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선과 악
3. 고전문학에서의 선악
3. 선악의 기능과 의미
4. 선악의 현대적 계승
2. 선과 악
3. 고전문학에서의 선악
3. 선악의 기능과 의미
4. 선악의 현대적 계승
본문내용
① 콩쥐(善)
[예문]
콩쥐는 그 말대로 손발과 얼굴을 씻고 한참 후에 돌아왔다. 그러자 검은 소는 좋은 호미와 온갖 과실을 치마폭에 싸 주고는 홀연히 사라져 버리는 것이었다. (중략)
콩쥐는 그것을 받았으나 아버지께도 보여 드리고 어머니께도 이야기하며 팥쥐와도 똑같이 나누어 먹겠다는 생각으로 하나도 입에 넣지 않았다. 그리고 잠시 동안에 몇 마지기 밭을 매어 놓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벌써 문은 굳게 닫혀 있었고, 안에서는 저녁밥을 지어 팥쥐와 함께 앉아 맛있게 먹고 있는 것 같았다.
② 계모와 팥쥐(惡) - 결혼의 약탈적인 성취를 위해서 콩쥐에 대한 온갖 질투, 모함과 간교, 학대, 기만 및 잔인한 악행과 시험을 부과.
[예문]
"콩쥐야, 이 년! 이리 오너라. 네 이 년, 어른이 시켜서 김인지 뭔지 매러 갔으면 일찍 마치고 돌아와서 밥도 먹고 또 다른 일도 해야 할 게 아니야, 그래 여태껏 무엇을 했느냐? 그리고 과실은 어디서 났단 말이냐? 이게 분명 불공에 쓰는 과실 같은데 저 년이 분명 아무 절 중놈에게 얻은 것이지!
네 그렇지 않고서야 어디서 났단 말이냐? 계집애년이 나이 열댓살 가까워오니까 벌써부터 지나가는 행인을 홀려 먹는단 말이냐? 이런 일을 너의 아버지께서 알아 봐라! 큰일이 나지 않겠느냐? 얘 팥쥐야. 이걸 빨리 먹어 버리고 아버지 눈에 띄지 않게 해라. 눈에 띄는 날이면 언니 년은 죽는 날이다. 언니는 실컷 먹었을 터이니 그만두고 너나 얼른 먹어치워라."
③ 신데렐라 이야기의 모티브
* 중국의 신데렐라 이야기의 난제 모티브
: 계란 위에 걷기, 칼로 만든 사닥다리 걷기, 뜨거운 기름솥에 뛰어들기.
* 신데렐라와 유사성
이 작품은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신데렐라형 설화를 소재로 하여 소설화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콩쥐팥쥐전>은 그 가운데서도 중국민간의 '신데렐라형 이야기'와 같은 계통인 한국전래의 콩쥐 . 팥쥐 설화를 전폭 수용한 작품이다. 소가 나타나서 사건 전개의 단서가 되는 점, 결말에 가서 팥쥐와 계모에 대하여 철저한 응징을 가하는 점 등이 그렇다.
이 작품이 설화를 소재로 하였으면서도 설화와 구별되는 것은 신데렐라계 설화의 대부분이 남녀 주인공의 혼인으로 끝나는 데 비하여, 이 소설에서는 혼인 이후의 사건을 더 흥미 있고 다채롭게 묘사하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악한 인간에 대한 철저한 응징을 형상화하여 권선징악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단순한 설화에 개연성 있는 윤리적인 주제를 부여하고 소설적으로 재창조하였다는 점에 이 작품의 가치가 있다.
3. 선악의 기능과 의미
⑴ 권선징악적 결말 : 사씨남정기, 흥부전, 콩쥐팥쥐 등
-첫째, 악인은 결국 패배한다.
-둘째, 선인은 결국 승리한다.
-셋째, 악인은 징벌을 받는다.
-넷째, 선인은 보상을 받는다.
⑵·권선징악적 이야기의 교육적 의미
-악한들이 징벌을 받음으로써 악행으로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확신을 갖게 된다.
-선이 승리한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도덕성 증진에 기여한다.
-선인과 악인의 양극화가 클수록 교육적 효과도 크다.
4. 선악의 현대적 계승
⑴ 유미주의로서의 악
현대 문학에서 선의 파괴, 악을 미로 조정한 작가로는 김동인이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감자’, ‘광염 소나타’, ‘광화사’를 들 수 있다. 그는 작품에서 광기라는 정신적인 질환 내지는 예술적인 편집과의 비규범적인 인물들을 그림으로써 악의 심연에다 미의 빛을 투사시켰다. 그의 이런 작품은 문학의 지평을 확대했으며 악의 부정 작용 없이는 문학의 갱신과 창조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확인시켰다.
⑵ 제도적 구조와 조직의 악
현대사회는 개인보다도 사회의 선악이 더 문제시 된다. 집단이나 계급사회 그리고 국가 속으로 개인이 편입되고 소멸해 버린 현대에 있어서 가장 무서운 악은 집단의 악과 사회의 악이다. 개인은 조직이나 사회의 희생자에 불과하다.
조직과 집단의 악-식민지 지배의 정치 (P.76)
예시) 전후문학
수난이대 불꽃 광장 학마을사람들.... 전쟁 악의 심연에 대한 반응의 문학
⑶ 악의 현대적 계승 및 변용
① 계승 - 약화된 것은 고전적인 도덕관일 뿐 작품의 윤리성은 그대로 유지.
<예시>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백치’ ‘악령’
② 변용 - 고전소설의 행복한 결말이 현대소설에서는 비극적인 결말로 대치.
분명한 인성론적 선악관을 드러내지 않음.
악의 개념이 달라지고 악의 현대성이 보다 새롭게 추구.
개인보다도 집단이나 사회의 악을 드러내는 작품이 주를 이룸.
<예시1>
- 드라마 ‘내사랑 팥쥐’
<예시2>
- 김말봉의 전후소설 ‘새를 보라’ ‘푸른날개’
①여자 고학생(善) - 육체적 순결과 정조관념을 고수하면서 사회적인 선을 대변
->지고지순한 정신의 대변자
*여자 고학생이 실천하는 선
1. 육체에 대한 순결 및 남자에 대한 정조관념
2. 공부(배움)에 대한 의지 - ‘고학’의 의지는 고매한 정신으로서 선을 대변
② 자유분방한 미망인(惡) - 육체의 타락을 통해 자신은 물론 이웃을 파멸의 길로 몰고 가는 악의 화신
*악의 조건
1. 월북한 남편을 두었다.
-> 전후 한국사회에서 공산주의는 전쟁의 원흉으로서 악의 불씨였다.
2. 농염한 육체와 적극적인 성욕을 구사한다.
-> 성적 욕망을 발산하는 그들의 육체는 악의 출처로서 작중인물들을 파멸의 구렁텅이로 몰고감.
* ‘새를 보라’에서 보여주는 악의 존재
1. 악은 당대 정치적 입장을 대변한다.
-> ‘월북한 남편’의 미망인이 타락하여 사회를 혼란스럽게 한다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전제.
2. 악은 외견상 감각적인 육체의 기운을 발하며 기독교 교리와 상충한다.
-> 한 남자를 사이에 두고, 육체에 빠져있는 인물과 육체를 극복한 정신주의자(기독교 신자)들의 대립은 기독교의 악과 선의 대립을 대변.
[참고문헌]
한국문학주제론
‘사씨남정기’교육론. 2005.8. 황태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장화홍련전’과 ‘콩쥐팥쥐전’에 나타난 계모의 성격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8.
‘사씨남정기’의 선악구도. 한국문학연구 2권. 2001. 고려대 한국문학연구소. 신재홍.
현대소설연구 제 23호. 2004.9. 한국현대소설학회.
[예문]
콩쥐는 그 말대로 손발과 얼굴을 씻고 한참 후에 돌아왔다. 그러자 검은 소는 좋은 호미와 온갖 과실을 치마폭에 싸 주고는 홀연히 사라져 버리는 것이었다. (중략)
콩쥐는 그것을 받았으나 아버지께도 보여 드리고 어머니께도 이야기하며 팥쥐와도 똑같이 나누어 먹겠다는 생각으로 하나도 입에 넣지 않았다. 그리고 잠시 동안에 몇 마지기 밭을 매어 놓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벌써 문은 굳게 닫혀 있었고, 안에서는 저녁밥을 지어 팥쥐와 함께 앉아 맛있게 먹고 있는 것 같았다.
② 계모와 팥쥐(惡) - 결혼의 약탈적인 성취를 위해서 콩쥐에 대한 온갖 질투, 모함과 간교, 학대, 기만 및 잔인한 악행과 시험을 부과.
[예문]
"콩쥐야, 이 년! 이리 오너라. 네 이 년, 어른이 시켜서 김인지 뭔지 매러 갔으면 일찍 마치고 돌아와서 밥도 먹고 또 다른 일도 해야 할 게 아니야, 그래 여태껏 무엇을 했느냐? 그리고 과실은 어디서 났단 말이냐? 이게 분명 불공에 쓰는 과실 같은데 저 년이 분명 아무 절 중놈에게 얻은 것이지!
네 그렇지 않고서야 어디서 났단 말이냐? 계집애년이 나이 열댓살 가까워오니까 벌써부터 지나가는 행인을 홀려 먹는단 말이냐? 이런 일을 너의 아버지께서 알아 봐라! 큰일이 나지 않겠느냐? 얘 팥쥐야. 이걸 빨리 먹어 버리고 아버지 눈에 띄지 않게 해라. 눈에 띄는 날이면 언니 년은 죽는 날이다. 언니는 실컷 먹었을 터이니 그만두고 너나 얼른 먹어치워라."
③ 신데렐라 이야기의 모티브
* 중국의 신데렐라 이야기의 난제 모티브
: 계란 위에 걷기, 칼로 만든 사닥다리 걷기, 뜨거운 기름솥에 뛰어들기.
* 신데렐라와 유사성
이 작품은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신데렐라형 설화를 소재로 하여 소설화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콩쥐팥쥐전>은 그 가운데서도 중국민간의 '신데렐라형 이야기'와 같은 계통인 한국전래의 콩쥐 . 팥쥐 설화를 전폭 수용한 작품이다. 소가 나타나서 사건 전개의 단서가 되는 점, 결말에 가서 팥쥐와 계모에 대하여 철저한 응징을 가하는 점 등이 그렇다.
이 작품이 설화를 소재로 하였으면서도 설화와 구별되는 것은 신데렐라계 설화의 대부분이 남녀 주인공의 혼인으로 끝나는 데 비하여, 이 소설에서는 혼인 이후의 사건을 더 흥미 있고 다채롭게 묘사하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악한 인간에 대한 철저한 응징을 형상화하여 권선징악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단순한 설화에 개연성 있는 윤리적인 주제를 부여하고 소설적으로 재창조하였다는 점에 이 작품의 가치가 있다.
3. 선악의 기능과 의미
⑴ 권선징악적 결말 : 사씨남정기, 흥부전, 콩쥐팥쥐 등
-첫째, 악인은 결국 패배한다.
-둘째, 선인은 결국 승리한다.
-셋째, 악인은 징벌을 받는다.
-넷째, 선인은 보상을 받는다.
⑵·권선징악적 이야기의 교육적 의미
-악한들이 징벌을 받음으로써 악행으로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확신을 갖게 된다.
-선이 승리한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도덕성 증진에 기여한다.
-선인과 악인의 양극화가 클수록 교육적 효과도 크다.
4. 선악의 현대적 계승
⑴ 유미주의로서의 악
현대 문학에서 선의 파괴, 악을 미로 조정한 작가로는 김동인이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감자’, ‘광염 소나타’, ‘광화사’를 들 수 있다. 그는 작품에서 광기라는 정신적인 질환 내지는 예술적인 편집과의 비규범적인 인물들을 그림으로써 악의 심연에다 미의 빛을 투사시켰다. 그의 이런 작품은 문학의 지평을 확대했으며 악의 부정 작용 없이는 문학의 갱신과 창조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확인시켰다.
⑵ 제도적 구조와 조직의 악
현대사회는 개인보다도 사회의 선악이 더 문제시 된다. 집단이나 계급사회 그리고 국가 속으로 개인이 편입되고 소멸해 버린 현대에 있어서 가장 무서운 악은 집단의 악과 사회의 악이다. 개인은 조직이나 사회의 희생자에 불과하다.
조직과 집단의 악-식민지 지배의 정치 (P.76)
예시) 전후문학
수난이대 불꽃 광장 학마을사람들.... 전쟁 악의 심연에 대한 반응의 문학
⑶ 악의 현대적 계승 및 변용
① 계승 - 약화된 것은 고전적인 도덕관일 뿐 작품의 윤리성은 그대로 유지.
<예시>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백치’ ‘악령’
② 변용 - 고전소설의 행복한 결말이 현대소설에서는 비극적인 결말로 대치.
분명한 인성론적 선악관을 드러내지 않음.
악의 개념이 달라지고 악의 현대성이 보다 새롭게 추구.
개인보다도 집단이나 사회의 악을 드러내는 작품이 주를 이룸.
<예시1>
- 드라마 ‘내사랑 팥쥐’
<예시2>
- 김말봉의 전후소설 ‘새를 보라’ ‘푸른날개’
①여자 고학생(善) - 육체적 순결과 정조관념을 고수하면서 사회적인 선을 대변
->지고지순한 정신의 대변자
*여자 고학생이 실천하는 선
1. 육체에 대한 순결 및 남자에 대한 정조관념
2. 공부(배움)에 대한 의지 - ‘고학’의 의지는 고매한 정신으로서 선을 대변
② 자유분방한 미망인(惡) - 육체의 타락을 통해 자신은 물론 이웃을 파멸의 길로 몰고 가는 악의 화신
*악의 조건
1. 월북한 남편을 두었다.
-> 전후 한국사회에서 공산주의는 전쟁의 원흉으로서 악의 불씨였다.
2. 농염한 육체와 적극적인 성욕을 구사한다.
-> 성적 욕망을 발산하는 그들의 육체는 악의 출처로서 작중인물들을 파멸의 구렁텅이로 몰고감.
* ‘새를 보라’에서 보여주는 악의 존재
1. 악은 당대 정치적 입장을 대변한다.
-> ‘월북한 남편’의 미망인이 타락하여 사회를 혼란스럽게 한다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전제.
2. 악은 외견상 감각적인 육체의 기운을 발하며 기독교 교리와 상충한다.
-> 한 남자를 사이에 두고, 육체에 빠져있는 인물과 육체를 극복한 정신주의자(기독교 신자)들의 대립은 기독교의 악과 선의 대립을 대변.
[참고문헌]
한국문학주제론
‘사씨남정기’교육론. 2005.8. 황태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장화홍련전’과 ‘콩쥐팥쥐전’에 나타난 계모의 성격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8.
‘사씨남정기’의 선악구도. 한국문학연구 2권. 2001. 고려대 한국문학연구소. 신재홍.
현대소설연구 제 23호. 2004.9. 한국현대소설학회.
추천자료
프랑스 문학작품 오페라의 유령
아동심리학
매도인의 담보책임
이브의 모든 것
[최신영화리뷰]Resident Evil
체육의 본질탐구를 위한 철학적 기초
신학과 철학에서의 하나님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찰(성선설, 성악설, 백지설 등)
한국만화의 일본만화 따라잡기
2009년 2학기 영미시 기말시험 핵심체크
홉스의 정치 사상(자연권, 자연법, 사회계약, 주권자 권위, 자유, 인민저항권)
도가니 영화를 본후 사회복지적시각으로 작성한 감상문
아동성학대, 성범죄의 문제점과 대안 (아동 성학대의 정의, 아동 성학대 사건, 아동 성학대의...
[최신A+자료]신의 한수 영화감상문 [신의 한 수 분석과 감상평][신의 한 수 줄거리와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