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시작하며
◆ 컨테이너선 대형화의 배경
◆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효과
◆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문제점
◆ 컨테이너선 대형화 해결과제
◆ 컨테이너선 향후 전망
◆ 마치며
◆ 컨테이너선 대형화의 배경
◆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효과
◆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문제점
◆ 컨테이너선 대형화 해결과제
◆ 컨테이너선 향후 전망
◆ 마치며
본문내용
나머지 항만은 피더 서비스(feeder service)로 연결된다. 따라서 선사들은 이러한 중심 및 지선(hub and spoke) 수송체제에 상응하여 효과적인 연계 수송 운항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즉 대형선의 투입과 함께 중 ·소형선 분야의 시장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시장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항만업계나 당국의 입장에서는 중심항만으로서의 지위를 선점하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전개하게 된다. 선박과 마찬가지로 항만도 규모의 이점을 갖기 때문에 인근의 타 항만보다 앞서서 중심항만으로 발돋움 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의 주요 항만들은 대형선박을 유치할 수 있는 시설확충과 장비의 현대화에 경쟁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하역시스템의 개선은 대형선의 유치를 위한 주요 관건이 된다. 선박이 대형화되면 기항지당 적,양하 되는 컨테이너의 양이 증가하므로 선박의 재항시간이 늘어나는데, 재항시간의 증가는 대형화의 이점을 상쇄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하역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DHST(Dual Hoist Second Trolly) 시스템 이외에 양현하역(Slip-in) 시스템, 옥토퍼스(Octopus ) 시스템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고효율의 무인자동화터미널이 운영 또는 계획되고 있다. 정봉민, 「컨테이너선 대형화의 딜레마」
- 선사 간 전략적 제휴
선적률을 높이기 위한 선사 간 전략적 제휴선사들이 운항비 절감을 위해 계속적으로 대형선을 투입함으로써 대형선 기항지에서의 선사 간 화물량 확보 경쟁이 증가하게 된다. 대형선이 일반화됨으로써 항로별로 대형선이 과잉 배선되고 따라서 특정 기항지에서의 선사 간 선적률을 높이기 위한 화물 집하 경쟁으로 운임하락의 위험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 대형화에 따라 특정 기항지에서의 집하 능력을 확보하고, 선사 간 과당 경쟁을 피하기 위해 선사 간 전략적 제휴가 확산되고 있다. 즉 항로별로 특정 기항지에서의 화물 확보를 위해 각 선사가 비교 우위에 있는 지역을 분담하여 영업망을 구축함으로써 선박 대형화에 따라 제기될 수 있는 선적률 저하를 피할 수 있다. 전략적 제휴의 주요 내용은 공동 상호선복임대차, 운항일정 및 기항지 조정 등 이다. 특히 동맹의 시장지배력이 상실 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사 간 전략적 제휴는 해운시장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다
◆ 마치며
! 대형화 추세는 기항지별 선적률을 높이기 경쟁 등의 요인에 의하여 한계에 도달할 것이다. 그리고 선적률 향상을 위한 선사 간 전략적 제휴가 활발히 진행되리라 전망된다.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는 자본비용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컨테이너선의 슬롯 당 건조비용은 선박이 대형화 될수록 낮아진다. 또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는 운항비용 측면에서도 규모의 경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항비용 절감효과는 중심 및 지선 운항체제에 따른 추가적인 환적비용과 마케팅비용 그리고 내륙운송비용 등의 증가에 의해 상당 부분이 상쇄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선 대형화를 통한 경제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을 검토해 보아야 하며 섣불리 컨테이너선 대형화 추세에 편승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
▷ Reference ◁
www.kmi.re.k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sg.co.kr ((주)코리아쉬핑가제트)
www.maritimepress.com (한국해운신문)
전준수,『글로벌경쟁시대의 국제해상운송실무』, 박영사
『21세기 글로벌 해운.물류』, 두남
- 선사 간 전략적 제휴
선적률을 높이기 위한 선사 간 전략적 제휴선사들이 운항비 절감을 위해 계속적으로 대형선을 투입함으로써 대형선 기항지에서의 선사 간 화물량 확보 경쟁이 증가하게 된다. 대형선이 일반화됨으로써 항로별로 대형선이 과잉 배선되고 따라서 특정 기항지에서의 선사 간 선적률을 높이기 위한 화물 집하 경쟁으로 운임하락의 위험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 대형화에 따라 특정 기항지에서의 집하 능력을 확보하고, 선사 간 과당 경쟁을 피하기 위해 선사 간 전략적 제휴가 확산되고 있다. 즉 항로별로 특정 기항지에서의 화물 확보를 위해 각 선사가 비교 우위에 있는 지역을 분담하여 영업망을 구축함으로써 선박 대형화에 따라 제기될 수 있는 선적률 저하를 피할 수 있다. 전략적 제휴의 주요 내용은 공동 상호선복임대차, 운항일정 및 기항지 조정 등 이다. 특히 동맹의 시장지배력이 상실 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사 간 전략적 제휴는 해운시장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다
◆ 마치며
! 대형화 추세는 기항지별 선적률을 높이기 경쟁 등의 요인에 의하여 한계에 도달할 것이다. 그리고 선적률 향상을 위한 선사 간 전략적 제휴가 활발히 진행되리라 전망된다.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는 자본비용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컨테이너선의 슬롯 당 건조비용은 선박이 대형화 될수록 낮아진다. 또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는 운항비용 측면에서도 규모의 경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항비용 절감효과는 중심 및 지선 운항체제에 따른 추가적인 환적비용과 마케팅비용 그리고 내륙운송비용 등의 증가에 의해 상당 부분이 상쇄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선 대형화를 통한 경제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을 검토해 보아야 하며 섣불리 컨테이너선 대형화 추세에 편승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
▷ Reference ◁
www.kmi.re.k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sg.co.kr ((주)코리아쉬핑가제트)
www.maritimepress.com (한국해운신문)
전준수,『글로벌경쟁시대의 국제해상운송실무』, 박영사
『21세기 글로벌 해운.물류』, 두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