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2. 실험목적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본문내용
175 mol H2O
물의 유량은 최소치의 1.25배 이므로 La = 1.25 × 175 = 219 mol이고
Lb = 219 + 6 = 225 mol이다. 그러면 액체의 온도상승은 다음과 같다.
Tb - 25 = 39260/(225*18) = 9.7℃
따라서 액체는 35℃로 나가며, xb = 5.98/225 = 0.0266이고 y* = 0.044이다.
해석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x의 선형함수라고 가정하면, x = 0.0137에서 T = 30℃이다. 30℃에서 주어진 데이타를 이용하고 25℃의 초기의 기울기와 35℃에서 y* 의 최종값을 내삽함으로써 평형선이 그려진다. 액체유량과 기체유량의 약간의 변화를 무시하면 조작선은 직선으로 그려진다. 평형선의 곡률때문에 는 수치적분을 하거나 여기서 사용된 과정인 탑의 부위별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yb - ya)/ΔyL
y
y*
y - y*
ΔyL
Δy/ΔyL = Δ Noy
0.06
0.048
0.012
-
-
0.03
0.017
0.013
0.0125
2.4
0.01
0.0055
0.0045
0.0080
2.5
0.0002
0
0.0002
0.00138
7.1
Noy = 12.0
∴ = 12
■ 고 찰
- 이번 실험은 기체의 정제 및 분류를 위한 흡수탑을 이용한 기체의 흡수실험이었다. 2m 길이의 흡수탑을 이용해서 탑의 상부에서 흡수되는 기체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기체의 흡수율을 구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복잡해 보이는 실험장치을 이용했는데 밸브가 상당히 많아서 밸부조작에 익숙해지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실험 결과 상부에서의 흡수율은 약 20%가 나왔다. 이 흡수율이 정확한 값이라고 할 수 없는데 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① 밸브조작 미숙으로 탑의 하부에 혼합기체가 섞이는 부분에서 혼합기체가 Water에 잠겨있게 되어 실험값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② 실험 장치의 공기유량이 일정해야하는데 중간에 변하여 실험값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③ 를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가 새것이 아니라 전에 사용하던 것이기 때문에 전에 녹은 가 있을 수 있다.
④ 역시 에 찌꺼기가 있을 수 있다.
이번 실험은 실험 준비과정에서 물에 젖는등 여러모로 기억에 남을 만한 실험이었던 것 같다. 또한 실험 과정은 그리 어렵지 않았지만, 실험결과보고서 작성중 여러 계산과정이 신경쓰였던 실험이었다.
물의 유량은 최소치의 1.25배 이므로 La = 1.25 × 175 = 219 mol이고
Lb = 219 + 6 = 225 mol이다. 그러면 액체의 온도상승은 다음과 같다.
Tb - 25 = 39260/(225*18) = 9.7℃
따라서 액체는 35℃로 나가며, xb = 5.98/225 = 0.0266이고 y* = 0.044이다.
해석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x의 선형함수라고 가정하면, x = 0.0137에서 T = 30℃이다. 30℃에서 주어진 데이타를 이용하고 25℃의 초기의 기울기와 35℃에서 y* 의 최종값을 내삽함으로써 평형선이 그려진다. 액체유량과 기체유량의 약간의 변화를 무시하면 조작선은 직선으로 그려진다. 평형선의 곡률때문에 는 수치적분을 하거나 여기서 사용된 과정인 탑의 부위별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yb - ya)/ΔyL
y
y*
y - y*
ΔyL
Δy/ΔyL = Δ Noy
0.06
0.048
0.012
-
-
0.03
0.017
0.013
0.0125
2.4
0.01
0.0055
0.0045
0.0080
2.5
0.0002
0
0.0002
0.00138
7.1
Noy = 12.0
∴ = 12
■ 고 찰
- 이번 실험은 기체의 정제 및 분류를 위한 흡수탑을 이용한 기체의 흡수실험이었다. 2m 길이의 흡수탑을 이용해서 탑의 상부에서 흡수되는 기체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기체의 흡수율을 구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복잡해 보이는 실험장치을 이용했는데 밸브가 상당히 많아서 밸부조작에 익숙해지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실험 결과 상부에서의 흡수율은 약 20%가 나왔다. 이 흡수율이 정확한 값이라고 할 수 없는데 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① 밸브조작 미숙으로 탑의 하부에 혼합기체가 섞이는 부분에서 혼합기체가 Water에 잠겨있게 되어 실험값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② 실험 장치의 공기유량이 일정해야하는데 중간에 변하여 실험값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③ 를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가 새것이 아니라 전에 사용하던 것이기 때문에 전에 녹은 가 있을 수 있다.
④ 역시 에 찌꺼기가 있을 수 있다.
이번 실험은 실험 준비과정에서 물에 젖는등 여러모로 기억에 남을 만한 실험이었던 것 같다. 또한 실험 과정은 그리 어렵지 않았지만, 실험결과보고서 작성중 여러 계산과정이 신경쓰였던 실험이었다.
추천자료
비타민의흡수와대사
*원자흡수분광법(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흡수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 비교
확산의 원리, 용질의 확산 계수, 기체의 확산 계수를 측정
경피흡수제제에 대한 사업계획서
[증후군][거북목][새집][과민성대장][생존자][클라인펠터][흡수장애][헌터]거북목증후군, 새...
[식물][생장호르몬][광합성][호흡][증산][물질수송][흡수][식물발달][식물재배]식물의 생장호...
[물리화학실험] 분광도 측정 (UV-Vis) -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을 이해하고, 그 방...
굵은_골재의_비중_및_흡수율
[청국장][청국장 역사][청국장 영양][청국장 효과][청국장 흡수율][청국장 제조방법]청국장의...
[약물전달시스템(DDS)][체내흡수][나노전달체]약물전달시스템(DDS)의 개념, 약물전달시스템(D...
[생물학 실험] 광합성 색소분리 및 측정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시금치 잎에서 광...
[자외선] 자외선의 개념 및 영향(태양광선, 자외선과 가시광선, 오존층파괴의 영향, 피부의 ...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소화와 흡수, 소화작용, 영양소 흡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