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바른생활_4.통일을_향해서_북한과 우리는 한민족(세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단원의 지도 계획
2. 본시 학습 활동 선정 배경
3. 본시 교수 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S : 남과 북의 이산가족이 만나고 있습니다.
5
※ 학생들이 남북한 단일팀과 개성공단에 대해서 어려워할 수 있으므로 교사가 간단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학 습
단 계
주요학습
내 용
교수-학습 활동
시량
(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공부할 문제 확인
북한과 우리나라의 다양한 공통점을 찾아봅시다.
1
학습활동
안내
활동 1. 남북한 사람들이 같은 민족임을 알기
활동 2. 남북한 고유의 공통점 알아보기
주제학습
하기
같은 민족
임을 알기
활동 1.남북한 사람들이 같은 민족임을 알기
<단군 신화 영상 보여주고 내용 질문하기>
T : 우리민족의 가장 큰 할아버지가 누구라고 했나요?
T : 그럼 북한사람과 우리나라 사람의 가장 큰 할아버지는 누군가요?
<민족의 의미 알아보기>
T : 이처럼 같은 조상을 가진 사람들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T : 맞아요. 남북한 사람처럼 같은 조상을 가진 사람들을 민족이라고 합니다.
<단군 신화 영상 보고 내용 파악하기>
S : 단군 할아버지입니다.
S : 단군 할아버지입니다.
<민족의 의미 알아보기>
S : 민족이라고 합니다.
4
☆ ‘단군신화’
동영상
※ 실제 단군 신화의 내용에는 남한과 북한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단군이 같은 조상이라는 것을 인지시키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른 적절한 대처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한의
공통점 찾기
활동 2. 남북한 고유의 공통점 알아보기
<북한의 명절 동영상을 통해 우리나라와 공통점 찾아보게 하기>
T : 우리나라와 북한은 어떤 점이 같은지 찾아보며 영상을 봅시다.
<북한의 명절 동영상 보며 우리나라와 공통점 찾기>
S : (동영상 시청)
10
☆ ‘북한의
설 명절’ 동영상
※ 학생들이 북한의 실제 영상을 보고 우리나라와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학 습
단 계
주요학습
내 용
교수-학습 활동
시량
(분)
자료(☆)
및 유의점(※)
교사
학생
T : 선생님이 여기 여러 가지 낱말카드를 칠판에 붙여 놓았습니다. 이 카드들을 이용해서 북한과 우리나라의 공통점을 문장으로 만들어 봅시다.
S : (북한에도) (설과 같은) (명절이) (있습니다.) (북한사람도) (한복을) (입습니다.) (북한에서도) (줄넘기를) (합니다.) (북한에서도) (제기차기를) (합니다.) (북한에서도) (한글을) (씁니다.)
☆ ( ) 안의 단어를 사용한 카드
※ 마지막에는 정답만 남으므로 함정 카드를 몇 개 섞어 놓는다.
언어 비교하기
<북한사람의 인터뷰영상 보여주고 북한말과 우리말 비교하기>
T : 북한말이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있었나요?
T : 그럼 북한말과 우리나라 말은 어떤 점이 달랐나요?
<북한사람의 인터뷰영상을 보고 북한말과 우리말 비교하기>
S : 알아들을 수 있었어요.
S : 우리나라의 사투리 같았습니다. 소리의 높낮이가 달랐습니다.
10
☆ 북한사람
인터뷰
☆ 단어 카드
※ 학생들이 잘 모를 경우 교사가 힌트를 제공한다.
※ 이전 활동과 마찬가지로 함정 카드를 몇 개 섞어놓는다.
<북한말 퀴즈>
1. 우리나라 말과 북한말이 적힌 단어카드를 분류하여 게시한다.
2. 우리나라 말을 선생님이 제시하면 그에 해당하는 북한말을 학생이 맞춘다.
3. 다 맞춘 후에는 생활의 길잡이 책(37p)에 나온 내용에 추가하여 정리한다.
T : 지금까지 우리는 북한말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았어요. 그런데 이런 것들 외에도 우리나라 말과 북한말에는 차이가 있는 것들이 많아요. 앞으로도 통일이 안 된다면 차이가 더 많아질 거예요. 그럼 더 차이가 나기 전에 어떻게 되어야겠죠?
S : 하루라도 빨리 통일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주제학습
마무리하기
학습내용
요약정리
T : 오늘은 무슨 내용에 대해서 배웠나요?
T : 어떤 점이 같았나요?
T : 그럼 모두 스마트 공책을 꺼내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도록 합시다. 정리할 때는 칠판에 붙여진 내용을 참조하세요.
S : 우리나라와 북한의 같은 점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S : 원래 하나의 민족이고 같은 명절을 지내고 같은 놀이를 합니다. 그리고 같은 언어를 사용합니다.
5
차시예고
T : 다음 시간에는 북한 어린이의 생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북한과 우리나라의 같은 점>
북한에도
한복을
제기차기를
…… ……
◆ 판서 계획
<단 원> 4. 통일을 향해서
<학습목표> 북한과 우리나라의 다양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어요.
<우리나라 말>
<북한말>
빨래
비스킷
화장실

가가
낮전
기름밥

활동 1. 북한 사람과 우리나라 사람은 (같은 민족)
활동 2. 북한과 우리나라의 같은 점
◆ 자료 활용 계획
활용 대상
순서
자료명
활용 내용
시간
투입 시기
교사
1
‘이산가족’ 동영상
학습 동기유발

주제 만나기
2
‘단군신화’ 동영상
남북한 사람이 같은
민족임을 알기

주제 학습하기
3
‘북한의 설 명절’ 동영상
북한과 우리의 공통점 찾기
10´
주제 학습하기
4
북한사람 인터뷰
북한말 우리말 비교하기
10´
주제 학습하기
5
낱말카드
북한말 퀴즈
10´
주제 학습하기
학생
1
낱말카드
북한과 우리의 공통점 찾기
10´
주제 학습하기
2
낱말카드
북한말 퀴즈
10´
주제 학습하기
◆ 평가 계획
평가영역
평가내용
평가
척도
평 가 기 준
평가
시기
평가
방법
인지적
북한 사람과 우리는 같은 민족임을 안다.

민족의 뜻을 이해하며 북한사람과 우리는 같은 민족임을 안다.
활동1
관찰

북한사람과 우리는 같은 민족임을 안다.

북한사람과 우리는 같은 민족임을 모른다.
정의적
북한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한다.

북한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한다.
수업중
관찰

북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한다.

북한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고 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한다.
행동적
북한과 우리나라의 같은 점을 말할 수 있다.

5~6가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북한과 우리나라의 같은 점을 말할 수 있다.
활동2
관찰

3~4가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북한과 우리나라의 같은 점을 말할 수 있다.

1~2가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북한과 우리나라의 같은 점을 말할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11.29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