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의 종류와 수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진단명 / 수술명

2.해부

3.체위

4.수술순서

5.수술 전후 간호

6.합병증

본문내용

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함.
②병동에서의 간호
기도개방 유지
: 비인두나 구인두에서 분비물 소리가 들리면 흡인한다.
적절한 호흡기능의 유지
: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한다.
순환계 상태의 사정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혈압, 맥박, 호흡)
섭취량, 배설량에 대해 주의깊게 파악한다.
쇼크와 출혈의 조기 증상에 대해 인식한다.
체온조절 상태의 사정
: 악성 고체온증을 경계하거나 저체온증을 판별하기 위해 1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37.7℃ 이상이거나 36.1℃ 이하인 경우 보고한다.
적절한 체액량 유지
: 전해질을 파악하고 오심과 구토, 허약같은 전해질 불균형의 증상을 인식한다.
의식상태, 피부색과 긴장도와 체온에 대해 평가한다.
안위증진
: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에 대해 기록한다.
환자가 편안해 하는 체위를 취해준다.
피부손상 합병증의 최소화
: 상처에서의 배액량과 형태를 기록한다.
환자를 자주 돌아눕히고 좋은 체형을 유지하게 한다.
안전유지
: 마취 후 운동조절 능력이 복구되었는지를 파악한다.
주사바늘이 사고로 인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정맥주입이 되고 있는 사지를 보호한 다.
2)두개골절제술의 후 간호
①신경학적 사정 - 활력징후와 의식수준, 사지의 움직임, 동공반응과 안구증상을 사정, 언어상 태는 2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다음 2시간 동안은 30마다, 안정될 때까지 매시간 사정
②안구 주위의 부종과 경련 상태를 관찰하고 드레싱 위로 비정상적인 출혈이나 뇌척수액 의 분비를 주의 깊게 관찰
③수술 후 두개내압의 급격한 상승 변화 관찰
④의사의 지시 없이 코를 통해 흡인하거나 머리를 낮게 해서는 안되며, 불안한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억제대를 하지 않음
6.합병증
수술 후 수술부위의 출혈, 감염, 간질발작 및 수술시 불가피한 뇌 손상으로 인한 장애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양의 위치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수술 후 사망율은 약 1-10%정도이다. 악성 뇌종양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화학요법을 시행한다. 대체로 뇌종양에서는 약품의 침투가 어려운 관계로 다른 신체부위의 종양에 비하여 화학요법의 효과가 낮은 편이다. 오심, 구토, 탈모증, 빈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두개골절제술의 합병증으로는 뇌부종, 두개내압상승, 뇌척수액의 유출, 기억상실, 마비, 특 수감각의 상실(예, 실명), 언어장애, 정신적 혼동, 수술부위 감염, 뇌막염, 발작, 뇌신경장애 등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9.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