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가의 입장에서 본 매체비평의 문제점과 처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론가의 입장에서 본 매체비평의 문제점과 처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왜 이 심포지움을 마련했는가?

2.매체비평의 문제점

3.기자비평의 문제점과 처방

4. 과도기적 처방

본문내용

세에 도움이 될지 모른다. 그러나 다양하고 다워한 현대사회에서는 한 가지 분야에 전문적 식견과 정보지, 방법지를 확보하는 것이 사회발전을 위해서나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 더욱 바람직한 전략이 된다. 나는 서양에서처럼 연극에 대한 엑스퍼티즈와 통찰력, 문장력 등을 바탕으로 기자평론가를 선발하고 그로 하여금 평생 같은 일에 종사하도록 하여 비평능력을 지속적으로 키울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인사제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구조조정의 경락에 휩싸인 방송언론사의 사정을 짐작해보면 기자로 하여금 한 가지 전문분야에 뛰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전보다 더 많은 분야를 담당케 하리라고 예측된다. 기자의 수효가 줄었으니 다른 도리가 있겠는가. 방송언론매체의 경제사정이 나아지고 기자의 전문성의 가장 존경받는 선진시대가 도래할 그 날까지는 어차피 과도기적 처방을 내릴 수 밖에 없다. 나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다.
제도적으로 경험적으로 비전문적일 수밖에 없는 기자들은 연극과 연극인에 관한 취재와 보도를 맡고, 전문적인 감정능력이 필요한 연극비평은 경험과 통찰력과 애정을 갖고 있는 연극평론가가 담당하자.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소속의 많은 평론가들은 방송언론사의 경제형평이 나아질 때까지는 고료를 받지 않고 해당매체의 연극적 관점을 기꺼이 대표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해마다 서울과 지방에서 여러 차례 국제연극제가 열리고 있는 지금은 기자들의 헌신적인 연극취재와 평론가들의 전문적이고 공저한 비평이 한국연극의 발전을 위해서 기여할 수 있는 적기가 아닌가. 매체와 비평은 공생관계에 있음을 재삼 강조하면서 말을 맺는다. (1999.6.19)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29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