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암의 종류와 빈도
2. 위선암(adenocarcinoma)
1) 역학
2) 위험 요인
(1) 음식(nutritional factors)
(2)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factors)
(3)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
(4) 의료적 요인(Medical factors)
(5) 유전적 요인
3) 병리학적 소견
4) 전이(Modes of spread)
5) TNM system과 Stage grouping
6) 증상
7) 진단
8) 치료
(1) 수술
(2) 보조적 치료(Adjuvant therapy)
(3) 면역요법(immunotherapy)
9) 치료 성적
10) 예방 방법
3. 림프종(gastric lymphoma)
4. 위장관기질종량(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5. 유암종(類癌腫, carcinoid tumor)
참고문헌
2. 위선암(adenocarcinoma)
1) 역학
2) 위험 요인
(1) 음식(nutritional factors)
(2)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factors)
(3)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
(4) 의료적 요인(Medical factors)
(5) 유전적 요인
3) 병리학적 소견
4) 전이(Modes of spread)
5) TNM system과 Stage grouping
6) 증상
7) 진단
8) 치료
(1) 수술
(2) 보조적 치료(Adjuvant therapy)
(3) 면역요법(immunotherapy)
9) 치료 성적
10) 예방 방법
3. 림프종(gastric lymphoma)
4. 위장관기질종량(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5. 유암종(類癌腫, carcinoid tumor)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치료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아형인 Burkitt's lymphoma는 Epstein-Barr virus와 관련이 있으며, 다른 아형보다는 좀더 악성으로, 젊은 나이에, 위의 분문부(cardia) 혹은 체부(body)에 흔히 발생한다.
진단방법으로는 위조영술,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술(CT) 등이 있으나, 위내시경을 이용하여 조직검사로 확진한다.
치료방법으로 위절제술은 제한적으로 이용되며, 약물치료(CHOP-cyclophosphamide, hydroxydauno-mycin, Oncovin, prednisone) 혹은 약물요법과 방사선 조사를 병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약물치료 시 약 5%에서 천공이 발생한다. 방사선 치료의 합병증으로는 stricture, enteritis, secondary tumor formation 등이 있다. 수술 중에 발견된 의심되는 병변은 동결절편검사(frozen section)를 하고, 진단을 위한 시료채취와 필요하다면 골수흡입생검을 시행한다. 병변이 isolated stage IE 혹은 IIE면 절제를 시행하고, 병변이 산재해 있으면 진단을 위해 충분한 조직을 얻거나 천공부위의 처치에 한하는 것이 원칙이다. Early-stage MALT lymphoma와 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의 일부는 H. pylori 제거로 치료되기도 하나, transmural tumor extension, nodal involvement, large cell phenotype이나 t(11;18)로의 변환 혹은 Bcl-10 nuclear의 발현 등은 H. pylori 제거만으로는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암시한다. MALT lymphoma 환자의 일부는 H. pylori와는 관계가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수술적 절제, 방사선 조사, 약물요법 등의 적용을 고려한다.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은 stage IE는 95% 이상이며 IIE에서는 75%이다.
4. 위장관기질종량(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ICC))에서 발생하며, 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약 1%를 차지한다. GIST는 위장관의 가장 흔한 mesenchymal tumor로 위에 발생하는 경우가 60-70%로 가장 많으며, 30대부터 발생하여 60세에 가장 흔히 발생한다. GIST는 위장관에 발생한 cellular, spindle cell, 혹은 pleomorphic mesenchymal tumor로 Kit(CD117, stem cell factor receptor) protein의 발현으로 smooth muscle neoplasm과 구별할 수 있다. GIST의 70-80%는 CD34에도 양성반응을 나타낸다.
GIST는 서서히 자라는 submucosal tumor로, 병변이 큰 경우에는 위장관 출혈, 동통, 체중감소, 복부팽만, 조기 팽만감 혹은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내시경을 통한 생검이나 CT로 진단한다. Malignancy criteria는 (1) mitotic count>5/50 HPF (50/50 HPF 이상이면 high-grade) (2) size>5 cm (3) cellular atypia (4) necrosis (5) local invasion 등이다. c-kit mutation은 악성 GIST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며, 이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악성 GIST는 20% 정도이다.
치료는 병변의 절제수술(wedge resection)을 하나, 림프절 전이는 10% 미만으로 광범위 림프절 곽청술의 효용성은 증명되지 않았다. 위절제 후 5년 생존율은 약 50%이다. Doxorubicn-based cytotoxic chemotherapy에 5% 정도에서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재발은 혈행성으로 간이나 폐에 나타난다. Mitoses가 15/30HPF 이상, mixed cytomorphology (spindle cell & epithelioid), deletion/insertion c-kit exon 11 mutation, 그리고 남자인 경우에 재발이 많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Imatinib mesylate(Glivic/Gleevec)에 54%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밖에 위에 발생하는 육종으로는 liposarcoma, fibrosarcoma, myxosarcoma, neurogenic sarcoma, angiosarcoma 등이 있다.
5. 유암종(類癌腫, carcinoid tumor)
위에는 전 carcinoid tumor의 1%가 발생할 정도로 드물다. 발생빈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은 내시경 검사가 많아지고, acid suppressive medication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은 hypergastrinemia를 일으키며 gastrin은 gastric enterochromaffin-like cell에 trophic effect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Type I, II, III로 분류되며, Type I carcinoid가 75%로 가장 흔한 형으로 chronic gastritis나 pernicious anemia로 인한 chronic hypergastrinemia 환자에서 발생한다. Type II는 MENI과 ZES와 관련이 있다.
진단은 내시경으로 조직검사를 하여야 한다 CT, octreotide scan도 이용되며, plasma chromogranin A치의 상승이 있다. 작은 병변은 내시경적 절제를, 큰 병변에 대하여서는 위절제술(gastrectomy)를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1. David C. Sabiston: Textbook of Surgery. 19th ed, W. B. Sauners Company, Philadelphia
2. Seymour I. Schwartz: Principles of Surgery, 9th ed, McGraw-Hill, Inc., New York
3. 위암과 위장관 질환: 대한위암학회, 2011년
진단방법으로는 위조영술,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술(CT) 등이 있으나, 위내시경을 이용하여 조직검사로 확진한다.
치료방법으로 위절제술은 제한적으로 이용되며, 약물치료(CHOP-cyclophosphamide, hydroxydauno-mycin, Oncovin, prednisone) 혹은 약물요법과 방사선 조사를 병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약물치료 시 약 5%에서 천공이 발생한다. 방사선 치료의 합병증으로는 stricture, enteritis, secondary tumor formation 등이 있다. 수술 중에 발견된 의심되는 병변은 동결절편검사(frozen section)를 하고, 진단을 위한 시료채취와 필요하다면 골수흡입생검을 시행한다. 병변이 isolated stage IE 혹은 IIE면 절제를 시행하고, 병변이 산재해 있으면 진단을 위해 충분한 조직을 얻거나 천공부위의 처치에 한하는 것이 원칙이다. Early-stage MALT lymphoma와 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의 일부는 H. pylori 제거로 치료되기도 하나, transmural tumor extension, nodal involvement, large cell phenotype이나 t(11;18)로의 변환 혹은 Bcl-10 nuclear의 발현 등은 H. pylori 제거만으로는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암시한다. MALT lymphoma 환자의 일부는 H. pylori와는 관계가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수술적 절제, 방사선 조사, 약물요법 등의 적용을 고려한다.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은 stage IE는 95% 이상이며 IIE에서는 75%이다.
4. 위장관기질종량(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ICC))에서 발생하며, 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약 1%를 차지한다. GIST는 위장관의 가장 흔한 mesenchymal tumor로 위에 발생하는 경우가 60-70%로 가장 많으며, 30대부터 발생하여 60세에 가장 흔히 발생한다. GIST는 위장관에 발생한 cellular, spindle cell, 혹은 pleomorphic mesenchymal tumor로 Kit(CD117, stem cell factor receptor) protein의 발현으로 smooth muscle neoplasm과 구별할 수 있다. GIST의 70-80%는 CD34에도 양성반응을 나타낸다.
GIST는 서서히 자라는 submucosal tumor로, 병변이 큰 경우에는 위장관 출혈, 동통, 체중감소, 복부팽만, 조기 팽만감 혹은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내시경을 통한 생검이나 CT로 진단한다. Malignancy criteria는 (1) mitotic count>5/50 HPF (50/50 HPF 이상이면 high-grade) (2) size>5 cm (3) cellular atypia (4) necrosis (5) local invasion 등이다. c-kit mutation은 악성 GIST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며, 이 경우 예후가 좋지 않다. 악성 GIST는 20% 정도이다.
치료는 병변의 절제수술(wedge resection)을 하나, 림프절 전이는 10% 미만으로 광범위 림프절 곽청술의 효용성은 증명되지 않았다. 위절제 후 5년 생존율은 약 50%이다. Doxorubicn-based cytotoxic chemotherapy에 5% 정도에서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재발은 혈행성으로 간이나 폐에 나타난다. Mitoses가 15/30HPF 이상, mixed cytomorphology (spindle cell & epithelioid), deletion/insertion c-kit exon 11 mutation, 그리고 남자인 경우에 재발이 많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Imatinib mesylate(Glivic/Gleevec)에 54%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밖에 위에 발생하는 육종으로는 liposarcoma, fibrosarcoma, myxosarcoma, neurogenic sarcoma, angiosarcoma 등이 있다.
5. 유암종(類癌腫, carcinoid tumor)
위에는 전 carcinoid tumor의 1%가 발생할 정도로 드물다. 발생빈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은 내시경 검사가 많아지고, acid suppressive medication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은 hypergastrinemia를 일으키며 gastrin은 gastric enterochromaffin-like cell에 trophic effect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Type I, II, III로 분류되며, Type I carcinoid가 75%로 가장 흔한 형으로 chronic gastritis나 pernicious anemia로 인한 chronic hypergastrinemia 환자에서 발생한다. Type II는 MENI과 ZES와 관련이 있다.
진단은 내시경으로 조직검사를 하여야 한다 CT, octreotide scan도 이용되며, plasma chromogranin A치의 상승이 있다. 작은 병변은 내시경적 절제를, 큰 병변에 대하여서는 위절제술(gastrectomy)를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1. David C. Sabiston: Textbook of Surgery. 19th ed, W. B. Sauners Company, Philadelphia
2. Seymour I. Schwartz: Principles of Surgery, 9th ed, McGraw-Hill, Inc., New York
3. 위암과 위장관 질환: 대한위암학회, 2011년
추천자료
항공우주학개론 7장 연습문제
국문학개론 영웅,군담소설,조선의 한문학 기말정리
국문학개론 총론,상고시가,향가 정리
항공우주학개론 솔루션
경제학개론problem set _2(2011-1)
광고학개론_쿠쿠홈시스, 쿠쿠광고마케팅사례, 브랜드마케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경영, 사례...
무역학개론
경제학개론
사회학개론-한국국민성의과거와현재
마케팅개론 SKTelecom 기업 분석통신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보육학개론)아동발달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현대사회에서 아동의 ...
경제학개론)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의미와 그 결정변수 4가지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