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와 사료학습의 개념과 원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료와 사료학습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 료
1. 사료의 개념
2. 사료의 분류
3. 사료의 비판

Ⅱ. 사료와 교육
1. 사료의 교육적 기능
2. 사료의 선정
3. 사료의 활용

Ⅲ. 사료학습
1. 사료학습의 개념
2. 사료학습의 필요성
3. 사료학습의 방법
4. 사료학습의 절차
5. 사료학습 모형
6. 사료학습의 유의점

본문내용

학습을 위해 학생들이 고조선에 대해 어느 정도의 흥미와 사전지식이 있는지 파악한다.
-학습목표를 설정한다.
1)‘삼국유사’를 통하여 역사로서의 고조선과 신화로서의 고조선을 이해한다.
2)‘사기’를 통하여 위만조선의 성격을 이해한다.
3)‘한서’를 통하여 고조선 사회를 이해할 수 있다.
-‘삼국유사’, ‘사기’,‘한서’등의 사료를 수집한다.
-수집한 자료 중 어떠한 부분을 사용할 것인지 검토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사료를 준비한다.
-원사료를 제공할 경우, 학습자들의 이해 곤란을 초래하여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다.
-한글로 된 사료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참고 차원에서 원사료를 제공하는 것도 효율적이다.
-교사는 사료학습에 맞는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업을 준비한다.
-사료학습 시행 1주일 전에 학습자에게 준비된 사료를 배포하고, 학습자들을 각 조로 나누어 개별과제를 부과하여 미리 공부해서 발표하도록 준비시킨다.
-이때 교사는 각 조에 주어진 사료를 어떤 방향으로 해석해야 하는지 제시한다.(단군신화를 역사로 볼 것인지 신화로 볼 것인지/ 위만조선을 우리 민족의 역사로 볼 것인지/ 8조법금을 통하여 본 고조선 사회의 특징)
-학습자들에게 다른 조의 사료에 대해서도 미리 공부하도록 한다.
※현장의 수업시간이 50분임을 감안하면, 수업시간에 사료를 해석하고 발표하는 것은 무리.
※사료학습임을 감안하여 옥편을 준비케 한다.
※1주일 전에 사료를 미리 배포하였으므로 본 수업시간에 사료를 잊지 않고 가져오도록 주의를 준다.
※준비된 사료만으로 전개하는 수업이므로 ‘단원접근방법’을 사용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22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