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크린쿼터 축소논란 - 손석희의 100분 토론>
* 진행: 손석희
* 패널 (참석자)
1.스크린 쿼터 축소 찬성
- 재정경제부 경제협력국장: 이시형
- 상명대 영화학과 교수: 조희문
- 문화부 영상 산업 진흥 과장: 김태훈 (전화 참여)
2. 스크린 쿼터 축소 반대
- 스크린 쿼터 지키기 영화인 대책위 공동위원장: 정지영
-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 이해영
- 영화배우: 안성기 (전화 참여)
3. 시민논객
* 토론의 주제
* 토론의 중심화제
제1장. 스크린 쿼터 축소의 배경과 의미
제2장. 한국 영화계의 경쟁력은
제3장. 경제실리 Vs 문화주권
제4장. 영화산업 지원책에 대한 평가
* 결론
* 진행: 손석희
* 패널 (참석자)
1.스크린 쿼터 축소 찬성
- 재정경제부 경제협력국장: 이시형
- 상명대 영화학과 교수: 조희문
- 문화부 영상 산업 진흥 과장: 김태훈 (전화 참여)
2. 스크린 쿼터 축소 반대
- 스크린 쿼터 지키기 영화인 대책위 공동위원장: 정지영
-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 이해영
- 영화배우: 안성기 (전화 참여)
3. 시민논객
* 토론의 주제
* 토론의 중심화제
제1장. 스크린 쿼터 축소의 배경과 의미
제2장. 한국 영화계의 경쟁력은
제3장. 경제실리 Vs 문화주권
제4장. 영화산업 지원책에 대한 평가
* 결론
본문내용
정책이나 인식 쪽에서는 극장을 포함한 유통업계 전체를 아직도 규제의 대상이거나 정책적인 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것은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 스크린 쿼터 지키기 영화 대책위 공동 위원장 : 정지영
현재 문광부에서 제시하는 것은 소위 마이너리티쿼터제도라고 해서 소위 어떤 나라나 독립영화에 지원해서 영화 인프라를 구축시킨다. 그건 정부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나의 의견: 김태훈(문화관광부 영화진흥상업과장)씨가 밝힌 우리나라 영화산업 지원책은 일방적으로 극장측의 이해와 희생을 강요하는 것 같다. 극장측이 티켓 값을 올리는 것은 관객의 감소와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쉽지 않을 것이라고 얘기했지만 이러한 부담은 결국 국민의 부담이 될 것이다. 또한 아직 극장측과의 협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산업 지원책을 발표한 것은 성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정부의 정책이 얼마만큼의 실효성을 거둘지는 의문으로 남는 것 같다.
* 결론
솔직히 이번 토론을 보면서 느낀 것은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100분은 너무 짧다는 것이었다. 100분 토론에서는 방송을 시작하며 4가지 중심화제를 제시했지만 4가지 주제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 하지는 못한 것 같다. 또한 가끔은 서로 자신들의 의견들을 내세우다보니 감정이 격해지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런 토론 프로그램에서는 진행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또한 많은 준비만이 토론에서 살아남는 길이라는 것을 느꼈다. 이 프로를 보면서 앞으로 발표할 팀 토론의 가닥을 잡게 되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된 것 같다.
- 스크린 쿼터 지키기 영화 대책위 공동 위원장 : 정지영
현재 문광부에서 제시하는 것은 소위 마이너리티쿼터제도라고 해서 소위 어떤 나라나 독립영화에 지원해서 영화 인프라를 구축시킨다. 그건 정부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나의 의견: 김태훈(문화관광부 영화진흥상업과장)씨가 밝힌 우리나라 영화산업 지원책은 일방적으로 극장측의 이해와 희생을 강요하는 것 같다. 극장측이 티켓 값을 올리는 것은 관객의 감소와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쉽지 않을 것이라고 얘기했지만 이러한 부담은 결국 국민의 부담이 될 것이다. 또한 아직 극장측과의 협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산업 지원책을 발표한 것은 성급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정부의 정책이 얼마만큼의 실효성을 거둘지는 의문으로 남는 것 같다.
* 결론
솔직히 이번 토론을 보면서 느낀 것은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100분은 너무 짧다는 것이었다. 100분 토론에서는 방송을 시작하며 4가지 중심화제를 제시했지만 4가지 주제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 하지는 못한 것 같다. 또한 가끔은 서로 자신들의 의견들을 내세우다보니 감정이 격해지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런 토론 프로그램에서는 진행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또한 많은 준비만이 토론에서 살아남는 길이라는 것을 느꼈다. 이 프로를 보면서 앞으로 발표할 팀 토론의 가닥을 잡게 되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된 것 같다.
추천자료
다국적 기업의 문화적 잠식과 대응방안 (다국적기업 문화잠식 )
사회학의 이해
[무역]한미FTA, 왜 급한가?
한국의 영화에 대해서
한미FTA 분석
자유주의의 자유와 개인주의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비판
[한국영화][한국영화산업]한국영화와 한국영화산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한국영화산업 자본 및...
한국과 미국의 FTA란 무엇이며, 그에 따른 찬반의견.
한미 FTA체결로 인한 우리나라 방송산업에 미치는 영향
영화 '괴물'을 통해본 한국 영화 전성기의 그늘
한국의 영화산업과 정책에 대해서
한국영화산업의 이해(발전과정과 현재, 영화사, 영화史)
영화산업-미국, 한국
[사회과학]한미 FTA 독인가 약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