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과 초등국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 6,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교
1) 성격
2) 목표
3) 내용
4) 방법
5) 평가
2. 수준별 교육 과정의 반영
1) 제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수준별 교육 과정
2) 제 7차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수준별 교육 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행 평가 등의 평가 활동을 통한 자기 점검 능력과 평가 활동을 통해 얻는 구체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보충 학습과 심화 학습을 선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기'에서는 '선택 과제형'과 '공동 과제형'으로 구분하여 심화·보충 학습의 유형을 실제로 제시하고 있다. 우선 선택 과제형의 경우는 앞 부분은 보충 학습, 뒷부분은 심화 학습으로 나누어 기본 학습과 관계가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고 있고, '되돌아보기에서 살펴본 내용을 생각하며 ... ...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공부해 봅시다.' 라는 형식으로 학습 활동을 지시하여, 학생이 주체가 되어 심화, 보충 활동을 선택하도록 배려했다. 또한 공동 과제형은 대단원에서 이원화된 학습 목표인 경우 수준차이를 두지 않고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더 공부하여 봅시다.'로 학습 활동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그 단원의 마지막 부분인 '쉼터'에서는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를 전해 줄 수 있는 이야기 등을 삽화와 함께 담은 내용을 싣고 있다.
Ⅲ. 결론
아직 부족한 단계이기는 하지만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특징과 세부적인 특징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고려해 만들어진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 하지만 지금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이 그러했듯이 지금의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역시 완벽하게 구성된 교육 과정 체제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무리 좋은 교육 과정도 학습자의 잠재된 능력의 모든 부분을 성취시켜줄 수는 없을 테니까 말이다. 하지만 잠시 생각을 해본다. 그것이 완벽하든 완벽하지 않든 국가의 교육 과정은 계속해서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런데 예비 교사로서의 나의 자세는 어떠한가? 과연 변해 가는 교육 세태에 대비할만한 준비가 되어있는가? 물론 교육의 기반이 되는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변화도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그에 따른 교사들의 변화가 뒤따르지 않는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교육 현장에서 일 할 예비교사로서 앞으로 어떤 자세를 갖추고, 어떤 신념을 가져야 할 지에 대해 분명히 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 참고 자료 ■
교육 인적 자원부(2002), 국어 말하기·듣기· 쓰기 6-2
교육 인적 자원부(2002), 국어 읽기 6-2
교육 인적 자원부(2002), 국어 6-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교육 인적 자원부(1998),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3)-국어, 도덕, 사회
최현섭, 최명환, 신헌재 외(1996), 국어 교육학 개론, 서울; 삼지원
초등 국어 교육학회(1997), 국어 수업 방법, 서울; 박이정
천경록, 염창권 외(2001), 초등 국어과 교육론, 서울; 교육 과학사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제 6·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교
1) 성격
2) 목표
3) 내용
4) 방법
5) 평가
2. 수준별 교육 과정의 반영
1) 제 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수준별 교육 과정
2) 제 7차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수준별 교육 과정
Ⅲ. 결론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25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