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달랐을 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쏜다이크(Thorndike)의 시행착오 학습=
즉. 어떤 유기체가 실험자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서 점차 불필요한 행동을 자제하고 필요한 행동만 해서 결국에는 단번에 목표에 도달한다는 것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시간단축\'이라는 데에 치중 될 수 있으나 좀 다른 문제인거 같네요. 그의 연구목적이 시간단축이 아닌 \"여러 번의 반복적 학습 과정 중 시행착오의 문제점을 항상 지적하면서 그에 대해 불필요한 반응을 없앤다\" 이죠. 그렇다면 결국은 시행착오의 반응을 뺀 시간(합리적 행동의 시간)만이 남는다는 거죠.
「미로 찾기를 예로 들자면 실험용 쥐가 막다른 길을 들어섰다고 칩시다. 쥐는 몇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그 길은 막다른 길이므로 다른 방향의 길로 들어섭니다. 이런 식으로 몇번의 과정을 거쳐서 목표에 도달했습니다. 그후 다시 한번 똑같은 미로 안에 쥐를 넣었더니 단번에 미로의 목표에 도달하여 보상 물질을 얻었습니다.」쏜다이크의 시행착오 학습 말고도 효과의 법칙을 보자면 \"유기체는 어떤 행동에 보상이 따르면 그 행동을 자주하게 되고 혐오적인 처벌이 오는 경우에는 그 행동이 줄어든다는 겁니다.\" 쏜다이크는 조작전조건화의 초기 학자입니다. 그래서 그의 연구는 스키너가 한 단계 발전 시켰다는게 더 맞겠죠. 그들의 연구차이점을 찾는 게 힘든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일단 조작적 조건화의 주요목적은 보상(강화물)으로 유기체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입니다.
그가 행한 대표적인 연구는 스키너상자에서 잘 두드러져 있죠. 스키너는 강화물로 통하여 실험자가 의도하는 행동을 했을때 그것을 \"강화\"시키고 또 실험자가 의도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는 \"소거\"시키는 행동조형이라고 봤습니다.
이는 부분강화효과와 중첩됩니다. 스키너의 조작전 조건은 일단 습득은 쉽지만 그것을 소거시키기에는 굉장히 힘들다고 봤습니다.
한예로 「싸움못하는 왕따가 맨날 짱한테 까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맞는게 \"습득\"이 되어서 이 싸움짱이 손만들어도 방어태세를 취하는게 자동입니다. 이때 이렇게 습득된 방어태세는 쉽사리 \"소거\"가 되지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는 부분강화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소거의 시간은 원래 습득의 시간보다 아주 느리기때문입니다. 이때문에 이 왕따는 소극적인 행동만 하게 되게 되어 친구는 못사귀는게 되는거죠.」
=쏜다이크(Thorndike)의 시행착오 학습=
즉. 어떤 유기체가 실험자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서 점차 불필요한 행동을 자제하고 필요한 행동만 해서 결국에는 단번에 목표에 도달한다는 것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시간단축\'이라는 데에 치중 될 수 있으나 좀 다른 문제인거 같네요. 그의 연구목적이 시간단축이 아닌 \"여러 번의 반복적 학습 과정 중 시행착오의 문제점을 항상 지적하면서 그에 대해 불필요한 반응을 없앤다\" 이죠. 그렇다면 결국은 시행착오의 반응을 뺀 시간(합리적 행동의 시간)만이 남는다는 거죠.
「미로 찾기를 예로 들자면 실험용 쥐가 막다른 길을 들어섰다고 칩시다. 쥐는 몇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그 길은 막다른 길이므로 다른 방향의 길로 들어섭니다. 이런 식으로 몇번의 과정을 거쳐서 목표에 도달했습니다. 그후 다시 한번 똑같은 미로 안에 쥐를 넣었더니 단번에 미로의 목표에 도달하여 보상 물질을 얻었습니다.」쏜다이크의 시행착오 학습 말고도 효과의 법칙을 보자면 \"유기체는 어떤 행동에 보상이 따르면 그 행동을 자주하게 되고 혐오적인 처벌이 오는 경우에는 그 행동이 줄어든다는 겁니다.\" 쏜다이크는 조작전조건화의 초기 학자입니다. 그래서 그의 연구는 스키너가 한 단계 발전 시켰다는게 더 맞겠죠. 그들의 연구차이점을 찾는 게 힘든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일단 조작적 조건화의 주요목적은 보상(강화물)으로 유기체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입니다.
그가 행한 대표적인 연구는 스키너상자에서 잘 두드러져 있죠. 스키너는 강화물로 통하여 실험자가 의도하는 행동을 했을때 그것을 \"강화\"시키고 또 실험자가 의도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는 \"소거\"시키는 행동조형이라고 봤습니다.
이는 부분강화효과와 중첩됩니다. 스키너의 조작전 조건은 일단 습득은 쉽지만 그것을 소거시키기에는 굉장히 힘들다고 봤습니다.
한예로 「싸움못하는 왕따가 맨날 짱한테 까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맞는게 \"습득\"이 되어서 이 싸움짱이 손만들어도 방어태세를 취하는게 자동입니다. 이때 이렇게 습득된 방어태세는 쉽사리 \"소거\"가 되지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는 부분강화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소거의 시간은 원래 습득의 시간보다 아주 느리기때문입니다. 이때문에 이 왕따는 소극적인 행동만 하게 되게 되어 친구는 못사귀는게 되는거죠.」
추천자료
교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조건에 비추어본 나의 의견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비교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하여 비교하여 논하시오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하여 비교하여 논하시오.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하여 비교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하여 비교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비교 논의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한 비교 논의
아동발달)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의 비교(A+완성)
아동발달)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대한 비교논의(학습이론)
행동주의이론(파블로프 고전적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조건화) 보고서
행동주의이론 PPT(고전적조건형성, 조작적조건형성, 파블로프, 스키너, Pavlov, Skinner) 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