋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이 실험을 통해 향신료의 항산화 효과의 크기는 추출용매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6. Yields of the curry spices extracted by methanol,
ethylacetate and hexane
Table 7. Induction periods of rice bran oils containing methanol,
ethylacetate and hexane extracts(1,500 ppm) of the spices
5. 결론
본 실험은 각종 생리활성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카레가 실제로 어떤 면에서 좋은지를 알아보고자 했던 실험이었다. 인체에 유익한 각종 향신료로 이루어진 카레분을 이용하여 실험목적의 신빙성을 위해 3가지 실험을 하였다. 향신료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균작용, 항산화작용을 알아보는 실험을 하여 실제로 향신료가 이러한 작용을 하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따라서 카레를 섭취함으로서 각종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결과 항 돌연변이 효과는 직접변이원에서는 cinnamon이, 간접변이원에서는 clove가 가장 컸다. 또 항균성에서는 oregano가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종류의 향신료를 3종류의 용매로 추출했을 경우 모두 rosemary가 가장 큰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헥산으로 추출했을 때 크 효과가 가장 컸다. 이외의 다른 향신료들도 실험을 통해 어느 정도 이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9년 미국의 국립암연구소(NCI)의 Piason박사에 의해 명명된 designer food라는 새로운 식품군은 암예방을 목적으로 design된 식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에 NCI를 중심으로한 designer food program이 발족되었다. 이 계획 중에 약 40여종의 식용식물군이 발표되었으며 여기에는 향신료인 ginger, turmeric, rosemary, thyme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향신료의 oil이나 oleoresin, 기능성 색소 등이 암예방의 임상연구에 가장 가까이 있는 식품소재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oil, oleoresin으로는 rosemary, onion, garlic, fennel, 참깨, paprica, turmeric 등이 있고, 색소로는 paprika, saffron, turmeric등이 있으며, 단일 성분으로는 limonene등이 있다. 동물실험 결과 발암 억제 효과가 명확히 밝혀진 것으로는 garlic, onion, isothiocynate, limonene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앞으로 향신료의 생리기능은 노화방지 및 암 예방에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얼마전 미국의 건강전문지 '헬스'지가 선정한 세계 5대 건강식품 중의 하나로 선정된 인도의 렌즈콩이 카레에 사용되고 있고, 카레의 주원료로서 항암 효과와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 등으로 인도와 중남미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불리는 강황(姜黃)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위장을 보호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치매예방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처럼 카레는 인간에게 특유의 맛 뿐만 아니라 각종 약리작용을 제공하는 유익한 식품이다. 최근 합성색소와 음료수의 벤젠 등 합성물질들의 부작용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소비자들은 식품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향신료 같은 천연물질과 이를 이용한 식품의 개발은 앞으로 식품관련 전공자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현재 맛 뿐만 아니라 건강을 중요시 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에 맞추어 식품회사들이 더 좋은
향신료를 포함한 기능성 카레를 시판 중이므로 이를 섭취함으로써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참고 논문
1)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정승현( Seung Hyeon Jung ), 정명수( Myong Soo Chung ), 이진선( Jin Sun Lee ),
박기문 ( Ki Moon Park )
한국축산식품학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2002
2) 카레 향신료 정유성분의 항균성
정창기( Chang - Ki Chung ), 박완규( Oan - Kyu Park ), 유익제 (Ik - Je Yoo )
박기문( Ki - Moon Park ), 최춘언( Chun - Un Choi )
한국식품과학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1990
3)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안채경( Chae Kyung Ahn ), 이영철( Young Chul Lee ), 염초애( Cho Ae Yeom )
한국식품과학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2000
4) 천연 향신료의 기능성을 이용한 유제품개발
박기문( Ki - Moon Park )
Koeran Dariry Techno. 16(2) : 137-153, 1998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도 rosemary를 첨가한 미강유의 유도기간이 43.9시간으로 대조구에 비해 21.3시간 증가하여 가장강한 항산화효과는 보였으며, sage, oregano, thyme, ginger는 대조구에 비해 유도기간이 4.5-8.3시간 증가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헥산 추출물의 경우도 rosemary가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보여 대조구에 비하여 24.8시간 증가하였으며 sage, oregano, ginger, thyme의 추출물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유도기간이 2.5-8.8시간 증가하는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보인 것은 rosemary였으며 sage, ginger, oregano, thyme은 3가지 용매 추출물 모두에서 좋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이 실험을 통해 향신료의 항산화 효과의 크기는 추출용매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6. Yields of the curry spices extracted by methanol,
ethylacetate and hexane
Table 7. Induction periods of rice bran oils containing methanol,
ethylacetate and hexane extracts(1,500 ppm) of the spices
5. 결론
본 실험은 각종 생리활성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카레가 실제로 어떤 면에서 좋은지를 알아보고자 했던 실험이었다. 인체에 유익한 각종 향신료로 이루어진 카레분을 이용하여 실험목적의 신빙성을 위해 3가지 실험을 하였다. 향신료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균작용, 항산화작용을 알아보는 실험을 하여 실제로 향신료가 이러한 작용을 하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따라서 카레를 섭취함으로서 각종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결과 항 돌연변이 효과는 직접변이원에서는 cinnamon이, 간접변이원에서는 clove가 가장 컸다. 또 항균성에서는 oregano가 가장 큰 효과를 보였으며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종류의 향신료를 3종류의 용매로 추출했을 경우 모두 rosemary가 가장 큰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헥산으로 추출했을 때 크 효과가 가장 컸다. 이외의 다른 향신료들도 실험을 통해 어느 정도 이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9년 미국의 국립암연구소(NCI)의 Piason박사에 의해 명명된 designer food라는 새로운 식품군은 암예방을 목적으로 design된 식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에 NCI를 중심으로한 designer food program이 발족되었다. 이 계획 중에 약 40여종의 식용식물군이 발표되었으며 여기에는 향신료인 ginger, turmeric, rosemary, thyme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향신료의 oil이나 oleoresin, 기능성 색소 등이 암예방의 임상연구에 가장 가까이 있는 식품소재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oil, oleoresin으로는 rosemary, onion, garlic, fennel, 참깨, paprica, turmeric 등이 있고, 색소로는 paprika, saffron, turmeric등이 있으며, 단일 성분으로는 limonene등이 있다. 동물실험 결과 발암 억제 효과가 명확히 밝혀진 것으로는 garlic, onion, isothiocynate, limonene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앞으로 향신료의 생리기능은 노화방지 및 암 예방에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얼마전 미국의 건강전문지 '헬스'지가 선정한 세계 5대 건강식품 중의 하나로 선정된 인도의 렌즈콩이 카레에 사용되고 있고, 카레의 주원료로서 항암 효과와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 등으로 인도와 중남미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불리는 강황(姜黃)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위장을 보호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치매예방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처럼 카레는 인간에게 특유의 맛 뿐만 아니라 각종 약리작용을 제공하는 유익한 식품이다. 최근 합성색소와 음료수의 벤젠 등 합성물질들의 부작용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소비자들은 식품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향신료 같은 천연물질과 이를 이용한 식품의 개발은 앞으로 식품관련 전공자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현재 맛 뿐만 아니라 건강을 중요시 하는 소비자들의 성향에 맞추어 식품회사들이 더 좋은
향신료를 포함한 기능성 카레를 시판 중이므로 이를 섭취함으로써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참고 논문
1)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정승현( Seung Hyeon Jung ), 정명수( Myong Soo Chung ), 이진선( Jin Sun Lee ),
박기문 ( Ki Moon Park )
한국축산식품학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2002
2) 카레 향신료 정유성분의 항균성
정창기( Chang - Ki Chung ), 박완규( Oan - Kyu Park ), 유익제 (Ik - Je Yoo )
박기문( Ki - Moon Park ), 최춘언( Chun - Un Choi )
한국식품과학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1990
3)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안채경( Chae Kyung Ahn ), 이영철( Young Chul Lee ), 염초애( Cho Ae Yeom )
한국식품과학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2000
4) 천연 향신료의 기능성을 이용한 유제품개발
박기문( Ki - Moon Park )
Koeran Dariry Techno. 16(2) : 137-153,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