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로 열어가는 상담 이야기--수용과 공감의 지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기제)
3. 말할 때
1)대화 초점과 관련된 언사 ①정보제공 : 무지와 정보부족이 문제의 원인일 때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양의 정보를 제공한다. ② 자기개방:모범보이기 효과(상담자의 자기개방 행동학습)를 가져오기도 하고, 상담과제와 과제해결에 관해 새로운 조망과 시각을 갖도록 돕는다. 이 때 자기개방의 질과 양을 조절하고, 청담자에게 부담이 될 자기개방은 삼가는 것이 좋다. ③해석 : 청담자의 말에 대해 상담자가 자신의 판단을 섞어 반응하는 대화기술로서 청담자를 통찰 또는 새로운 깨달음으로 인도하려는 시도이다.
2)영향력을 행사하는 언사
①명령, 지시, 강요 : 합의 아래 구체적 행동지침을 제시할 때, 위기상담처럼 급박한 처방이 필요할 때, 청담자의 발달수준과 이해기능이 떨어질 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② 충고, 조언, 해결책 제시 : 청담자의 자발성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다짐해두는 것이 좋다. ③설교, 설득 : 상담 중, 후기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④ 강의, 논박:지적 수준이 높거나 논리슬 중시하는 청담자에게 적용할만하다. ⑤칭찬, 인정, 격력 ⑥위로하기, 안심시키기 : 애정을 담아서 사실에 입각해 꼭 필요할 때 사옹한다. ⑦유머, 허튼소리(웃기기) ⑧비난, 꾸지람 ⑨경고, 위협 ⑩욕설, 조롱 : 상담이 교착상태에 빠졌을 때 비상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 ⑪동문서답 : 자세히 보면 제자들의 이해 수준 또는 수행수준을 교묘히 반영한 응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선문답 등 선가식 사고와 행동 안에 담긴 인간변화의 원리를 깊이 연구하고 이를 효율적인 대화의 방법으로 현대화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수용,   공감,   상담,   교육학,   상담심리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1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