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근본적인 활용방안은 시공중이나 시공후의 안전성 및 경제성의 확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관점은 일차적으로 해당공사에 한정되는 것이긴 하지만 좀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차후의 공사에 대한 유용한 실적으로서의 운용까지도 내포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기존 이론이나 설계법등의 정확도와 적용범위에 대한 평가 및 새로운 이론 또는 보다 나은 설계법의 개발까지도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① 해당공사의 안전성 및 경제성의 확보
- 시공중의 활용 : 공사가 진전됨에 따라 보다 상세한 지반의 상태가 알려짐으로서 설계시 채택한 각종의 변수를 평가하고 지반상태에 적합하도록 설계와 시공법을 변경하여 각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결과를 시공 및 품질관리에 활용
- 시공후의 활용 : 공사가 끝난다음 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와 조기경보계통의 확보 체계를 확보하여 대형사고와 피해를 사전에 예방,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용
② 차후 공사의 안전성 및 경제성의 확보
- 계측의 결과는 차후 다른 공사의 설계 및 시공과 계측계획의 수립에 반영하는 실적으로 활용
- 기존이론, 설계법등의 정확도와 적용범위에 대해 평가하고 새로운 이론 또는 보다나은 설계법의 개발에까지 활용
① 해당공사의 안전성 및 경제성의 확보
- 시공중의 활용 : 공사가 진전됨에 따라 보다 상세한 지반의 상태가 알려짐으로서 설계시 채택한 각종의 변수를 평가하고 지반상태에 적합하도록 설계와 시공법을 변경하여 각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결과를 시공 및 품질관리에 활용
- 시공후의 활용 : 공사가 끝난다음 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와 조기경보계통의 확보 체계를 확보하여 대형사고와 피해를 사전에 예방,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용
② 차후 공사의 안전성 및 경제성의 확보
- 계측의 결과는 차후 다른 공사의 설계 및 시공과 계측계획의 수립에 반영하는 실적으로 활용
- 기존이론, 설계법등의 정확도와 적용범위에 대해 평가하고 새로운 이론 또는 보다나은 설계법의 개발에까지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