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97년 이전의 교육 제도
2. 1997년 5월 집권 노동당의 교육 제도 개혁 방향
3. 영국의 교육 현황
1)학령 전 교육
2)초등학교 교육
3)중/고등학교 교육
4)대학교 교육
2. 1997년 5월 집권 노동당의 교육 제도 개혁 방향
3. 영국의 교육 현황
1)학령 전 교육
2)초등학교 교육
3)중/고등학교 교육
4)대학교 교육
본문내용
의 지도를 받지는 않지만 중앙정부로부터 재정을 받는 공립 학교이다. 이들 학교는 등록금을 받지 않으나, 소수의 학교들이 기숙사를 운영하며, 이를 이용하려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또한 약 2500여개의 사립학교들이 대략 13세 이상의 아동들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들이 기숙사를 갖추고 있다. Sixth form 칼리지에서는 16-19세의 학생들을 위한 학업 및 일반 코스들을 개설하고 있다.
영국에는 약 2천 5백여 개의 사립학교가 있으며 만 13세 이상 학생을 입학시킨다. 대부분의 학교가 기숙사를 갖추고 있으며 수업내용이나 학교시설이 공립보다 우수하다.
4)대학교 교육
영국에는 97개 대학에 96만 명의 대학생(이 중 대학원생은 약10%인 9만 7천 명)이 있으며 유일한 사립인 버밍엄(Birmingham) 대학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학 무상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ttee)를 통해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대학교는 학사운영 전반에 걸쳐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완전한 자율권을 보유한다. 대학 및 기타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하는 학생의 비율은 1980년도 8명 중 1명꼴에서 1990년도에는 5명중 1명으로 늘어났으며 2000년에는 3명 중 1명에 도달하리라고 예상하고 있다.
학사 과정 및 이와 비슷한 수준의 코스를 밟은 학생의 90% 이상은 등록금과 생활비를 부담할 만한 장학금을 받는다. 모든 학생들은 정부로부터 무이자 융자를 받을 자격을 가지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 및 캠브리지 대학은 각각 12-13세기에 설립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앤드류(St Andrew), 글래스고(Glasgow), 애버딘(Aberdeen), 에든버러(Edinburgh) 대학은 15-16세기에 설립되었고 나머지 대학들은 19-20세기에 들어와 설립되었다. 1967년 이후 산업계와 밀접한 산학 관계를 가지는 폴리테크닉(polytechnic)이 설립됨에 따라 영국의 대학 수준의 교육 발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제정된 법에 의해 대부분의 폴리테크닉은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93년부터 자체적으로 학사 및 석사학위까지 수여하고 있다.
최근 폴리테크닉에서 이름을 바꾼 대학교를 제외하면 현재 영국에서는 모두 47개의 대학교(잉글랜드 36, 웨일스 1, 스코틀랜드 8, 북아일랜드 2)가 있다. 영국대학의 학부 코스는 3년으로써 짧은 대신 매우 집중적인 교육을 시키며 석사 과정은 1년이다.
A-Level이 대학 1학년의 과정에 대한 시험이므로 A-Level을 마친 사람은 1학년을 수료한 것으로 간주된 만큼 수준이 높다.
학위의 명칭은 각 대학의 관례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학사는 BA나 BSC, 석사는 MA 또는 MSC, Mphil, MHD로 부르며 때때로 Mphil은 석사(MA)와 박사(Dr) 사이의 박사 입문 과정(1년)을 졸업한 사람에게 주는데, 캠브리지의 경우 Mphil은 단지 석사학위만을 의미한다.
스코틀랜드의 오래 된 대학에서는 다른 대학의 BA를 MA라고 부르며 대학원 과정의 학위명칭도 BSC, Bphi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국인의 경우 학비는 물론 경우에 따라서 일부 생활비 보조를 국가에서 받으므로 우수한 학생은 학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나, 단 외국인에게는 상당히 비싼 학비 (과정에 따라 다르나 보통 학사의 경우 학비만 6,000-9,000파운드:약 1천만 원 내지 2천만 원)를 요구하고 있다. 대학 졸업시 성적에 따라 학위(Degree)의 수준이 결정되며 학업을 계속하거나 고급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First Class 혹은 Upper Class 의 성적이 요청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약 2500여개의 사립학교들이 대략 13세 이상의 아동들을 수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들이 기숙사를 갖추고 있다. Sixth form 칼리지에서는 16-19세의 학생들을 위한 학업 및 일반 코스들을 개설하고 있다.
영국에는 약 2천 5백여 개의 사립학교가 있으며 만 13세 이상 학생을 입학시킨다. 대부분의 학교가 기숙사를 갖추고 있으며 수업내용이나 학교시설이 공립보다 우수하다.
4)대학교 교육
영국에는 97개 대학에 96만 명의 대학생(이 중 대학원생은 약10%인 9만 7천 명)이 있으며 유일한 사립인 버밍엄(Birmingham) 대학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학 무상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ttee)를 통해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대학교는 학사운영 전반에 걸쳐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완전한 자율권을 보유한다. 대학 및 기타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하는 학생의 비율은 1980년도 8명 중 1명꼴에서 1990년도에는 5명중 1명으로 늘어났으며 2000년에는 3명 중 1명에 도달하리라고 예상하고 있다.
학사 과정 및 이와 비슷한 수준의 코스를 밟은 학생의 90% 이상은 등록금과 생활비를 부담할 만한 장학금을 받는다. 모든 학생들은 정부로부터 무이자 융자를 받을 자격을 가지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 및 캠브리지 대학은 각각 12-13세기에 설립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앤드류(St Andrew), 글래스고(Glasgow), 애버딘(Aberdeen), 에든버러(Edinburgh) 대학은 15-16세기에 설립되었고 나머지 대학들은 19-20세기에 들어와 설립되었다. 1967년 이후 산업계와 밀접한 산학 관계를 가지는 폴리테크닉(polytechnic)이 설립됨에 따라 영국의 대학 수준의 교육 발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 제정된 법에 의해 대부분의 폴리테크닉은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93년부터 자체적으로 학사 및 석사학위까지 수여하고 있다.
최근 폴리테크닉에서 이름을 바꾼 대학교를 제외하면 현재 영국에서는 모두 47개의 대학교(잉글랜드 36, 웨일스 1, 스코틀랜드 8, 북아일랜드 2)가 있다. 영국대학의 학부 코스는 3년으로써 짧은 대신 매우 집중적인 교육을 시키며 석사 과정은 1년이다.
A-Level이 대학 1학년의 과정에 대한 시험이므로 A-Level을 마친 사람은 1학년을 수료한 것으로 간주된 만큼 수준이 높다.
학위의 명칭은 각 대학의 관례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학사는 BA나 BSC, 석사는 MA 또는 MSC, Mphil, MHD로 부르며 때때로 Mphil은 석사(MA)와 박사(Dr) 사이의 박사 입문 과정(1년)을 졸업한 사람에게 주는데, 캠브리지의 경우 Mphil은 단지 석사학위만을 의미한다.
스코틀랜드의 오래 된 대학에서는 다른 대학의 BA를 MA라고 부르며 대학원 과정의 학위명칭도 BSC, Bphi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국인의 경우 학비는 물론 경우에 따라서 일부 생활비 보조를 국가에서 받으므로 우수한 학생은 학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나, 단 외국인에게는 상당히 비싼 학비 (과정에 따라 다르나 보통 학사의 경우 학비만 6,000-9,000파운드:약 1천만 원 내지 2천만 원)를 요구하고 있다. 대학 졸업시 성적에 따라 학위(Degree)의 수준이 결정되며 학업을 계속하거나 고급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First Class 혹은 Upper Class 의 성적이 요청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천자료
공무원교육훈련제도
교육자치제도
[교육행정] 교육제도와 행정조직, 장학행정
유럽의 교육제도, 학교생활, 직업교육
[교육]중국의 교육제도
[교육학]지방교육재정조정제도
북한교육제도와 정치
교육제도 문제점
미국의 교육제도와 교사제도
[교육사]고려와 조선의 교육제도
[독일교육제도] 서유럽 사회와 문화 - 독일의 선진 고등교육
다문화 -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제도 (다문화의 이해, 해외의 다문화 사례, 다문화 가정과 ...
외국국가 중 한 국가를 선택하여 평생교육제도와 정책을 정리 - 평생교육
공교육제도의 성립배경과 특징을 설명하고 오늘날 공교육의 한계점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