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어
2. 우럭
3. 광어 음식
4. 우럭 음식
2. 우럭
3. 광어 음식
4. 우럭 음식
본문내용
양턱은 같은 길이이며, 양턱에는 융털모양의 이빨띠가 있다.
가슴지느러미의 뒷끝은 항문까지 이르며, 꼬리지느러미 뒷끝 가장자리는 수직형이다.
두 눈 사이는 좁고 깊은 홈이 패여 있다.
아래턱과 눈 앞부분에는 비늘이 없다.
D.XIII, 12; A.III, 6~7; P1.16~17; P2.I, 5; LL.27~30; Vert.26.
생태적 특성
분 포 : 우리나라 중부이남, 일본 중부이남, 중국연해.
서식장 : 연안성 어종으로 연안 얕은 바다의 암초 사이에서 서식한다.
성 장 : 전장 20cm에 달한다.
식 성 : 물 밑바닥에 서식하는 갑각류, 연체동물의 유생, 작은 어류 등을 잡아 먹는다.
3. 광어 음식
광어는 한자어이며 순 우리말로는 넙치이다. 넙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넙치는 한자어로는 광어(廣魚)·화제어(華臍魚)·비목어(比目魚)라 하는데 광어가 가장 널리 쓰인다. 넙치는 그 형상이 특이하여 몹시 맞았을 때 ‘넙치가 되도록 맞았다.’고 한다. 또 생긴 모양이 신통하지 못하여도 제구실은 똑똑히 한다는 뜻으로 ‘넙치눈이 작아도 먹을 것은 잘 본다.’라고 한다. 광어는 차진 것과 메진 것의 두가지가 있는데 메진 것은 살이 거칠고 맛이 얕으며 차진 것은 살지고 기름기가 흐르는데 쫄깃하고 맛이 좋다.”고 하였다. 요즈음에는 광어회로 만들어 즐긴다.
-우럭회
-우럭회초밥
-우럭 매운탕
-우럭 맑은탕
-찹쌀찜
4. 우럭 음식
양볼락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조피볼락이라고도 한다. 볼락류 중에서는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가 60㎝ 이상 되는 개체도 많다. 겉모양은 볼락과 비슷하지만 몸빛깔은 암회갈색이고 배쪽은 연한 빛이다. 옆에는 서너줄의 분명하지 않은 흑갈색의 가로띠가 놓여 있고 위턱 후골(後骨)의 상반부는 흑색이다. 우리나라의 전 연안 일본의 북해도 이남 및 중국의 북부 연안에 분포하며 특히 황해 및 발해만에 많이 서식한다. 치어(稚魚)는 알에서 깬 직후 표층에 부상 유영하다가 성장해가면서 표층생활에서 연안의 얕은 해조류가 많은 곳으로 이동하며 치어기는 수심 10m보다 얕은 곳에 머문다. 10㎝ 미만은 연안을 떠나서 성장함에 따라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성어가 되면 야간에는 분산하고 중·표층으로 부상 그다지 이동하지 않지만 주간에는 밀집 침하하고 활발하게 움직인다. 특히 아침·저녁의 이동은 현저하다. 황해의 경우 수온이 내려가기 시작하는 가을 겨울에 걸쳐 발해만이나 황해 북부의 각 연안으로부터 남하를 시작해서 1월에는 북위 35°선에 달하며 그 해역에서부터 남부해역에 걸쳐 3월경까지 월동한다. 그뒤 수온의 상승과 함께 다시 북상한다고 알려져 있다. 먹이는 치어일 때는 동물플랑크톤이지만 성장함에 따라 게·새우·곤쟁이 및 갑각류 유생을 즐겨 먹는다. 미성어기가 되면 초기에는 대형 새우류와 게류를 잡아먹다가 몸길이 15㎝ 이상이 되면 주로 까나리를 잡아먹는 육식성으로 변한다. 성어기가 되면 동물·소형어류·게·새우류 등을 닥치는대로 잡아먹는다.
-야채를 곁들인 가파치오[이탈리아식 육회]
-광어회
-광어회초밥
-광어튀김
가슴지느러미의 뒷끝은 항문까지 이르며, 꼬리지느러미 뒷끝 가장자리는 수직형이다.
두 눈 사이는 좁고 깊은 홈이 패여 있다.
아래턱과 눈 앞부분에는 비늘이 없다.
D.XIII, 12; A.III, 6~7; P1.16~17; P2.I, 5; LL.27~30; Vert.26.
생태적 특성
분 포 : 우리나라 중부이남, 일본 중부이남, 중국연해.
서식장 : 연안성 어종으로 연안 얕은 바다의 암초 사이에서 서식한다.
성 장 : 전장 20cm에 달한다.
식 성 : 물 밑바닥에 서식하는 갑각류, 연체동물의 유생, 작은 어류 등을 잡아 먹는다.
3. 광어 음식
광어는 한자어이며 순 우리말로는 넙치이다. 넙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넙치는 한자어로는 광어(廣魚)·화제어(華臍魚)·비목어(比目魚)라 하는데 광어가 가장 널리 쓰인다. 넙치는 그 형상이 특이하여 몹시 맞았을 때 ‘넙치가 되도록 맞았다.’고 한다. 또 생긴 모양이 신통하지 못하여도 제구실은 똑똑히 한다는 뜻으로 ‘넙치눈이 작아도 먹을 것은 잘 본다.’라고 한다. 광어는 차진 것과 메진 것의 두가지가 있는데 메진 것은 살이 거칠고 맛이 얕으며 차진 것은 살지고 기름기가 흐르는데 쫄깃하고 맛이 좋다.”고 하였다. 요즈음에는 광어회로 만들어 즐긴다.
-우럭회
-우럭회초밥
-우럭 매운탕
-우럭 맑은탕
-찹쌀찜
4. 우럭 음식
양볼락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조피볼락이라고도 한다. 볼락류 중에서는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가 60㎝ 이상 되는 개체도 많다. 겉모양은 볼락과 비슷하지만 몸빛깔은 암회갈색이고 배쪽은 연한 빛이다. 옆에는 서너줄의 분명하지 않은 흑갈색의 가로띠가 놓여 있고 위턱 후골(後骨)의 상반부는 흑색이다. 우리나라의 전 연안 일본의 북해도 이남 및 중국의 북부 연안에 분포하며 특히 황해 및 발해만에 많이 서식한다. 치어(稚魚)는 알에서 깬 직후 표층에 부상 유영하다가 성장해가면서 표층생활에서 연안의 얕은 해조류가 많은 곳으로 이동하며 치어기는 수심 10m보다 얕은 곳에 머문다. 10㎝ 미만은 연안을 떠나서 성장함에 따라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성어가 되면 야간에는 분산하고 중·표층으로 부상 그다지 이동하지 않지만 주간에는 밀집 침하하고 활발하게 움직인다. 특히 아침·저녁의 이동은 현저하다. 황해의 경우 수온이 내려가기 시작하는 가을 겨울에 걸쳐 발해만이나 황해 북부의 각 연안으로부터 남하를 시작해서 1월에는 북위 35°선에 달하며 그 해역에서부터 남부해역에 걸쳐 3월경까지 월동한다. 그뒤 수온의 상승과 함께 다시 북상한다고 알려져 있다. 먹이는 치어일 때는 동물플랑크톤이지만 성장함에 따라 게·새우·곤쟁이 및 갑각류 유생을 즐겨 먹는다. 미성어기가 되면 초기에는 대형 새우류와 게류를 잡아먹다가 몸길이 15㎝ 이상이 되면 주로 까나리를 잡아먹는 육식성으로 변한다. 성어기가 되면 동물·소형어류·게·새우류 등을 닥치는대로 잡아먹는다.
-야채를 곁들인 가파치오[이탈리아식 육회]
-광어회
-광어회초밥
-광어튀김
추천자료
[해양생물학] 넙치(광어)에 대해서
[독후감] 소설 '광어'를 읽고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의 실태와 문제점, 전복과 해삼의 공동양식업(공동양식어업, 복합양...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필요성,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법적규정, 넙치(광어)와 전...
넙치(광어)의 형태적 특징, 넙치(광어)의 생태와 습성, 넙치양식업(광어양식어업)의 환경, 넙...
양식업(양식어업)의 의미, 양식업(양식어업)의 종류, 개꼬시래기의 양식업(양식어업), 다랑어...
양식어업(양식업)의 종류와 특성, 넙치양식어업(광어양식업)의 실태, 넙치양식어업(광어양식...
한국인의 여가문화 -안면도의 낭만을 위하여
수산물유통및 양식어류(광어,우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