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삼음교지압법
삼음교지압이 초산부의 분만 통증 및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
초산부에서 삼음교 지압이 분만 잠재기 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삼음교지압이 산부의 분만통증, 분만소요시간, 혈청P-엔돌핀및 자궁수축
강도에 미치는 효과
삼음교지압요법이 초산부의 분만 소요시간과 실혈량에 미치는 효과
-아로마마사지
아로마마사지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음악요법
제왕절개술시 음악이 산모의 혈역학적 변화와 혈중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및 인지와 상기에 미치는 영향
기타내용
삼음교지압이 초산부의 분만 통증 및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
초산부에서 삼음교 지압이 분만 잠재기 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삼음교지압이 산부의 분만통증, 분만소요시간, 혈청P-엔돌핀및 자궁수축
강도에 미치는 효과
삼음교지압요법이 초산부의 분만 소요시간과 실혈량에 미치는 효과
-아로마마사지
아로마마사지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음악요법
제왕절개술시 음악이 산모의 혈역학적 변화와 혈중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및 인지와 상기에 미치는 영향
기타내용
본문내용
으나 30대산모만으로 한정하여 측정한 결과는 아로마 마사지가 분만 유형에 영향을 미치기는 했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전인적이고 보완대체요법인 아로마 마사지요법을 분만에 적용시키는 일은 분만에 대한 순응도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분만 경험과 함께 수준 높은 간호체계로 선행된 연구에서 자궁수축기간과 강도를 감소시키고, 수축기 혈압을 감소시키는 등 분만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초산모들의 분만시 느끼는 불안이나 진통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는 것으로 보아 분만과정에서 아로마 효과는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수술환자의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낯선 환경과 소리, 밝은 조명, 의학전문용어 등이 있으며 전신마취중에 일반적으로 청각감각이 잘 유지되면 각성을 일으키는 환자들은 청각인지와 마비감울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음악은 이완작용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연상을 통하여 불안과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부터 주의를 돌릴 수 있게 하며 수술실의 낯선 소리를 차단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잇점이 있다.
음악요법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 제왕절개시 음악이 임산부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술중 혈역학적 변화와 혈중 cortisol치에 미치는 영향 및 인지와 상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전신마취하에 오전 첫 번째로 제왕절개술이 예정인 40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신 합병증환자는 제외하였다. 1군은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대조군, 2군은 음악을 수술실에 들어 온 후부터 들려준 음악군으로하였다.
▶실험군에게 요골동맥에 도관 거치후 비발디 4계(4계, 비발디, heart entrainment)의 제목을 말해주고 헤드폰을 통하여 둘려주었다. 기관내 삽관후에는 자장가(자니, 슈베르트 자장가, 자장자장, 삼성 EMG)로 바꾸어 피하조직을 봉합할 때까지 들려주었다.
산모의 혈압과 심박수 변화
-수축기 혈압의 변동 : 대조군 140+3.5->151+9.5mmHg 실험군 137+3.5->142+9.1mmHg
-이완기 혈압의 변동 : 대조군 79+7.0->80+8.2mmHg 실험군 83+7.1->82+12.5mmHg
-심박수의 변동 : 대조군 87+10.9->101+7.7 beats/min 실험군 77+11.0->87+12.0 beats/min
환자의 인지와 상기
구두명령에 반응하는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후 상기는 2군에서 자장가를 기억하는 산모가 40%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치의 변화
1군에 비하여 2군에서 기관내 삽관후 30분과 회복실 도착후 10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에 대한 만족도
2군 20예 모두에서 매우 만족하였으며 향후 수술시 다시 음악을 선택하겠다고 대답
따라서 전신마취하에 제왕절개술을 시행받은 산모에서 음악은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낯추고 외부의 낯선소리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여 술중 인지와 술후 상기로 인한 문제점을 피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음악이 술중에 스트레스 상황과 유해자극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전신 마취하에서도 청각적 자극이 잠재의식 과정을 통해 명백하지 않은 기억으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점과 통증은 감각, 정서, 자극 체계의 통합으로 나타나므로 음악이 유해자극의 지각과 전달 과정을 조정하고 약화시킨다는 관문 조절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음악이 통증을 감소시키는 기전에는 엔돌핀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분만을 선호하는 특성에 맞추어 독특하고 편안한 분만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는 요즈음 임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더욱 연구 개발 되어 여성의 생애의 큰영향을 미치는 분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게 중요하다.
삼음교, 아로마 마사지, 음악요법 등과 같은 분만시 간호사의 중재법 외에도 분만시 배우자가 옆에서 지지해주는 것도 큰 힘이 된다. 또한 분만전에 초임부에게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를 통해 분만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기하는 연구도 있다.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
또 출산 직후에 운동을 통하여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임신은 임신을 경험하는 자신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매우 중요하고 감격스러운 경험이며 또한 사회적으로 매우 의미있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건이다. 임신은 정상적인 과정이나 임부와 태아를 포함한 가족에게 발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임부와 그의 가족에게 생리적 정신 사회적 사정 및 교육, 상담 등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산전교육자로서 간호사는 임산부와 배우자를 산전교욱에 참여하게 하여 임신 과정 및 분만 과정 그 이후 자녀양육 등을 부부 공동의 문제로 생각하고 함께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분만은 임신한 여성과 그 가족에게 흥분되면서도 걱정이 되는 삶의 변화를 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분만은 임신의 끝임과 동시에 새로운 역할의 시작이다. 간호사는 출산을 앞둔 산부와 가족이 산전관리를 받은 것과 관계없이 분만에 잘 대처하여 안전한 출산을 하고, 출산 후 자신의 새로운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간호해야 한다.
앞에서 나온 방법들과 같은 새로운 중재프로그램에 조금더 관심을 가지고 대상자들에게 적용하고 권하여 분만이나 산욕기를 잘 관리하여 보다 나은 분만의 경험으로 여성으로서 당당하고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간호사들의 중요한 임무라 할 수 있겠다.
<자료논문>
1)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김영란, 『삼음교지압이 초산부의 분만 통증 및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
2)연세대학교대학원, 유현정, 『초산부에서 삼음교 지압이 분만 잠재기 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3)연세대학교대학원, 이미경, 『삼음교지압이 산부의 분만통증, 분만소요시간, 혈청P-엔돌핀및 자궁수축강도에 미치는 효과』
4)부산카톨릭대학교대학원, 이경희, 『삼음교지압요법이 초산부의 분만 소요시간과 실혈량에 미치는 효과
5)대전대학교대학원, 안은진, 『아로마마사지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6)건국대학교외과학술지 제13권, 김성협외 4, 『제왕절개술시 음악이 산모의 혈역학적 변화와 혈중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및 인지와 상기에 미치는 영향』
전인적이고 보완대체요법인 아로마 마사지요법을 분만에 적용시키는 일은 분만에 대한 순응도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분만 경험과 함께 수준 높은 간호체계로 선행된 연구에서 자궁수축기간과 강도를 감소시키고, 수축기 혈압을 감소시키는 등 분만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초산모들의 분만시 느끼는 불안이나 진통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는 것으로 보아 분만과정에서 아로마 효과는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수술환자의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낯선 환경과 소리, 밝은 조명, 의학전문용어 등이 있으며 전신마취중에 일반적으로 청각감각이 잘 유지되면 각성을 일으키는 환자들은 청각인지와 마비감울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음악은 이완작용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연상을 통하여 불안과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부터 주의를 돌릴 수 있게 하며 수술실의 낯선 소리를 차단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잇점이 있다.
음악요법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 제왕절개시 음악이 임산부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술중 혈역학적 변화와 혈중 cortisol치에 미치는 영향 및 인지와 상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전신마취하에 오전 첫 번째로 제왕절개술이 예정인 40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신 합병증환자는 제외하였다. 1군은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대조군, 2군은 음악을 수술실에 들어 온 후부터 들려준 음악군으로하였다.
▶실험군에게 요골동맥에 도관 거치후 비발디 4계(4계, 비발디, heart entrainment)의 제목을 말해주고 헤드폰을 통하여 둘려주었다. 기관내 삽관후에는 자장가(자니, 슈베르트 자장가, 자장자장, 삼성 EMG)로 바꾸어 피하조직을 봉합할 때까지 들려주었다.
산모의 혈압과 심박수 변화
-수축기 혈압의 변동 : 대조군 140+3.5->151+9.5mmHg 실험군 137+3.5->142+9.1mmHg
-이완기 혈압의 변동 : 대조군 79+7.0->80+8.2mmHg 실험군 83+7.1->82+12.5mmHg
-심박수의 변동 : 대조군 87+10.9->101+7.7 beats/min 실험군 77+11.0->87+12.0 beats/min
환자의 인지와 상기
구두명령에 반응하는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후 상기는 2군에서 자장가를 기억하는 산모가 40%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치의 변화
1군에 비하여 2군에서 기관내 삽관후 30분과 회복실 도착후 10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에 대한 만족도
2군 20예 모두에서 매우 만족하였으며 향후 수술시 다시 음악을 선택하겠다고 대답
따라서 전신마취하에 제왕절개술을 시행받은 산모에서 음악은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낯추고 외부의 낯선소리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여 술중 인지와 술후 상기로 인한 문제점을 피할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음악이 술중에 스트레스 상황과 유해자극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전신 마취하에서도 청각적 자극이 잠재의식 과정을 통해 명백하지 않은 기억으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점과 통증은 감각, 정서, 자극 체계의 통합으로 나타나므로 음악이 유해자극의 지각과 전달 과정을 조정하고 약화시킨다는 관문 조절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음악이 통증을 감소시키는 기전에는 엔돌핀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분만을 선호하는 특성에 맞추어 독특하고 편안한 분만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는 요즈음 임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더욱 연구 개발 되어 여성의 생애의 큰영향을 미치는 분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게 중요하다.
삼음교, 아로마 마사지, 음악요법 등과 같은 분만시 간호사의 중재법 외에도 분만시 배우자가 옆에서 지지해주는 것도 큰 힘이 된다. 또한 분만전에 초임부에게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를 통해 분만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기하는 연구도 있다.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
또 출산 직후에 운동을 통하여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임신은 임신을 경험하는 자신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매우 중요하고 감격스러운 경험이며 또한 사회적으로 매우 의미있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건이다. 임신은 정상적인 과정이나 임부와 태아를 포함한 가족에게 발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임부와 그의 가족에게 생리적 정신 사회적 사정 및 교육, 상담 등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산전교육자로서 간호사는 임산부와 배우자를 산전교욱에 참여하게 하여 임신 과정 및 분만 과정 그 이후 자녀양육 등을 부부 공동의 문제로 생각하고 함께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분만은 임신한 여성과 그 가족에게 흥분되면서도 걱정이 되는 삶의 변화를 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분만은 임신의 끝임과 동시에 새로운 역할의 시작이다. 간호사는 출산을 앞둔 산부와 가족이 산전관리를 받은 것과 관계없이 분만에 잘 대처하여 안전한 출산을 하고, 출산 후 자신의 새로운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간호해야 한다.
앞에서 나온 방법들과 같은 새로운 중재프로그램에 조금더 관심을 가지고 대상자들에게 적용하고 권하여 분만이나 산욕기를 잘 관리하여 보다 나은 분만의 경험으로 여성으로서 당당하고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간호사들의 중요한 임무라 할 수 있겠다.
<자료논문>
1)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김영란, 『삼음교지압이 초산부의 분만 통증 및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
2)연세대학교대학원, 유현정, 『초산부에서 삼음교 지압이 분만 잠재기 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3)연세대학교대학원, 이미경, 『삼음교지압이 산부의 분만통증, 분만소요시간, 혈청P-엔돌핀및 자궁수축강도에 미치는 효과』
4)부산카톨릭대학교대학원, 이경희, 『삼음교지압요법이 초산부의 분만 소요시간과 실혈량에 미치는 효과
5)대전대학교대학원, 안은진, 『아로마마사지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6)건국대학교외과학술지 제13권, 김성협외 4, 『제왕절개술시 음악이 산모의 혈역학적 변화와 혈중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및 인지와 상기에 미치는 영향』
추천자료
수술, 방사선, 그리고 화학요법
LG화학(인사관리사례)
암을 예방하는 식이 요법
사회복지 실천론 심층분석(이론, 실천모형, 사례관리)
스트레스에 대한 치유와 예방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한 대체의학적 접근 방법
임부간호/ 임신시 특성 및 관리방법
갱년기 여성의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프로그램
보건소 영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해서
[고객정보분석]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고객관계관리 VRM
디지털시대 기업(디지털기업)의 중요성, 디지털시대 기업(디지털기업)의 웹경영, 디지털시대 ...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2018년 1학기 가사노동시간관리 기말시험 핵심체크