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진단 :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활동내구성 장애
2. 간호진단 :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3. 간호진단 :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4. 간호진단 : 부종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5. 간호 진단 : 심박출량 감소 및 수분과 염분 정체와 관련된 체액과다
6. 간호 진단 : 폐포내의 수분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7. 간호 진단 :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8. 간호 진단 : 식욕부진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9. 간호 진단 : 수분과 식이 제한, 저하된 활동수준과 관련된 변비
10. 간호 진단 : 투석의 효과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2. 간호진단 :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3. 간호진단 :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4. 간호진단 : 부종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5. 간호 진단 : 심박출량 감소 및 수분과 염분 정체와 관련된 체액과다
6. 간호 진단 : 폐포내의 수분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7. 간호 진단 :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8. 간호 진단 : 식욕부진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9. 간호 진단 : 수분과 식이 제한, 저하된 활동수준과 관련된 변비
10. 간호 진단 : 투석의 효과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본문내용
된 변비
- 목표 : 환자는 최소한 이틀에 한번씩 배변하여 변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 간호 계획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게 휴식을 취하고 낮잠을 자도록 권한다.
환자가 적절한 운동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도록 돕는다.
필요하다면 변 완하제를 투여한다.
(성모자애병원은 3일동안 변을 보지 못하면 완화제를 준다.)
장음을 들어본다.
10. 간호 진단 : 투석의 효과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목표 : 열이 없고 맑은 투석액을 보이며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간호 계획
복막투석회로를 열 때 마스크를 착용한다.
도관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모든 과정동안 카테터를 만지는 사람은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카테터는 povidone iodine용액으로 닦는다.
카테터 출구부위의 드레싱은 건조하게 유지한다.
- 목표 : 환자는 최소한 이틀에 한번씩 배변하여 변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 간호 계획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게 휴식을 취하고 낮잠을 자도록 권한다.
환자가 적절한 운동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도록 돕는다.
필요하다면 변 완하제를 투여한다.
(성모자애병원은 3일동안 변을 보지 못하면 완화제를 준다.)
장음을 들어본다.
10. 간호 진단 : 투석의 효과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목표 : 열이 없고 맑은 투석액을 보이며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간호 계획
복막투석회로를 열 때 마스크를 착용한다.
도관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모든 과정동안 카테터를 만지는 사람은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카테터는 povidone iodine용액으로 닦는다.
카테터 출구부위의 드레싱은 건조하게 유지한다.
추천자료
ESRD에 대한사례보고서-CRF(말기 신부전)
[내과case]당뇨, 간경변증, 간암
수두증 환아 간호 과정
울혈성 심부전
[간호학]세균성 뇌수막염
학습활동 9_4_9
gips
[성인간호학][간세포암][HCC] 케이스스터디(Case Study)[Hepatocellular Carcinoma][간암], ...
TKR (슬관전 전치환술) 간호사례 연구
[성인간호학][ESRD][만성신부전][말기신장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End-stage rena...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투석간호(정의, 목적, 적응증, 종류, 혈액투석, 복막투석, HD, PD, 간호중재, 간호사정, 간호...
신장투석 AKR 사전학습
CHF case study (울혈성 심부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