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명
2. 실험 배경 및 목적
3. 실험 준비물
4. 실험 순서
5. 실험 결과
6. 결과 분석
7. 참고 문헌
2. 실험 배경 및 목적
3. 실험 준비물
4. 실험 순서
5. 실험 결과
6. 결과 분석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상태보다 단단해질 수는 없었고, 결국 건조단위중량이 현장의 것에 비해 더 작게 나오게 된 것이다.
두 번째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원인은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이다.
우선 현장밀도시험에서는 구덩이에 표준사를 완전히 채우지 못한 경우, 또는 표준사가 넘쳐서 손실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표준사를 완전히 채우지 못하면 구덩이의 부피가 더 작게 측정되어 현장의 건조단위중량이 더 커지고, 표준사가 넘쳐서 손실되면 구덩이의 부피가 더 크게 측정되어 건조단위중량이 더 작게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함수비 측정에서의 오차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흙의 표면층은 눈으로 보기에도 수분이 거의 없었고, 땅을 파서 밑에서 나온 흙은 촉촉한 상태였다. 따라서 파낸 시료 전체를 캔에 담아 측정하지 않는 이상, 채취한 시료의 정확한 함수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함수비가 크게 측정되면 건조단위중량은 작게 계산될 것이고, 함수비가 작게 측정되면 건조단위중량은 크게 계산될 수 있다.
표준다짐시험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생각해 보면, 함수비의 오차를 먼저 생각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서의 함수비-단위중량 곡선을 살펴보아도 각 점들을 한 곡선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함수비 같은 경우 시료를 적게 채취하는 편이고 채취하는 순간에도 수분이 계속 준다는 점에서 오차가 생기기 쉬운 요소라 할 수 있다.
7. 참고 문헌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Fifth Edition) - Braja M. Das
토질시험법 - 이송, 김태훈, 이재헌
두 번째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원인은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이다.
우선 현장밀도시험에서는 구덩이에 표준사를 완전히 채우지 못한 경우, 또는 표준사가 넘쳐서 손실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표준사를 완전히 채우지 못하면 구덩이의 부피가 더 작게 측정되어 현장의 건조단위중량이 더 커지고, 표준사가 넘쳐서 손실되면 구덩이의 부피가 더 크게 측정되어 건조단위중량이 더 작게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함수비 측정에서의 오차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흙의 표면층은 눈으로 보기에도 수분이 거의 없었고, 땅을 파서 밑에서 나온 흙은 촉촉한 상태였다. 따라서 파낸 시료 전체를 캔에 담아 측정하지 않는 이상, 채취한 시료의 정확한 함수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함수비가 크게 측정되면 건조단위중량은 작게 계산될 것이고, 함수비가 작게 측정되면 건조단위중량은 크게 계산될 수 있다.
표준다짐시험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생각해 보면, 함수비의 오차를 먼저 생각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서의 함수비-단위중량 곡선을 살펴보아도 각 점들을 한 곡선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함수비 같은 경우 시료를 적게 채취하는 편이고 채취하는 순간에도 수분이 계속 준다는 점에서 오차가 생기기 쉬운 요소라 할 수 있다.
7. 참고 문헌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Fifth Edition) - Braja M. Das
토질시험법 - 이송, 김태훈, 이재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