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장애의 모든것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장애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 의

제1장 특정 구음장애 (Specific speech articulation disorder)
제1절 원 인
제2절 임상양상
제3절 경과 및 예후
제4절 치 료

제2장 표현성 언어장애 (Expressive language disorder)
제1절 원 인
제2절 임상양상
제3절 경과 및 예후
제4절 치 료

제3장 수용성 언어장애 (Receptive language disorder)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말장애(speech disorder)
언어발달지체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 language devient)
단순언어장애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실어증 (aphasia)
조음/음운장애 (phonological disorder)
유창성장애 (fluency disorder)
음성장애 (voice disorder)

한의학적 개요
한의학적 고찰 및 치료접근

본문내용

로 소아의 先天의 腎氣가 虧損하며 腦髓가 不充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頭縫이 열려서 닫혀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증상
頭縫이 분열되어 ?門이 확대되고 머리에 靑筋이 나타나며 얼굴색이 희고 精神이 흐리며 눈동자가 아래로 쳐져서 흰자위가 드러나는 증상을 보인다. 脈象은 細弱하다.
●병인병리
오경(五硬)은 선천적으로 稟賦不足과 후천적으로 氣血不和하여 발생하며 또한 風寒의 外邪가 內寢하여 발생한다. 오연(五軟)은 胎弱 胎怯이라고도 하며 先天의 氣血不足으로 인해 발생한다.
●증상
오경(五硬)은 頭項强硬하여 轉動할 수 없고 手脚의 硬直과 얼굴이 파리하고 胸膈이 壅滯되고 배가 불러 靑筋이 나타나며 肌肉이 긴장되어 사지가 단단하며 차다. 脈象은 沈微하다. 오연(五軟)은 머리와 목이 연약해 고개를 바로 가누지 못하며, 입을 벌리고 있으며 팔다리가 항상 늘어져 있다. 骨脈이 강하지 않고 근육이 萎弱하며 지능도 떨어지고 脈象은 연하고 무력하며 舌苔는 淡白하다.
●병인병리
부모로부터 받은 稟賦不足으로 氣血이 虛하여 發育不全이 유발된다.
●증상
筋骨이 연약해 서지도 못하고 걸음마시기가 늦어지며 치아가 늦게 난다. 頭髮이 적게 나거나 혹은 萎黃하고 3세가 되어도 말을 못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7.2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