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관광 현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관광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북한의 관광 현황

1. 관광정책

2. 관광자원

3. 주요 관광지
(1) 평양지역
(2) 백두산
(3) 개성
(4) 묘향산
(5) 신의주-의주 지구
(6) 남포 지구
(7) 구월산-과일 지구
(8) 원산-금강산 지구
(9) 청진-칠보산 지구
(10) 나진-선봉 지구

4. 관광시설

본문내용

선봉 지구는 북한이 1991년 12월에자유경제무역지대로 선포하여 외국으로부터의 투자 유치에 힘쓰고 있다. 황금의 삼각주라 부르는 이 지역은 북쪽의 두만강 하류를 경계로 중국과 러시아와 접하고 있다. 지하자원과 산림자원, 수산자원이 풍부하고, 100만년전의 원시유적을 비롯하여 구석기, 청동기시대 문화 발굴지로도 유명하다. 이 지역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울창한 숲과 만포, 서만포 등의 천연호수와 21개 섬, 8개 만, 10개 곶으로 구성된 해안절경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4. 관광시설
북한의 관광 기반시설은 매우 열악하다. 숙박시설은 주요도시와 관광명소에 호텔, 여관, 야영각이 있으나 시설이 열악하여 전기와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외국인 방문이 많은 평양과 묘향산은 그런대로 수용시설이 좋은 편이다. 주요 음식점으로는 평양의 경우 9개의 지방 특산물 식당을 비롯하여 옥류관, 청류관, 청춘관, 민족식당, 평남면옥 등이 대표적이다. 9개의 지방특산물 식당으로는 통일관(개성), 옥계각(황남), 경암각(황북), 송도각(강원도), 압록강각(평북), 강계면옥(자강도), 압록각(양강도), 신흥관(함남), 갈매기각(함북) 등이 알려져 있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1.0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