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신체형 장애 및 해리 장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신체형 장애 및 해리 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체형 장애
1) 신체형 장애 종류
2) 세부 내용
(1) 동통장애
(2) 신체기형(추형)장애
(3) 건강염려증
(4) 전환장애
♠ 전환장애에 대한 DSM-Ⅳ-TR 진단 기준 ♠
(5) 신체형 장애
♠ 신체형 장애에 대한 DSM-Ⅳ-TR 진단 기준 ♠
3)신체형 장애의 원인론
(1) 신체형 장애의 원인론
(2) 전환장애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
(3) 전환장애에 대한 행동 이론
(4) 전환장애와 관련된 사회 및 문화 요인
(5) 전환장애에서의 생물학적 요인
4) 신체형 장애의 치료

2. 해리장애
1) 해리 장애의 종류
2) 세부 내용
(1). 해리성 건망증
(2) 해리성 둔주
(3) 이인화 장애
(4) 해리성 정체장애
♠ 해리성 정체장애에 대한 DSM-Ⅳ-TR 진단 기준 ♠
3) 해리장애의 원인론
4) 해리장애의 치료

본문내용

않는다.
(4) 해리성 정체장애
- 해리성 정체장애로 진단되려면 2개 이상의 별개적인 자아가 존재해야 한다. 이는 존재감, 사고방식 및 행동방식이 각기 다른 자아상태로서, 각기 독자적으로 존재하며 각기 다른 시간에 출현하여 마음의 주인이 되는 것이다. 2개의 자아끼리는 서로 접촉이 없기 때문에 기억의 틈새가 생기기도 한다.
- 통상 아동기에 발생하지만 대부분 청년기에 이르러서야 진단이 내려진다.
- 성격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회복도 불완전하게 이루어진다.
- 남성보다 여성에게 훨씬 더 많이 보여지며, 우울증, 경계선 성격장애 및 신체형 장애가 동반되기 쉽다. 그리고 흔히 두통, 물질남용, 공포증, 환각, 자살생각 및 자학행동뿐 아니라 기억상실증과 이인화 같은 그 밖의 해리성 증상도 수반된다.
♠ 해리성 정체장애에 대한 DSM-Ⅳ-TR 진단 기준 ♠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상태가 존재한다.
적어도 둘 이상의 정체감이나 인격상태가 반복적으로 개인의 행동을 통제한다.
중요한 개인적 정보를 회상하지 못한다.
3) 해리장애의 원인론
- 원인으로는 주요한 스트레스가 아동기의 신체적 및 성적 학대라고 지적하고 있다.
- 의식은 통상 인지, 정서 그리고 동기를 위시한 통합된 경험이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정신적 외상에 대한 기억이 나중에 정상 상태로 되돌아 왔을 때 자각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저장되어 이 결과 건망증이나 둔주가 나타날 수 있다.
4) 해리장애의 치료
- 해리장애의 치료에는 정신분석의 억압의 개념이 적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억압을 제거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가 되고, 정신분석적 기법이 적용된다.
- 해리성 정체장애 처치시 원칙
1. 처치 목표는 여러 개의 성격을 통합하는 것이다.
2. 각각의 제 2의 자아 alter에게 자기가 한 개인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시켜야 한다.
3. 치료자는 단지 편의를 위해서만 제 2의 자아의 이름을 사용해야지 완전한 하나의 인간으로서의 행위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나누어지지 않는 별개의 독자적인 성격의 존재를 인정하는 식으로 제 2의 자아의 이름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모든 제 2의 자아를 공평하게 그리고 공감의 자세로 대해야 한다.
5. 치료자는 제 2의 자아들간의 공감과 협동을 격려해야 한다.
6. 제 2의 자아를 만들게 한 원인이 될 수 있는 아동기의 외상에 대해서는 부드럽고 지지적인 자세로 룰 것이 요구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8.1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