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인지발달의 주요 개념
2. 인지발달의 주요 원리
3.인지 발달의 단계
4. 피아제 이론이 주는 시사점
Ⅱ.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1.언어와 사고의 발달단계
2. 근접발달 영역
3. 비고츠키 이론이 주는 시사점
Ⅲ. 인지발달에 대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견해
결론
Ⅰ.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인지발달의 주요 개념
2. 인지발달의 주요 원리
3.인지 발달의 단계
4. 피아제 이론이 주는 시사점
Ⅱ.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1.언어와 사고의 발달단계
2. 근접발달 영역
3. 비고츠키 이론이 주는 시사점
Ⅲ. 인지발달에 대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견해
결론
본문내용
사라지고 사회적 언어가 나타난다고 보는 반면, 비고츠키는 외적 언어인 자아중심적 언어가 내적 언어로 진행되면서 논리적 사고가 발달한다고 보았다.
셋째, 인지발달과 언어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피아제는 인지발달을 통해 언어가 발달한다고 보았지만 비고츠키는 언어는 사고나 인지발달에 공헌하며 사고란 사고의 도구인 언어를 습득하면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넷째, 교육과 인지발달 간의 관계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피아제는 교육은 독립적인 것으로, 인지발달이 선행된 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반면, 비고츠키는 교육과 인지발달은 복잡한 역동적 관계로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교육은 인지발달에 선행될 때만이 훌륭한 것이고, 훌륭한 교육은 인지의 발달적 진보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피아제와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에 관한 몇 가지의 시각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생물학적 유기체라고 가정하였다는 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지발달에 있어 자연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모두를 인정하였다는 점, 발달이나 학습에서 아동의 능동적 참여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 이론들은 아동은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인지능력이 발달하고 각 단계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잘 발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무조건적인 주입식·암기식 교육보다 함께 대화하고 협력하여 학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라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동안 종종 무시되었지만 앞으로 교단에 서서 아이들을 교육할 예비교사로서 우리가 반드시 알고 실천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물론 이 이론들이 절대적이지는 않다. 처음 이론이 발표된 후 비판도 받았고, 다른 발달이론들도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이 이론들은 아동의 인지적 발달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어왔다. 따라서 우리는 이 이론들이 지금의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유념하여 더 나은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4.
2. 유안지, 아동발달의 이해, 문음사, 1999.
3. 정옥분(역), 인간발달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1.
<참고 사이트>
1.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4&docid=128839
2. http://www.playtherapy.ne.kr/data_cdtheory7.html
셋째, 인지발달과 언어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피아제는 인지발달을 통해 언어가 발달한다고 보았지만 비고츠키는 언어는 사고나 인지발달에 공헌하며 사고란 사고의 도구인 언어를 습득하면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넷째, 교육과 인지발달 간의 관계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피아제는 교육은 독립적인 것으로, 인지발달이 선행된 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반면, 비고츠키는 교육과 인지발달은 복잡한 역동적 관계로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교육은 인지발달에 선행될 때만이 훌륭한 것이고, 훌륭한 교육은 인지의 발달적 진보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피아제와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에 관한 몇 가지의 시각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생물학적 유기체라고 가정하였다는 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지발달에 있어 자연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모두를 인정하였다는 점, 발달이나 학습에서 아동의 능동적 참여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 이론들은 아동은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인지능력이 발달하고 각 단계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잘 발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무조건적인 주입식·암기식 교육보다 함께 대화하고 협력하여 학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라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동안 종종 무시되었지만 앞으로 교단에 서서 아이들을 교육할 예비교사로서 우리가 반드시 알고 실천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물론 이 이론들이 절대적이지는 않다. 처음 이론이 발표된 후 비판도 받았고, 다른 발달이론들도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이 이론들은 아동의 인지적 발달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어왔다. 따라서 우리는 이 이론들이 지금의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유념하여 더 나은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4.
2. 유안지, 아동발달의 이해, 문음사, 1999.
3. 정옥분(역), 인간발달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1.
<참고 사이트>
1.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4&docid=128839
2. http://www.playtherapy.ne.kr/data_cdtheory7.html
추천자료
상호작용론-우리의 직관에 가장 부합
상징적상호작용과 낙인이론
언어습득이론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각각의 특징을 상호 비교하여 설...
[언어습득이론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각각의 특징을 상호 비교하여 설명]
상호작용성과 인터넷마케팅의 관계
상징적상호작용론과 민속방법론
상호작용주의 이론
상호작용 중심의 구성주의 보육과정의 견해
영유아교수방법_확장형질문과교사의상호작용기술
상호작용주의
[아동발달] 유전과 환경 및 상호작용 모형 - 아동발달에서 유전과 환경의 영향, 반응범위 모...
[노인간호] 노인의 약물관리 _ 물질 오남용, 노인의 약물 남용 시 나타나는 증상, 알코올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언어 이론을 상호 비교하고 평가하시오.
상호작용이론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