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목적
3.실험원리:
1) 단백질의 구조
2) 단백질 전기영동
4. 시약조사
2.실험목적
3.실험원리:
1) 단백질의 구조
2) 단백질 전기영동
4. 시약조사
본문내용
결합을 환원시켜주면서 단백질의 접힘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 내의 소수성 부분에 결합하여 단백질 분자들 간의 소수성 부분의 결합 가능성을 억제시킨다. SDS는 또한 단백질에 많은 음전하를 제공하며, 단백질 내에서의 하전된 반응기들의 영향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이동도는 상대적 분자량의 대수(log)값에 반비례하는 특성이 생긴다. 단백질의 소단위체(Sub-unit)들은 때로는 이황화다리(disulphide bridges : cystine)로 결합할 수 있으며, SDS는 이 결합을 깨뜨릴 수 없다. 그러나 전기영동 전에 단백질 시료를 mercaptoethanol을 사용하여 결합을 깨뜨리면 소단위들은 자유로워진다.
Coomassie Blue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단백질을 시각화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유기 염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 방법, mass spectrometry와의 좋은 호환성 때문에 Coomassie Blue dye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후 소개된 더욱 발전된 방법은 colloidal dye를 이용한 방법인데, 이는 젤 메트릭스를 염색하지 않고 단백질을 염색할 수 있다. Coomassie Blue의 검출 한계가 8-10ng인 반면에 colloidal Coomassie Blue에 의한 검출 한계는 30-100ng이고 두 가지 염료 모두 10-30배 범위의 단백질 양에 대해서만 linear response를 제공한다. 따라서 낮은 검출 민감성 및 낮은 linear dynamic range가 Coomassie Blue를 이용한 염색 방법의 근본적인 한계라 할 수 있다. 라이신에 결합하여 파란색 band가 보이게 해주는 염색약이다.
5.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neufyoung.do?Redirect=Log&logNo=40008342609
http://blog.naver.com/jichol.do?Redirect=Log&logNo=80009565695
http://blog.naver.com/cjsdmltjr.do?Redirect=Log&logNo=4419826
http://my.netian.com/~rkdtndus/protein.htm
http://myhome.hanafos.com/~s9euno/ch3-2.htm
http://dasan.sejong.ac.kr/~yjlee/p-agarose%20gel.htm
Coomassie Blue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단백질을 시각화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유기 염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 방법, mass spectrometry와의 좋은 호환성 때문에 Coomassie Blue dye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후 소개된 더욱 발전된 방법은 colloidal dye를 이용한 방법인데, 이는 젤 메트릭스를 염색하지 않고 단백질을 염색할 수 있다. Coomassie Blue의 검출 한계가 8-10ng인 반면에 colloidal Coomassie Blue에 의한 검출 한계는 30-100ng이고 두 가지 염료 모두 10-30배 범위의 단백질 양에 대해서만 linear response를 제공한다. 따라서 낮은 검출 민감성 및 낮은 linear dynamic range가 Coomassie Blue를 이용한 염색 방법의 근본적인 한계라 할 수 있다. 라이신에 결합하여 파란색 band가 보이게 해주는 염색약이다.
5.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neufyoung.do?Redirect=Log&logNo=40008342609
http://blog.naver.com/jichol.do?Redirect=Log&logNo=80009565695
http://blog.naver.com/cjsdmltjr.do?Redirect=Log&logNo=4419826
http://my.netian.com/~rkdtndus/protein.htm
http://myhome.hanafos.com/~s9euno/ch3-2.htm
http://dasan.sejong.ac.kr/~yjlee/p-agarose%20gel.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