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대학사회와 양성평등
1.대학의 전반적인 구조 및 제도
2.성차별, 성희롱 문제
3.양성평등을 위한 과제
맺음말
대학사회와 양성평등
1.대학의 전반적인 구조 및 제도
2.성차별, 성희롱 문제
3.양성평등을 위한 과제
맺음말
본문내용
요하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가장 빨리 바꿔야 하는 것이 여성들의 의식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자각있는 여성들은 조금씩 사회를 바꾸어 나가고 있지만 그 수효는 미미하다. 이미 남성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의 노력이 훨씬 많이 필요하다.
맺음말
얼마 전 잡지에서 보았던 양성평등 표어가 생각난다.
‘차별없는 우리사회 밝은사회 이뤄진다.’, ‘남녀차별 no 양성평등 yes’, ‘여자다움 남자다움 이제는 개성시대’, ‘남자여자 단지 부르는 명칭만 다를뿐’.
마지막 표어가 지금 내가 하고 싶은 말을 대신하는 듯하다. ‘남자여자 단지 부르는 명칭만 다를뿐’. 즉, 남녀의 성에 대해 차별하자는 것이 아니라 그 차이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성(sex)의 차이를 인정하고, 젠더나 섹슈얼리티에 있어 남녀의 성을 차별해서는 안된다. 여기에 10대 국정과제인 “국민통합과 양성평등사회 구현”을 위해 문화관광부가 주도적으로 여성부 등 다른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이고 근본적으로 접근한다면,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전업주부가 아닌 전업남편이란 말이 자연스러워지는 순간 어쩌면 조금은 양성평등이 이루어진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가장 빨리 바꿔야 하는 것이 여성들의 의식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자각있는 여성들은 조금씩 사회를 바꾸어 나가고 있지만 그 수효는 미미하다. 이미 남성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여성의 노력이 훨씬 많이 필요하다.
맺음말
얼마 전 잡지에서 보았던 양성평등 표어가 생각난다.
‘차별없는 우리사회 밝은사회 이뤄진다.’, ‘남녀차별 no 양성평등 yes’, ‘여자다움 남자다움 이제는 개성시대’, ‘남자여자 단지 부르는 명칭만 다를뿐’.
마지막 표어가 지금 내가 하고 싶은 말을 대신하는 듯하다. ‘남자여자 단지 부르는 명칭만 다를뿐’. 즉, 남녀의 성에 대해 차별하자는 것이 아니라 그 차이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성(sex)의 차이를 인정하고, 젠더나 섹슈얼리티에 있어 남녀의 성을 차별해서는 안된다. 여기에 10대 국정과제인 “국민통합과 양성평등사회 구현”을 위해 문화관광부가 주도적으로 여성부 등 다른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이고 근본적으로 접근한다면,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전업주부가 아닌 전업남편이란 말이 자연스러워지는 순간 어쩌면 조금은 양성평등이 이루어진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