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남북종론의 개념
Ⅱ. 본론
(1)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 남종화와 북종화의 비교
(2) 북종화의 특징
(3) 남종화의 특징
(4) 분종의 의의
Ⅲ. 결론
(1) 남북종론의 개념
Ⅱ. 본론
(1)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 남종화와 북종화의 비교
(2) 북종화의 특징
(3) 남종화의 특징
(4) 분종의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것은 단지 “운봉석적이 천기를 형출하고 펼의가 종횡하여 조화가 뚜렷이 드러난다” 라는 네 구의 말 및 북송 문인의 왕유에 대한 추액을 받아 초래된 것이다. 그가 인용한 왕유에 대하여 평가한 네 구의 말은 곧 자연이며, 담이다. 따라서 그는 산수화는 왕유에 이르러 “담”으로 발전하였고, “천진자연”의 경지로 발전하였다고 인정하고 있다. 그가 표거하였던 “담”과 “자연”은 무두 위진현학으로부터 나타난 개념으로 이는 산수화가 성립될 수 있었던 기본개념이다. 즉, 담이란 유한(有限)으로부터 무한(無限)으로 통하는 연결점이다. 만물의 자연의 성을 쫓고, 오히려 인공으로 교식하는 힘을 가하지 않는 것이 담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 관념을 산수화의 정종(正宗)으로 삼고, 다른 채색을 중시하고, 정공을 중시하는 일파는 별파로 삼고 있으니, 대체로 말하면 이는 산수화가 장기적 발전에서, 점차 난숙하게 되고 난 후 새로이 그 기본성격을 뚜렷이 나타내도록 작용을 한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Ⅲ. 결론
동기창은 돈오를 주장한 남종선과 인간의 내적 진리와 그 자유분방한 표현을 중시한 문인화를 연결지었다. 이렇게 볼 때 남종화는 문인이 자신의 정신세계를 위해 수묵과 담채를 주로 사용하여 그리는 간일하고 격조 높은 사의화를 의미하며, 북종화는 화원이나 직업화가들이 외면의 형사에 치중하여 그린 장식적이고 사실적이며 색상이 화려하고 세밀한 그림을 지칭하는 것을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남북종으로 구별되는 화법이나 화풍은 북송대에 수부터 그림의 평가가 문인 취미, 선비기질에 의하여 결정되게 되면서 생겨났다. 남종화는 선비의 그림으로, 북종화는 화원의 그림으로 북종화를 낮게보는 경향이 있었으나 북종화는 시대의 흐름에서 채색화와 이어지기도 하며 북종화가 중에는 남종화 선비들이 따라갈 수 없을 만큼 훌륭한 화공들도 많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남종화란 화가의 출신성분이나 신분, 학식이나 교양과는 상관없이 양식적인 면에서 미불, 미우인, 원말 사대가나 명대 오파와 그 영향을 받은 청대의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으로 수용한 화풍을 지칭하는 개념이며, 따라서 양식적으로 미법산수와 동원, 거연의 전통을 이은 원말 사대가 및 오파의 화풍을 수용한 산수화를 남종화로 볼 수 있다.
Ⅰ. 서론
(1) 남북종론의 개념
Ⅱ. 본론
(1)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 남종화와 북종화의 비교
(2) 북종화의 특징
(3) 남종화의 특징
(4) 분종의 의의
Ⅲ. 결론
그는 이 관념을 산수화의 정종(正宗)으로 삼고, 다른 채색을 중시하고, 정공을 중시하는 일파는 별파로 삼고 있으니, 대체로 말하면 이는 산수화가 장기적 발전에서, 점차 난숙하게 되고 난 후 새로이 그 기본성격을 뚜렷이 나타내도록 작용을 한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Ⅲ. 결론
동기창은 돈오를 주장한 남종선과 인간의 내적 진리와 그 자유분방한 표현을 중시한 문인화를 연결지었다. 이렇게 볼 때 남종화는 문인이 자신의 정신세계를 위해 수묵과 담채를 주로 사용하여 그리는 간일하고 격조 높은 사의화를 의미하며, 북종화는 화원이나 직업화가들이 외면의 형사에 치중하여 그린 장식적이고 사실적이며 색상이 화려하고 세밀한 그림을 지칭하는 것을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남북종으로 구별되는 화법이나 화풍은 북송대에 수부터 그림의 평가가 문인 취미, 선비기질에 의하여 결정되게 되면서 생겨났다. 남종화는 선비의 그림으로, 북종화는 화원의 그림으로 북종화를 낮게보는 경향이 있었으나 북종화는 시대의 흐름에서 채색화와 이어지기도 하며 북종화가 중에는 남종화 선비들이 따라갈 수 없을 만큼 훌륭한 화공들도 많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남종화란 화가의 출신성분이나 신분, 학식이나 교양과는 상관없이 양식적인 면에서 미불, 미우인, 원말 사대가나 명대 오파와 그 영향을 받은 청대의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으로 수용한 화풍을 지칭하는 개념이며, 따라서 양식적으로 미법산수와 동원, 거연의 전통을 이은 원말 사대가 및 오파의 화풍을 수용한 산수화를 남종화로 볼 수 있다.
Ⅰ. 서론
(1) 남북종론의 개념
Ⅱ. 본론
(1)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 남종화와 북종화의 비교
(2) 북종화의 특징
(3) 남종화의 특징
(4) 분종의 의의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