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장미와 유전자변형식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란장미와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rt 1. 파란장미

part 2. 유전자변형식품
- 개요
- 기술의 특성
- 연구개발동향
- 결론

본문내용

, 염 및 냉과 같은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민감하여 생산량 감소를 보인다. 하지만 이런 스트레스에 직접 관여하는 유전자를 형질 전환시켜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갖게 하거나 간접적으로 스트레스에 의한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강화시켜 스트레스에 강한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유도시켜 내성을 갖게 하였다. 그리고 이동이 불가능한 식물의 경우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메카니즘의 연구로 이 메카니즘의 분자생물학적, 유전학적 및 생화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에 비해 국토 면적이 좁은 편이라서 농산물의 자급도가 낮다. 연구실 수준의 GM 작물 개발 사례는 다수가 보고되고 있지만 실용화단계를 거쳐 품종으로 등록된 경우는 아직 한건도 없다.
4.결론
유전자 변형 작물은 아직 도입기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수확량 증대에 주로 초점이 모아져 왔으나 장기적으론 영양성분 개선, 공업제품 생산, 의약품 생산 등으로 향후 높은 시장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가별로 미국이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고 아르헨티나, 캐나다, 중국 등이 주요 재배국이며, 최근에는 인도, 콜롬비아, 온두라스도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실용화단계를 거쳐서 품종으로 등록된 경우는 없다.
GM작물 및 식품의 잠재적 위험성만을 부각시킨 무조건적인 반대는 바람직하지 않고 이런 GM작물의 소비가 불가피하다면 확실한 안전성평가의 전제하에서 다국적기업에 의한 기술종속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GM작물에 대한 관련 연구개발 및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06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