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생태학적 고유기능 조사
3. 나가며
2. 생태학적 고유기능 조사
3. 나가며
본문내용
지문이 있다. 꼬리는 너무 짧아서 잘 보이지 않는다. 비경(鼻鏡)은 크고 밖으로 드러나 있다. 입속에 볼주머니가 있고, 배에 육아낭이 있다.
앞발과 뒷발은 편평하고 크다. 앞발의 첫째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은 셋째발가락과 마주보고, 뒷발의 둘째발가락과 셋째발가락은 피막(皮膜)으로 이어져 있으며, 첫째발가락은 다른 발가락과 마주본다. 발가락에 발톱은 없지만 물건을 붙잡는 데 알맞게 발달되어 있다. 털은 양털과 같이 부드럽고 조밀한데, 귀의 털이 특히 길다. 털빛깔은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서 회색에서 갈색까지 다양하다.
해발고도 600m 이하의 유칼리나무 숲에서 서식한다. 거의 나무 위에서 지내며, 한 나무에서 다른 나무로 이동할 때에는 대개 가지에서 가지로 건너가지만 때로는 땅 위를 걷기도 한다. 하루에 보통 20시간을 자고, 나머지 시간에는 먹는다. 보금자리는 만들지 않고, 낮에는 나뭇가지 사이에 걸터앉아서 쉬다가 밤에 나뭇가지 위를 천천히 움직이면서 유칼리나무의 잎이나 새싹만을 먹는다. 그 사이에 시종 삐걱거리는 소리를 낸다.
임신기간이 25∼35일이며,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몸길이 약 2㎝의 미발육 상태에서 태어나므로 육아낭 속에서 몇 개월 동안 지낸 후 어미가 반 년 정도 업어서 기른다. 수명은 보통 16∼20년인데, 스트레스를 주면 수명이 줄어든다. 성질은 온순하여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으나 모피로 이용하기 위해 마구 잡아 현재는 보호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에 분포한다.
2) 코알라에 대한 느낌과 소감
코알라는 귀여움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사실 이름 자체가 매우 좋은 어감을 준다. 하지만 코알라를 자세히 살펴보면 ‘귀엽다‘ 라는 느낌은 가질 수없다. 오히려 늙음이나 추함이 더 어울리는 듯하다.
회색빛 짧은 털 그리고 불룩해서 다소 미련해 보이는 코, 날카롭게 휘어진 긴 발톱과 주름이 많은 발바닥, 게을러 보이는 몸동작 등이 보편적으로 말하는 귀여움과는 동떨어져 보인다.
3. 나가며
이제까지 코끼리, 돼지 코알라 등 3가지의 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고유 특징과 그에 대한 느낌을 간단하게 적어보았다.
3가지 동물은 생태학적으로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 동물마다 또 다른 고유한 느낌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우리 인간의 모습이 인종에 따라 생김새나 습성이 다른 것과 같다. 각 동물들이 갖는 느낌에서 다양한 현대인의 모습을 읽을 수 있어서 놀라웠다.
메 모
앞발과 뒷발은 편평하고 크다. 앞발의 첫째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은 셋째발가락과 마주보고, 뒷발의 둘째발가락과 셋째발가락은 피막(皮膜)으로 이어져 있으며, 첫째발가락은 다른 발가락과 마주본다. 발가락에 발톱은 없지만 물건을 붙잡는 데 알맞게 발달되어 있다. 털은 양털과 같이 부드럽고 조밀한데, 귀의 털이 특히 길다. 털빛깔은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서 회색에서 갈색까지 다양하다.
해발고도 600m 이하의 유칼리나무 숲에서 서식한다. 거의 나무 위에서 지내며, 한 나무에서 다른 나무로 이동할 때에는 대개 가지에서 가지로 건너가지만 때로는 땅 위를 걷기도 한다. 하루에 보통 20시간을 자고, 나머지 시간에는 먹는다. 보금자리는 만들지 않고, 낮에는 나뭇가지 사이에 걸터앉아서 쉬다가 밤에 나뭇가지 위를 천천히 움직이면서 유칼리나무의 잎이나 새싹만을 먹는다. 그 사이에 시종 삐걱거리는 소리를 낸다.
임신기간이 25∼35일이며,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몸길이 약 2㎝의 미발육 상태에서 태어나므로 육아낭 속에서 몇 개월 동안 지낸 후 어미가 반 년 정도 업어서 기른다. 수명은 보통 16∼20년인데, 스트레스를 주면 수명이 줄어든다. 성질은 온순하여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으나 모피로 이용하기 위해 마구 잡아 현재는 보호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에 분포한다.
2) 코알라에 대한 느낌과 소감
코알라는 귀여움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사실 이름 자체가 매우 좋은 어감을 준다. 하지만 코알라를 자세히 살펴보면 ‘귀엽다‘ 라는 느낌은 가질 수없다. 오히려 늙음이나 추함이 더 어울리는 듯하다.
회색빛 짧은 털 그리고 불룩해서 다소 미련해 보이는 코, 날카롭게 휘어진 긴 발톱과 주름이 많은 발바닥, 게을러 보이는 몸동작 등이 보편적으로 말하는 귀여움과는 동떨어져 보인다.
3. 나가며
이제까지 코끼리, 돼지 코알라 등 3가지의 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고유 특징과 그에 대한 느낌을 간단하게 적어보았다.
3가지 동물은 생태학적으로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 동물마다 또 다른 고유한 느낌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우리 인간의 모습이 인종에 따라 생김새나 습성이 다른 것과 같다. 각 동물들이 갖는 느낌에서 다양한 현대인의 모습을 읽을 수 있어서 놀라웠다.
메 모
키워드
추천자료
기업과 사회
[지속가능한개발][지속가능한발전][지속가능][해양개발][관광][교통체계][수자원관리]지속가...
[하천복원] 하천복원의 방안
광어와 우럭
도미에 대해서
[상담심리학]본성실현 상담이론
한국의 역사와 문화 완전 정리.
청소년 학교 폭력 실태, 원인, 심각성 및 보호 대책, 대안
리그스(Riggs) 살라모델(Sala Model)
관광정책의 환경
유아교육과정3공통) 유아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중 2개를 선택하여 비교 설명 (자연친화적교육...
[다문화사회와 교육] 간문화성을 위한 교육의 기본원칙에 대하여
보건교육D형) 초중고등학생의 흡연예방교육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적용 학습지도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