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이론에 관한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리더십 특성이론
(1) 전개
(2) 심리학과의 연관성
(3) 최근 리더십연구의 동향


2. 리더십 행동이론
(1) 전개
(2) 오하이오 주립대 연구
(3) 관리자격자 모형
(4) PM이론

3. 리더십 상황이론
(1) Fiedler 상황적합 리더십 이론
(2) Hersey &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4. 변혁관련이론
(1) 카리스마 리더십
(2)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3) 변혁적 리더의 조건

5. 리더십 대체이론
(1) 리더십대체이론
(2) 슈퍼리더십이론 - 발표주제
(3) Followership이론

6. 윤리적 리더십
(1) 이론의 개요
(2) 리더십과 윤리의 관계
(3)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결론

본문내용

가?
-Response : 독립적, 비판적 사고(1, 5, 11, 12, 14, 16, 17, 18, 19, 20),
적극적, 능동적 참여(2, 3, 4, 6, 7, 8, 9, 10, 13, 15)
■결과 해석
모범형 : 독립적, 비판적 사고 40~60, 능동적 참여 40~60점
수동형 : 독립적, 비판적 사고 0~20, 능동적 참여 0~20점
소외형 : 독립적, 비판적 사고 40~60, 능동적 참여 0~20점
순응형 : 독립적, 비판적 사고 0~20, 능동적 참여 40~60점
실무형 : 독립적, 비판적 사고 21~39, 능동적 참여 21~39점
6. 윤리적 리더십
(1) 이론의 개요
‘리더십’이란 개념 자체에는 윤리적인 사항뿐만 아닌 비윤리적 사항까지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정치지도자가 편협한 식견으로 국민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경우, 조직의 리더가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거짓 주장을 하는 경우 리더십이란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윤리적인 행위는 세일즈 리더들, 정치 지도자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어지는 일반적인 작동방식이다.
“당신이 알아채기 전까지 그것은 비윤리적인 것이 아니다.-it is not unethical until you get caught”라는 뉴저지의 격언은 이와 같은 의견을 대변한다.
‘리더십효과’를 ‘성공’로 규정한다면, ‘윤리적 리더십’과 ‘성공’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할까.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리더십’보다 더 큰 성공의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는 없을까.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에 대한 통계적인 근거를 현재로선 찾아볼 수 없다.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것이 장단기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리더십효과(leadership results)’에 관한 어떠한 연구나 확실한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윤리적 리더십’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시작 단계로, ‘윤리’라는 단어에 유념하자. ‘윤리’라는 말 자체가 리더들에게 중요한 압박감을 줄 수도 있고, 어쩌면 거추장스러운 사치품쯤으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가르치고 있는 ‘윤리’라는 개념도 부정적 시각에서 가르쳐지고 있다. 즉, 법과대학에서, 경영대학원에서, 그리고 비영리 단체에서 윤리학이란 사람들이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어떠한 윤리학자나 철학자라 해도 어느 누구에게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를 가르칠 수는 없다. 그만큼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한 숫자와 목록을 정리하자면 수없이 많고, 지구상 60억의 상상력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어떠한 교과 과정도 누구에게 하지 말아야 할 모든 것을 말해 주지 못하고 있거나 심지어 금지되어야 할 행위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의 이론이란 다음 두 가지 전제에 근거를 두어야 할 것이다.
첫 번째, ‘윤리적 리더십’이란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인지가’ 아닌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지대한 법칙을 설정하는 사고체계이다.
두 번째, 이러한 리더십에 대한 정의는 윤리적 행위를 포함해서 전개되어야 한다. 그것은 윤리적 행위가 그 자체로 좋다는 이유에서가 아닌 ‘리더십’을 규정하는 핵심적 사유가 되기 때문이다.
(2) 리더십과 윤리의 관계
리더십이란 결코 개인의 초월적 능력, 카리스마 등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개인적 능력뿐만 아닌 사회·국가적 차원의 윤리에 충실한, 그래서 구성원들의 복지와 삶의 가치를 동시에 고려한 건전한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자만이 참다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도자로서 솔선수범으로 도덕적·인간적 조화가 이뤄지지 않고서는 결코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가 리더십에 대한 정의를 보다 장기간의 노력의 차원에서 전개된다면, 비윤리적 리더십에 반대되는 윤리적 리더십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증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3)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결론
세계의 주요 부분은 날마다 비윤리적인 행위로 인해 파괴되고 있다. 지금 이 시각에도 지구 곳곳에서는 수많은 인명의 학살이 진행되고 있고, 사회적 책임을 망각한 기업의 비윤리성으로 세계는 더욱 위험에 빠져 있다.
리더십에 대해 재정립하고, 단지 결과의 성취보다는 윤리적인 행위를 보다 강조하기 시작하기 전까지는 아마 일반적인 윤리적 리더십의 이론을 정립하는데 필요한 재정 자원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이고, 윤리적 리더십의 효율성 및 유용성에 대한 중대한 연구가 행해질 수도 없을 것이다.
그만큼 ‘윤리적 리더십’은 앞으로 ‘윤리의 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J.A. Conger and R.N. Kanungo. "Behavioral Dimensions of Charismatic Leadership." Charismatic Leadership, Jossey-Bass, 1988, p.91.
-Jim Collins. "Level 5 Leadership." Good to Great,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2001, p.39.
-리더십 개발 이론과 실제, 김윤섭저 영진서관
-조직행동론 제 3판, 김선봉외, 민영사
-조직행동연구, 백기복, 창민사
-리더십과 리더십 유효성, 강영순, 김정훈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Gary Yuki
-현대조직의 리더십 적용, Gary Yuki
-조직의 상황적합이론, 경문사 Lex Donaldson
-조직행위론, 세종 권순일
-www.emh.co.kr 이면현의 경영스쿨
-http://blog.naver.com/hrdyim/120013893621/ 블로그 기댈언덕
-http://htvc.kaist.ac.kr
-사람을 읽으면 인생이 즐겁다, 이종주, 스마트 비지니스
-수퍼 리더십, 21세기 북스, 찰스만쯔 헨리심스, 1995
-컬러리더십, 더완 출판사, 신완서, 2004
-현대조직행동, 삼영사, 서병인, 정동선, 2000
-컬러리더십, 더완 출판사, 신완서, 2004
  • 가격3,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6.10.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