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는 말이다. 모든 교육의 목표는 소크라테스에게 있어서는 대화를 통하여 인간에게 내재하고 있는 모든 이해의 능력들과 내용들을 끌어내어 정련하고, 인간임의 의미를 부여하며 잠재력을 개발하고 행위의 핵심에까지 파고 들어가서 도야하는 일이다. 교육은 교사가 이러한 이해의 능력과 내용을 소유하고 나누어 줄 수는 없고, 다만 해산 시킬 수 있을 뿐이다.
교육적 과정의 중심에는 그러므로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 자리 잡고 있다. 학생은 스스로 배운다. 학생은 산파의 역할을 하는 인간 교사의 학생이 아니라, 신이 언제나 이미 그 안에 심어 준 진리의 학생일 뿐이다. 소크라테스의 물음은 주체적인 탐구 능력과 자발적인 발겨 능력과 자아 확신의 독자적이고 창조적인 힘들이 아무런 유보없이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만드는 일을 목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의 도움으로 자기 자신의 고유한 진리에 직면하게 되는 인간은 현세를 풍미하는 모든 사이비 진리를 부정하며, 참된 정의와 지식을 고수하기 위하여 부정한 폭력에 항거 하며, 아직 잠자고 있는 영혼을 일깨우기 위하여 교육하지 않으면 안되는 실존적 한계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현존에로 돌아올 수 있는 능력을 바로 이러한 시적 협력에 의한 해방을 통하여 비로소 갖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자는 신의 협력자 내지 동역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크라테스는 “탄생의 도움을 그들은 신과 나에게서 받았을 뿐이네”라고 말하였다. 교사는 여기서 다만 그의 소명을 실천하고 있을 뿐이며, 교사의 마음에는 이러한 교육 활동을 통하여 어떤 감사의 대가를 받고자 하는 생각이 전혀 없다.
교육적 과정의 중심에는 그러므로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 자리 잡고 있다. 학생은 스스로 배운다. 학생은 산파의 역할을 하는 인간 교사의 학생이 아니라, 신이 언제나 이미 그 안에 심어 준 진리의 학생일 뿐이다. 소크라테스의 물음은 주체적인 탐구 능력과 자발적인 발겨 능력과 자아 확신의 독자적이고 창조적인 힘들이 아무런 유보없이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만드는 일을 목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의 도움으로 자기 자신의 고유한 진리에 직면하게 되는 인간은 현세를 풍미하는 모든 사이비 진리를 부정하며, 참된 정의와 지식을 고수하기 위하여 부정한 폭력에 항거 하며, 아직 잠자고 있는 영혼을 일깨우기 위하여 교육하지 않으면 안되는 실존적 한계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현존에로 돌아올 수 있는 능력을 바로 이러한 시적 협력에 의한 해방을 통하여 비로소 갖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자는 신의 협력자 내지 동역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크라테스는 “탄생의 도움을 그들은 신과 나에게서 받았을 뿐이네”라고 말하였다. 교사는 여기서 다만 그의 소명을 실천하고 있을 뿐이며, 교사의 마음에는 이러한 교육 활동을 통하여 어떤 감사의 대가를 받고자 하는 생각이 전혀 없다.
추천자료
듀이 (John Dewey)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
도산 안창호 선생의 교육사상과 현 교육과의 비교 고찰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인문주의와 개신교 교육,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교육학]루소의 계몽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고찰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의 강조점 및 아동중심교육사상
[페스탈로치]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교육이론
[교육학]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에 대하여
프뢰벨(생애, 시대상황, 사상, 인간관, 유아관, 교육사상, 영향)
우리나라 보육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사상가들의 교육사상과 방법을 네 가지 유형, 흥미중심, ...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을 정리하고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17C 실학주의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적용 (실학주의 등장배경·특징·유형, 감각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